뉴스 검색결과 1,624건
- '독자생존 vs M&A'…국내제약업 최후 승자는?
- [이데일리 천승현 기자] 주요 제약사마다 중장기 성장전략의 윤곽을 드러내며 국내 제약업에 대대적인 지형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연구개발(R&D) 성과가 가시화되고 있는 업체들은 R&D 자금 확보를 통해 독자생존을 꾀하고, 자본력을 갖춘 제약사는 공격적 기업 인수·합병(M&A)으로 몸집불리기에 나서고 있다.지난 29일 녹십자는 녹십자홀딩스, 녹십자셀 등과 보유 중인 일동제약 주식 735만9773주(29.36%) 전량을 윤원영 일동제약 회장 측에 매도했다. 대웅제약은 한올바이오파마를 1046억원에 인수했다. 업계에서는 두 건의 빅딜이 제약사들의 중장기 성장전략을 압축한다고 분석한다.◇녹십자·한미약품 “M&A보다는 R&D”녹십자 본사 전경녹십자(006280)의 경우 M&A로 몸집을 불리는 것보다는 자금 확보를 통해 R&D에 투입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판단이다. 일동제약이 녹십자와의 제휴에 강한 거부감을 갖는 상황에서 무리하게 주식 매입 경쟁을 벌이는 것보다는 주식 매각으로 실리를 챙긴 것이다.지난해 녹십자가 일동제약의 지분율을 29.36%로 끌어올리자 일동제약에 대한 M&A 욕심을 본격적으로 드러낸 것이 아니냐는 시각이 우세했다.녹십자는 지난 3월 일동제약의 정기주주총회에서 감사와 사외이사를 추천하며 경영권 입성을 노렸으나 불발됐다. 그러자 M&A보다는 자금 확보가 실리가 있다는 판단에 주식 매각을 선택했다. 녹십자는 지난 2012년부터 일동제약 주식 취득에 총 738억원을 투입해 1399억원에 팔았다. 89.4%의 수익률이다. 3년간 투자로 지난해 R&D비용 846억원에 육박하는 661억원을 확보하며 성공적인 투자를 한 셈이 됐다. 녹십자는 지난 2012년부터 옛 동아제약의 지분을 4.2% 매입했고 이듬해 동아제약의 분할 이후 대부분 매각했는데 이때 200억원 가량의 시세차익을 올렸다. 2003년 1600억원에 인수한 대신생명(현재 녹십자생명)을 8년 후 현대자동차에 2283억원에 팔기도 했다실제로 녹십자는 R&D 성과가 가시화하면서 자금 확보가 시급했다. 녹십자는 혈액제제 사업 확장을 위해 캐나다에 혈액제제 공장 설립을 결정하고 착공을 앞두고 있다.글로벌 전략 품목인 면역결핍치료제 ‘아이비글로불린 에스엔’은 연내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품목 허가를 신청할 예정이다. 글로벌 시장을 겨냥해 만든 희귀질환 치료제 ‘헌터라제’는 해외 임상을 계획 중이다. 녹십자는 백신 부문 등에 차별화된 기술을 앞세워 지난해 업계 최초로 수출실적 2억달러를 돌파한 바 있다.앞서 한미약품(128940)이 8년간 보유했던 동아쏘시오그룹의 주식을 정리한 것도 녹십자와 같은 맥락이다. 한미약품은 지난 2008년 옛 동아제약 주식을 9%대로 확보하자 M&A 의도가 있는 것이 아니냐는 의혹을 받았다. 한미약품은 2013년 동아제약의 지주사 전환을 의결하는 임시주주총회에서 사실상 반대 입장을 표하며 실력행사에 나서기도 했다.하지만 동아쏘시오홀딩스가 2013년 지주사 전환 이후 주식 교환 등을 통해 적극적으로 지분율을 확대하면서 한미약품의 영향력은 축소됐고 결국 지난해 10월부터 6개월 동안 주식을 모두 팔았다.한미약품 역시 연구개발(R&D) 비용 조달이 절실했다. 