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렬
  • 영역
  • 기간
  • 기자명
  • 단어포함
  • 단어제외

뉴스 검색결과 10,000건 이상

엔케이맥스, 미국임상종양학회에서 4개 연구 초록 채택
  • 엔케이맥스, 미국임상종양학회에서 4개 연구 초록 채택
  • [이데일리 이순용 기자] 엔케이맥스가 미국임상종양학회(ASCO)에 총 4개의 초록이 채택됐다고 28일 밝혔다. 앞서 개최된 미국암연구학회(AACR)에 이어 오는 6월 열리는 ASCO학회에 채택된 바이오기업들이 주목되고 있다. ASCO는 세계 3대 암 학회 중 하나로 후기 임상결과를 공개하는 학회이다. 4개의 초록은 엔케이맥스 미국법인 엔케이젠 바이오텍에서 제출한 2건과 공동임상을 진행중인 아피메드(Affimed NV, NASDAQ: AFMD), 덴마크 베이에 병원(Vejle Hospital)의 각각 1건씩이다. 아피메드는 이중항체를 개발하는 개발하는 나스닥 상장사로 4월 AACR 학회에서도 유의미한 임상결과를 공개하며 주목 받았다. 또한 베이에 병원은 덴마크의 국립암병원으로 유방암, 림프종, 폐암 치료 우수 병원으로 알려져있다. 이번에 채택된 4가지 초록은 1) 불응성 고형암 대상 미국 임상1상 슈퍼NK(SNK01) 단독투여군과 2)슈퍼NK+바벤시오(성분명: Avelumab) 병용투여군, 3) EGFR 양성 고형암 대상 미국 임상1/2a상 연구, 4) 폐암 환자 대상 NK Vue 키트를 이용한 치료반응률 측정 연구이다. ASCO학회에 국내 바이오기업의 4개 초록이 채택된 것은 이례적인 일이다. 특히 ASCO학회에서 발표될 불응성 고형암 임상1상에 대한 추가 데이터가 기대된다. 앞서 엔케이맥스는 말기 육종암 환자에게서 지난해 8월 완전관해(CR)라는 중간 결과를 도출한데 이어 최근 동정적사용승인을 받은 육종암 환자에게서도 CR이라는 결과를 공개한 바 있다. KB증권 김태희 연구원은 “후기 임상 결과를 주로 발표하는 ASCO에서 초록 4건이 채택된 점은 매우 긍정적”이라며 “NK세포치료제는 최근 각광 받는 기술로 국내 기업 중에서는 엔케이맥스가 앞서있다”고 강조했다.
2022.04.28 I 이순용 기자
올리브임상연구센터, MHS특허사무소와 지식재산 강화협력 MOU 체결
  • 올리브임상연구센터, MHS특허사무소와 지식재산 강화협력 MOU 체결
  • 올리브임상연구센터가 지난 27일 MHS특허사무소와 지식재산 강화협력 MOU 협약식을 성료했다. (왼쪽부터) 김성우 올리브임상연구센터 대표, 명정용 MHS 대표변리사 (사진=올리브임상연구센터)[이데일리 이윤정 기자] 올리브임상연구센터가 MHS특허사무소와 손을 잡고 보건산업 분야 지식재산권 확보 및 경쟁력 강화에 나선다.올리브임상연구센터(이하 ACRC)는 지난 27일 MHS특허사무소(이하 MHS)와 ‘지식재산 강화 협력을 위한 전략적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8일 밝혔다.이번 협약을 통해 양사는 ‘신규 연구성과에 대한 지식재산권 보호’를 필두로 인체적용시험 위탁 고객사의 국내외 특허출원, 상표 및 디자인 등 공동 지적재산권 확보를 위해 협력한다.ACRC는 화장품, 건강기능식품, 의약외품 등의 기능성 및 유효성을 검증하는 헬스&뷰티 임상시험수탁기관(CRO)이다. 식약처 가이드라인과 임상시험관리기준(GCP)을 준수한 임상시험을 수행하며, 독자적인 기관생명윤리위원회(IRB) 운영을 통해 피험자의 권리 보호 및 연구의 타당성 심의 관리·감독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MHS는 지식재산권 창출 및 포트폴리오 구축에 전문적인 특허법률사무소로 수요자 중심의 지식재산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김성우 ACRC 대표는 “ACRC는 원료 개발부터 제형 처방, 효능 평가, 인허가, IP 솔루션 제공 등 고객사의 제품 개발 초기 단계부터 상용화 단계까지 전주기 맞춤형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면서 “이번 협약을 통해 뷰티 신기술에 대한 권리화 체계를 확보한 만큼 고객사가 제품 혁신을 이루는 데에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2022.04.28 I 이윤정 기자
정부, 美 생명과학 기업 투자유치 추진
  • 정부, 美 생명과학 기업 투자유치 추진
  • [이데일리 윤종성 기자] 정부가 글로벌 백신 허브 구축 계획 실현을 위해 미국 생명과학 기업인 써모피셔 사이언티픽의 투자유치에 나섰다.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왼쪽)이 28일 인천 연수구에 소재한 써모피셔 사이언티픽의 바이오프로세스 디자인센터를 방문해 석수진 써모피셔 사이언티픽 코리아 대표(오른쪽)로부터 회사 운영현황과 애로사항을 청취한 후 센터내 주요 시설을 둘러보고있다28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은 이날 인천 연수구 송도에 있는 써모피셔의 바이오프로세스 디자인센터를 방문해 투자유치 방안을 논의했다.써모피셔는 전 세계 60여개국에 8만여명의 직원을 보유한 글로벌 생명과학 기업이다. 최근 코로나19 백신으로 수요가 급증한 배지, 일회용백 등 핵심 원부자재를 생산하고 있다.국내에는 1994년 ‘피셔 사이언티픽 코리아’로 진출한 이래 지난해 7월 바이오프로세스 디자인센터를 개소한 데 이어, 올 1월에는 ‘바이오프로세스 서플라이센터’ 설립을 발표하는 등 다양한 투자를 진행해왔다.써모피셔 본사는 지난해 6억5000만달러(약 8200억원) 이상을 투자해 미국, 유럽, 아시아 등지에 백신 원부자재 공장을 확대하겠다고 발표했다. 다만 구체적인 투자 지역과 규모 등은 아직 확정하지 않았다.이에 정부는 써모피셔가 투자를 계획 중인 백신 원부자재 생산시설의 일부를 국내에 유치하기 위해 이번 행사를 기획했다.여 본부장은 “한미 양국은 작년 5월 한미 글로벌 백신 파트너십을 구축한 이래 미국의 백신 기술 및 원부자재 공급능력과 한국의 생산능력을 상호 결합하고자 긴밀히 협력해 왔다”고 언급했다.이어 “한국을 글로벌 백신허브로 육성하고자 적극 노력한 결과 지난해 싸이티바, 싸토리우스 등 우수한 백신 원부자재 기업 유치에 성공한 바 있다”며 “써모피셔의 한국 투자를 위해서도 앞으로 긴밀히 논의해나가자”고 말했다.여 본부장은 “한국은 우수한 바이오 역량, 적극적인 외국인 투자 유치정책, 58개국과의 자유무역협정(FTA), 한-미·한-유럽연합(EU) 백신 파트너십 등 개방적이고 투명한 협력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아시아 지역의 백신 거점으로 최적의 장소”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그는 “최근 SK바이오사이언스의 코로나19 백신 임상 3상 결과가 우수하게 나왔따”면서 “앞으로 더욱 많은 비즈니스 기회가 확보되고, 적극적인 규제 완화도 예상되는 만큼 한국을 투자처로서 적극 고려해달라”고 당부했다.
2022.04.28 I 윤종성 기자
엔케이맥스, 미국임상종양학회에 4개 연구 초록 채택
  • 엔케이맥스, 미국임상종양학회에 4개 연구 초록 채택
  • [이데일리 안혜신 기자] 엔케이맥스(182400)는 미국임상종양학회(ASCO)에 총 4개의 초록이 채택됐다고 28일 밝혔다. ASCO는 세계 3대 암 학회 중 하나로 후기 임상결과를 공개하는 학회다.4개의 초록은 엔케이맥스 미국법인 엔케이젠 바이오텍에서 제출한 두 건과 공동임상을 진행중인 아피메드(Affimed NV), 덴마크 베이에 병원(Vejle Hospital) 각각 한 건씩이다. 아피메드는 이중항체를 개발하는 개발하는 나스닥 상장사로 4월 AACR 학회에서도 유의미한 임상결과를 공개하며 주목 받았다. 또 베이에 병원은 덴마크의 국립암병원으로 유방암, 림프종, 폐암 치료 우수 병원으로 알려져있다. 이번에 채택된 4가지 초록은 불응성 고형암 대상 미국 임상1상 슈퍼NK(SNK01) 단독투여군과 슈퍼NK+바벤시오(성분명 Avelumab) 병용투여군, EGFR 양성 고형암 대상 미국 임상1/2a상 연구, 폐암 환자 대상 NK Vue 키트를 이용한 치료반응률 측정 연구다. ASCO학회에 국내 바이오기업의 4개 초록이 채택된 것은 이례적인 일이라는 엔케이맥스 측 설명이다.엔케이맥스 관계자는 “ASCO학회에서 발표될 불응성 고형암 임상1상에 대한 추가 데이터가 기대된다”면서 “말기 육종암 환자에게서 지난해 8월 완전관해(CR)이라는 중간 결과를 도출한데 이어 최근 동정적사용승인을 받은 육종암 환자에게서도 CR이라는 결과를 공개한 바 있다”고 말했다.