한미약품은 지난해 제약사중 가장 많은 1525억원을 쏟아부으며 왕성한 R&D활동을 전개 중이다. 매출의 20% 가량을 신약 개발에 투입하고 있다. 한미약품도 최근 일라이릴리와 업계 최대 규모인 6억9000만달러 규모의 신약 수출계약을 체결하는 등 R&D 성과가 점차 가시화하고 있다.한미약품도 녹십자와 마찬가지로 경쟁사 지분 투자를 통해 상당한 차익을 실현했다. 한미약품은 옛 동아제약 지분 매입에 총 734억원을 투입했다. 이후 지난해 10월부터 지분 매각에 따른 시세 차익으로 424억원을 가져갔다. 수익률은 57.8%에 달한다. 지난 1분기 기준 녹십자와 한미약품의 현금성자산이 각각 697억원, 488억원으로 넉넉하지 않았던 것도 주식 매각의 배경으로 풀이된다.◇대웅제약, 자금력 무기로 신약 파이프라인 보강대웅제약 본사 전경대웅제약(069620)은 외부수혈로 새로운 성장동력을 확보하는 방안을 선택했다. 대웅제약은 매출액 대비 12.8%(1분기 기준)을 R&D 비용으로 투입하고 있지만 신약성과는 두각을 나타내지 못하는 상황이다. 지난 1997년 국산신약 2호 ‘이지에프’를 허가받은 이후 18년 동안 신약을 배출하지 못했다. 녹십자와 한미약품과는 달리 주력제품은 ‘올메텍’, ‘넥시움’, ‘글리아티린’, ‘가스모틴’ 등 수입 신약들이 포진해있다.대웅제약은 이번 한올바이오파마 인수를 통해 단번에 신약 파이프라인을 대거 보강했다. 한올바이오파마는 연 매출이 800억원대에 불과하지만 매년 매출액 대비 15% 이상을 R&D비용으로 투입하면서 바이오의약품, 개량신약 부문에서 높은 수준의 기술력을 축적했다는 평가다. 대웅제약의 1분기 기준 현금성자산은 1405억원으로 경쟁사들에 비해 여유가 있는 편이다.대웅제약은 지난 2013년 중국 심양에 위치한 제약회사 바이펑을 인수한데 이어 최근에는 인도네시아 제약사 인피온과의 합자회사인 ‘대웅-인피온’의 바이오 공장을 건설하기 시작했다.녹십자·한미약품·대웅제약 1분기 현금성자산(자료: 금융감독원)현재 대웅제약은 중국, 베트남, 태국, 인도네시아, 미국, 인도, 필리핀, 일본 등 8개국에서 해외 법인을 운영중이다.업계 한 관계자는 “리베이트 규제, 약가인하, 과당경쟁 등의 여파로 기존 제네릭 중심의 국내 영업은 한계에 봉착했다”면서 “R&D 능력이나 M&A를 통한 먹거리 확보 등을 통해 업계 판도가 재편될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관련기사 ◀☞[주간추천주]SK증권☞녹십자, 일동제약 투자 손 뗐다..'경영권 분쟁 종지부'(종합)☞녹십자, 일동제약 투자 손 뗐다..'M&A 가능성 소멸'(상보)
- 이수그룹, 中 현지서 첫 외식사업 진출..화학 중심 패러다임 변화
- ‘PLENA127(플리나127)’ 내부 전경. 전체 1300㎡(약 400여 평)의 공간에 180개 좌석이 배치돼 있다. 이수그룹 제공.[이데일리 성문재 기자] 이수그룹이 중국 현지에서 첫 외식사업에 진출했다. 그동안 화학사업을 중심으로 펼쳐온 이수그룹의 중국 진출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다. 이수그룹은 전통 한국음식과 퓨전 조리법이 결합된 고품격 퓨전 한식 레스토랑 ‘PLENA127(플리나127)’ 1호점을 상하이 중심가인 창닝구에 공식 오픈했다고 13일 밝혔다.