2022.04.28 I 안혜신 기자
바이젠셀, GMP센터 준공…"임상 가속화·상업용 대량생산 시동"
  • 바이젠셀, GMP센터 준공…"임상 가속화·상업용 대량생산 시동"
  • [이데일리 양지윤 기자] 면역세포치료제 전문기업 바이젠셀(308080)은 지난 27일 서울시 금천구에 GMP(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 센터를 개소했다고 28일 밝혔다.바이젠셀 김태규 대표이사(왼쪽 네번째) 와 주요 임원진.(사진=바이젠셀)바이젠셀 GMP센터는 전용면적 420평(1375.70㎡) 규모에 △면역세포치료제와 면역세포유전자치료제 생산 △말초혈액뱅킹 △mRNA 생산이 가능한 전주기시스템을 갖췄다. 제조시설은 △7개의 무균공정실(클린룸)과 △2개의 완제품 보관실 △1개의 무균전처리실 △원료보관실 △일반시험구역 △무균시험실 △외래성바이러스부정시험실 △생물학적시험실 △미생물검사실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마이코플라즈마 검사, 무균 검사, 엔도톡신 검사, 외래성 바이러스검사 등이 가능한 시스템을 구축했다.바이젠셀은 하반기 중 첨단바이오의약품 제조업허가와 인체세포등 관리업 허가를 획득하고, 세포처리시설 신고를 실시할 계획이다. 이와 더불어 오는 8월부터 임상시험용 의약품을 본격적으로 생산한다.김태규 바이젠셀 대표는 “GMP센터 준공을 통한 임상시험용 의약품의 자체 생산이 가능해지면서 시간과 비용을 절감해 파이프라인 개발에 더욱 속도를 낼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전주기 자동화 바이오첨단의약품 GMP센터로 설계되어 신규 파이프라인의 적극적인 연구개발 및 발표를 지속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바이젠셀은 △바이티어(ViTier™, VT), △바이메디어(ViMedier™, VM), △바이레인저(ViRanger™, VR)를 플랫폼으로 면역세포치료제를 연구개발 중이다.
2022.04.28 I 양지윤 기자
  • 이뮤노믹 테라퓨틱스 “메르켈세포암 세계 첫 치료백신 임상 임박”
  • [이데일리 김유림 기자] 면역 백신 항암제를 개발중인 에이치엘비(HLB(028300)) 미국 자회사 이뮤노믹이 미국암학회 연례학술회의(AACR)에서 구두발표한 영상이 공개됐다고 28일 밝혔다. 이뮤노믹은 세포치료백신 플랫폼 ‘UNITE’를 기반으로 악성 교모세포종을 타겟한 수지상세포 항암백신 ‘ITI-1000’, DNA 항암백신 ‘ITI-1001’, 메르켈 세포암을 타겟한 DNA 항암백신 ‘ITI-3000’ 등을 개발하고 있는 기업이다.ITI-1000의 경우 현재 미국 듀크대학과 플로리다대학에서 임상 2상(임상명 ATTAC-II)이 진행 중으로, 뇌종양 치료 분야 권위자인 존 샘슨(John Sampson) 박사와 듀앤 미첼(Duane Mitchell) 박사가 참여하고 있다. 회사 측에 따르면 1상 시험에서 환자의 전체생존기간 중앙값(mOS)이 40개월 이상을 보여 대조군인 기존 치료제의 14개월에 비해 월등히 높은 생존기간을 보였다.작년 11월 미국 신경종양학회(SNO)서 중간 결과를 발표한 듀크대 크리스틴 배치 박사는 “ITI-1000을 투여 후 환자의 생존기간이 크게 증가하고 있음을 확인해 교모세포종에 대한 수지상세포 백신의 높은 가능성을 확인했다”고 발표한 바 있다.이번 AACR에서 발표한 메르켈세포암 항암백신 ITI-3000은 백신플랫폼 ‘UNITE’를 기반으로 LAMP1(lysosomal-associated membrane protein)에 폴리오마 바이러스의 거대T항원(Large T antigen)을 결합해 만든 항암치료 백신이다. 올해 2월 미국 FDA로부터 임상 1상 시험계획(IND)를 승인 받았으며, 오는 5월 오픈라벨 방식으로 환자 투여가 시작될 예정이다.발표자인 Claire Rosean 박사는 “ITI-3000은 면역세포(CD4+T Cells) 뿐만 아니라 킬러 T세포, NK세포, NKT세포 등을 증가시켜 강력한 면역반응을 이끌어냈으며, 인터페론감마(IFNγ)와 같은 사이토카인의 분비를 촉진해 종양미세환경 개선에 효과적임을 확인했다”고 말했다.