‘PLENA127’은 이수그룹이 40억 아시아인들의 미각을 사로잡기 위해 첫 선을 보이는 퓨전 레스토랑으로 한식(韓食) 문화를 지향하고 있다. ‘PLENA127’의 PLENA는 ‘완전함’, ‘충만함’을 의미하고, 127은 지구상 서울의 경도(longitude)를 의미한다고 이수그룹은 설명했다.최근 수년간 아시아 한류 외식사업을 준비해 온 이수그룹은 지난해 중국 상하이 현지에 ‘이수홀딩스상하이’라는 신규 법인을 설립, 고품격 퓨전 한식 레스토랑 ‘PLENA127’ 1호점을 런칭했다. 400여평의 공간에 180여개 좌석을 배치했으며 중국의 10대 디자이너 중 한명인 여영중(Lv yongzhong)이 디자인했다.‘PLENA127(플리나127)‘ 외부 전경. 이수그룹 제공.이경희 이수홀딩스상하이 대표는 “세계 외식시장에서 유럽과 북미가 성숙단계에 접어든 저성장 지역이라면 인도와 중국 등 막대한 인구와 높은 경제성장을 기록하고 있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은 고성장 신흥시장”이라며 “세계 외식산업이 연평균 5%대의 성장이 예상되는 반면 중국 외식시장은 연평균 9% 이상의 고성장이 전망된다”고 말했다.이 대표는 또 “중국 외식시장의 70% 이상을 레스토랑이 점유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PLENA127’ 상하이 1호점은 고품격 퓨전 한식 레스토랑으로 한류 외식문화 전파의 핵심 거점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수그룹의 중국 현지 외식사업 진출은 그룹의 중국 진출 패러다임 변화를 의미한다. 이수화학(005950)을 모태로 연 매출 약 3조원 규모로 성장한 이수그룹은 지난 2012년 중국 타이창(太倉)시에 이수화학 중국 공장을 설립, 글로벌 세탁세제 원료 공급을 위한 상업생산을 시작했다. 2013년에는 스마트폰과 IT가전에 사용되는 인쇄회로기판의 글로벌 생산기지로 ‘이수페타시스 후난’을 인수, 공장을 재편해 운영중이다.이수그룹 관계자는 “과거 중국이 세계의 공장으로 전략적 요충지였다면 이제는 글로벌 시장의 관점에서 중국 진출을 모색해야 하는 시기가 됐다”며 “중국 진출 패러다임이 제조업에 국한되지 않고 중국과 아시아 소비자를 고려해야 하는 전략적 융합이 필요한 시기”라고 설명했다. ‘PLENA127(플리나127)’ 임직원들이 기념촬영하고 있다. 이수그룹 제공.▶ 관련기사 ◀☞ 이수시스템, 스마트워크 통합형 앱서비스 출시☞ 이수페타시스, 사물인터넷 인프라 수혜 '목표가↑'-HMC☞ 이수앱지스 33만여주 규모 신주인수권 행사☞ [특징주]이수앱지스, 희귀질환 치료제 경쟁력 부각…엿새째 상승☞ 이수앱지스, 희귀질환 치료제 점유율 지속 상승-유진☞ [특징주]이수페타시스, 강세..'가파른 실적개선'☞ 이수페타시스, 기대 이상의 실적개선 속도..목표가↑-키움☞ [특징주]이수앱지스, 이틀째 강세…올해 턴어라운드 기대☞ 이수앱지스, 희귀항체 의약품 선구자..올해 턴어라운드-유진☞ [특징주]이수화학, 강세…코스피200 신규 편입
- [천기자의 천일藥화]어제는 발기약 오늘은 고혈압약…두 얼굴의 의약품
- [이데일리 천승현 기자] 의약품 사용시 주의사항으로는 정해진 용법·용량을 꼭 지켜야 한다는 얘기를 많이 한다. 같은 성분의 제품이라도 용량에 따라 전혀 다른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도 많기 때문이다. 약을 두 배로 먹는다고 약효가 두 배 늘지는 않는다는 의미다. 의약품 개발 과정에서 의도치 않은 새로운 용도가 확인돼 제약사가 추가 임상시험을 통해 새로운 제품으로 개발하는 경우도 많다.대표적인 사례가 탈모치료제로 사용되는 ‘피나스테리드’다. 피나스테리드가 5㎎ 들어 있는 ‘프로스카’는 당초 전립선비대증치료제로 개발됐지만 부작용으로 머리카락을 나게 한다는 사실이 확인되면서 탈모치료제로 개발됐다. 똑같은 성분이지만 5mg 함유한 ‘프로스카’는 전립선비대증치료제, 1mg 들어있는 ‘프로페시아’는 탈모치료제로 사용할 수 있다.간혹 프로스카를 전립선비대증치료제로 처방받고 발모 목적으로 4~5등분으로 쪼개 먹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위험한 행위다. 피나스테리드는 임부 또는 임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여성이 약의 부서진 조각을 만지는 경우, 피부를 통해 약이 흡수돼 남성태아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발기부전치료제 ‘비아그라’도 주 성분인 ‘실데나필’의 함량에 따라 용도가 달라진다. 실데나필 50mg과 100mg은 발기부전 치료 목적으로 사용된다. 62.5㎎과 125㎎은 폐동맥고혈압 치료제로 복용할 수 있다. 폐동맥고혈압은 폐동맥 내 혈압이 높아져 폐의 혈액 순환이 악화되는 희귀난치성 질환을 말한다. 또 다른 발기부전치료제 ‘시알리스’는 전립성비대증 치료에도 사용이 가능하다. 발기부전치료제의 혈관 확장 기능을 활용해 치료영역을 확대한 것이다. 발기부전치료제를 치매 치료제로 개발하는 움직임도 있다. ‘잔탁’과 ‘큐란’이 대표 제품인 ‘라니티딘’ 성분의 경우 75㎎ 한 알은 위산과다·속쓰림·신트림 등의 목적으로 먹을 수 있다. 150㎎은 위·십이지장궤양, 졸링거-엘리슨증후군, 역류성식도염 등의 치료를 위해 복용한다. 잔탁 75mg은 약국에서 판매하는 일반의약품, 잔탁150mg은 의사 처방을 받아야 하는 전문의약품이라는 차이도 있다. 간장약으로 유명한 우루사도 여러 종류가 다양한 용도로 판매 중이다. ‘우르소데옥시콜산’ 성분만 100mg 함유한 ‘우루사100㎎’은 담즙 분비 부전으로 오는 간질환의 보조요법 및 만성 간질환의 간기능 개선 등으로 허가받았다. ‘우루사200㎎’은 담석증, 원발 쓸개관 간경화증의 간기능 개선, 만성 C형 간염 환자의 간기능 개선 등의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우루사100㎎’은 일반의약품, ‘우루사 200㎎’은 전문의약품으로 분류된다. ‘우루사연질캡슐’은 ‘우르소데옥시콜산’ 50mg와 ‘티아민질산염’, ‘리보플라빈’ 등이 함유된 제품으로 만성 간질환의 간기능 개선, 식욕부진, 육체피로 등의 효과가 있다. ‘우르소데옥시콜산’ 25mg에 타우린, 인삼건조엑스 등이 섞인 복합우루사연질캡슐은 간장약이 아닌 자양강장, 육체피로 등의 효능을 인정받았다.똑같은 성분, 함량인데도 효과가 다른 경우도 있다. 위에서 흡수되는 아스피린은 골관절염(퇴행성 관절질환), 강직성 척추염, 감기로 인한 발열 및 동통, 치통, 두통, 월경통, 신경통 등의 치료에 효과가 있다. 장에서 분해 흡수되는 아스피린프로텍트는 심근경색 위험 감소 및 일과성 허혈 발작 위험 감소, 심근경색 후 재경색 예방, 혈전·색전 형성의 억제 등으로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