이뮤노믹의 면역백신 항암제 임상 순항과 함께 또 다른 미국 자회사인 엘레바의 리보세라닙 선양낭성암 1차 2상, 간암 1차 3상이 막바지에 다다르며 최대주주인 에이치엘비의 기업가치도 크게 상승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특히 올해 리보세라닙 선낭암, 간암 글로벌 임상과 항암백신 ITI-1000 임상 2상이 완료될 것으로 보이고, 중국 항서제약으로부터 리보세라닙 로열티 증가, 세포독성항암제 ‘아필리아’ 판매개시 등 매출수익도 더욱 다변화 될 것으로 전망된다.HLB그룹의 미국 바이오 기업으로는 표적항암제를 개발중인 엘레바 테라퓨틱스(Elevar Therapeutics)와 백신플랫폼 UNITE를 기반으로 다양한 면역 항암제를 개발중인 이뮤노믹 테라퓨틱스(Immunomic Therapeutics), 그리고 차세대 CAR-T 치료제를 개발중인 베리스모 테라퓨틱스(Verismo Therapeutics) 등이 있다.회사 관계자는 “올해 신약후보군들이 하나씩 상업화를 위한 허가절차에 돌입함으로써, 에이치엘비가 글로벌 제약업계에 본격적으로 알려지는 시작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2022.04.28 I 김유림 기자
루닛, 美 ASCO서 연구초록 11편 발표...“임상적 유용성 입증”
  • 루닛, 美 ASCO서 연구초록 11편 발표...“임상적 유용성 입증”
  • [이데일리 송영두 기자] 루닛은 오는 6월 3일부터 7일까지 미국 시카고에서 개최되는 2022년 미국 임상종양학회(ASCO 2022)에서 단독 및 공동 연구 11편(포스터 7편, 온라인 4편)이 채택됐다고 28일 밝혔다.루닛은 지난 2019년부터 매년 ASCO에서 연구초록을 발표했으며, 올해는 모두 11편으로 가장 큰 규모의 연구 결과를 발표하게 됐다.이번 ASCO에서 루닛은 AI 바이오마커 ‘루닛 스코프 IO(Lunit SCOPE IO)’를 활용해 암 환자별 면역학적 형질에 따라 3가지 면역표현형으로 분류해 연구를 진행했다. 그 결과 루닛 스코프 IO가 16개 이상의 다양한 암종에서 면역항암제의 치료 결과를 예측하는 모델로서의 유의함을 입증한 연구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또한 루닛은 실제 병리과 전문의가 판독 과정에서 AI 기반 병리분석 솔루션인 ‘루닛 스코프 PD-L1(Lunit SCOPE PD-L1)’을 사용할 때 임상적 유용성을 평가한 연구 결과도 발표한다.루닛은 유방촬영술 검사를 통해 비록 암이 발견되진 않았지만, 미래에 유방암이 발생할 위험도를 예측할 수 있는 새로운 AI 영상분석 솔루션을 제시, 기존 유방암 예측 모형보다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함께 발표한다.루닛 스코프 HER2를 개발해 관찰자 간 변이(Inter-Observer Variation)를 줄인 타 기관과 협업한 공동 연구도 발표한다. 이어 루닛 스코프 IO가 희귀암종인 신경내분비종양에서도 분석 가능하며, 병리학적 등급에 따라 면역세포인 종양침윤림프구(TIL)의 분포가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분석한 연구 등 연구초록 4편을 온라인으로 발표할 예정이다.서범석 루닛 대표는 “이번 학회에서는 루닛이 면역항암제의 효과 예측을 위한 AI 바이오마커로 개발 중인 루닛 스코프 IO가 보다 다양한 암종의 환자 치료에 적용될 가능성을 다시 한 번 확인하게 됐다”며 “앞으로도 환자들이 AI를 통해 암의 전반적인 영역에 걸쳐 한 단계 높은 의료 서비스를 경험할 수 있도록 보다 다양한 연구 활동을 지속할 것”이라고 말했다.한편 1964년 설립된 미국 임상종양학회(ASCO)는 세계 최고 권위의 암 학회 중 하나로, 매년 4만명 이상의 과학자 및 의료산업 관계자들이 참석해 최신 암 치료 개발 동향과 임상 결과 등을 발표하는 국제학술행사다.
2022.04.28 I 송영두 기자
이뮤노믹, 메르켈세포암 세계 첫 치료백신 임상 임박
  • 이뮤노믹, 메르켈세포암 세계 첫 치료백신 임상 임박
  • [이데일리 안혜신 기자] 면역 백신 항암제를 개발중인 에이치엘비(HLB(028300))는 미국 자회사 이뮤노믹이 미국암학회 연례학술회의(AACR)에서 구두발표한 영상이 26일 공개됐다고 28일 밝혔다.이뮤노믹은 세포치료백신 플랫폼 UNITE를 기반으로 악성 교모세포종을 타겟한 수지상세포 항암백신 ITI-1000, DNA 항암백신 ITI-1001, 메르켈 세포암을 타겟한 DNA 항암백신 ITI-3000 등을 개발하고 있는 기업이다.ITI-1000의 경우 현재 미국 듀크대학과 플로리다대학에서 임상 2상(임상명 ATTAC-II)이 진행 중으로, 뇌종양 치료 분야 권위자인 존 샘슨(John Sampson) 박사와 듀앤 미첼(Duane Mitchell) 박사가 참여하고 있다. 1상 시험에서 환자의 전체생존기간 중앙값(mOS)이 40개월 이상을 보여 대조군인 기존 치료제의 14개월에 비해 월등히 높은 생존기간을 보였다.작년 11월 미국 신경종양학회(SNO)서 중간 결과를 발표한 듀크대 크리스틴 배치 박사는 ‘ITI-1000을 투여 후 환자의 생존기간이 크게 증가하고 있음을 확인해 교모세포종에 대한 수지상세포 백신의 높은 가능성을 확인했다’고 발표한 바 있다.이번 AACR에서 발표한 메르켈세포암 항암백신 ITI-3000은 백신플랫폼 UNITE를 기반으로 LAMP1(lysosomal-associated membrane protein)에 폴리오마 바이러스의 거대T항원(Large T antigen)을 결합해 만든 항암치료 백신이다. 올해 2월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임상 1상 시험계획(IND)를 승인 받았으며, 오는 5월 오픈라벨 방식으로 환자 투여가 시작될 예정이다. 발표자인 클레어 로진(Claire Rosean) 박사는 “ITI-3000은 면역세포(CD4+T Cells) 뿐만 아니라 킬러 T세포, NK세포, NKT세포 등을 증가시켜 강력한 면역반응을 이끌어냈다”면서 “인터페론감마(IFNγ)와 같은 사이토카인의 분비를 촉진해 종양미세환경 개선에 효과적임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이뮤노믹의 면역백신 항암제 임상 순항과 함께 또 다른 미국 자회사인 엘레바의 리보세라닙 선양낭성암 1차 2상, 간암 1차 3상이 막바지에 다다르며 최대주주인 에이치엘비의 기업가치도 크게 상승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특히 올해 리보세라닙 선낭암, 간암 글로벌 임상과 항암백신 ITI-1000 임상 2상이 완료될 것으로 보이고, 중국 항서제약으로부터 리보세라닙 로열티 증가, 세포독성항암제 아필리아 판매개시 등 매출수익도 더욱 다변화 될 것으로 전망된다.HLB그룹의 미국 바이오 기업으로는 표적항암제를 개발중인 엘레바 테라퓨틱스(Elevar Therapeutics)와 백신플랫폼 UNITE를 기반으로 다양한 면역 항암제를 개발중인 이뮤노믹 테라퓨틱스(Immunomic Therapeutics), 차세대 CAR-T 치료제를 개발중인 베리스모 테라퓨틱스(Verismo Therapeutics) 등이 있다. HLB 관계자는 “올해 신약후보군들이 하나씩 상업화를 위한 허가절차에 돌입함으로써 HLB가 글로벌 제약업계에 본격적으로 알려지는 시작점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HLB는 올해 1분기 634억3800만원의 매출을 올려 전년 동기 대비 1052% 성장했으며, 영업이익도 188억6800만원을 달성해 흑자전환하며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2022.04.28 I 안혜신 기자
지엔티파마, 알츠하이머 등 뇌질환 치료제 임상 1b상 투약 완료
  • 지엔티파마, 알츠하이머 등 뇌질환 치료제 임상 1b상 투약 완료
  • [이데일리 안혜신 기자] 신약 개발 벤처기업 지엔티파마는 퇴행성 뇌질환 및 우울증 치료제로 개발 중인 크리스데살라진의 임상 1b상에서 노인을 포함한 건강한 성인 40명에 대한 투약을 완료했다고 28일 밝혔다.크리스데살라진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1세기 뇌프론티어 연구개발사업의 지원을 받아 발굴한 알츠하이머 치매 신약이다. 크리스데살라진은 mPGES-1 억제제로 염증 매개 물질인 프로스타글란딘 E2의 생성을 억제하고, 강력한 자유 라디칼 포착 작용으로 유해 물질인 활성산소를 제거하도록 고안한 다중표적 합성신약이다.크리스데살라진은 비임상 연구에서 알츠하이머 치매의 3대 바이오마커(△아밀로이드 플라크 △타우병증 △신경세포 사멸)를 모두 줄이며 인지 기능을 향상하는 것으로 밝혀져 네이처 뉴로사이언스 등 뇌신경 과학 분야 저명 학술지에 발표됐다.또 인간의 알츠하이머 치매와 매우 유사하다고 알려진 반려견 인지기능장애증후군 임상 3상에서 확연한 약효와 안전성이 입증돼 지난해 2월 농림축산검역본부로부터 국내 최초 동물용 의약품 합성신약으로 승인받아 제다큐어 츄어블정이라는 상품명으로 출시됐다.크리스데살라진은 건강한 성인 32명을 대상으로 완료한 임상 1a상 단회 상승용량시험에서 경구로 20~200mg을 투약했을 때 안전성이 검증된 바 있다.이번에 등록을 완료한 임상 1b상은 추가 단회 상승용량시험인 PART 2와 반복 상승용량시험인 PART 3로 구분해서 진행됐다. PART 2에서 600mg을 투여해도 중대 이상 반응이 나타나지 않았고, PART 3에서 200mg을 12시간 간격으로 15회 투여해도 건강한 성인은 물론 65세 이상 노인에게서도 안전성이 확인됐다.크리스데살라진 100mg 경구 투여 후 생체 흡수율은 알츠하이머 치매 동물모델 및 반려견 인지기능장애증후군에서 최대 약효를 나타내는 크리스데살라진의 생체흡수율과 유사했다.건강한 성인 72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임상 1상에서 크리스데살라진의 최대 목표 투여용량에서의 안전성이 확보됨에 따라 지엔티파마는 연내에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 2상 시험계획서(IND)를 신청할 계획이다.또 지엔티파마 연구진은 루게릭병과 우울증 동물모델에서 크리스데살라진의 탁월한 약효와 안전성을 입증했다. 이는 미충족 의료수요를 해결할 수 있는 획기적인 결과로 지엔티파마는 루게릭병과 우울증 환자에 대한 임상 2상도 진행할 예정이다.곽병주 지엔티파마 대표(연세대 생명과학부 겸임교수)는 “노인을 포함한 72명의 건강한 성인에게서 안전성이 확인됐고, 반려견 인지기능장애증후군 신약으로 승인받은 크리스데살라진이 알츠하이머 치매 치료제로 개발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면서 “이 순간에도 고통받고 있을 환자와 가족을 위해 크리스데살라진의 임상시험을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진행해 신약으로 출시할 수 있도록 총력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2022.04.28 I 안혜신 기자
국립보건연구원 'SK바이오사이언스' 코로나 백신 변이주 효능평가 착수
  • 국립보건연구원 'SK바이오사이언스' 코로나 백신 변이주 효능평가 착수
  • [이데일리 양희동 기자]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은 28일 ‘포스트 오미크론’ 시대를 대비하고자 국내 개발 코로나19 백신의 변이바이러스에 대한 중화능 평가를 착수했다고 밝혔다. 중화능평가 는 코로나 바이러스의 감염을 억제(중화)할 수 있는 중화항체의 양을 측정하는 것이다.국립보건연구원은 지난달 SK바이오사이언스(302440)에서 개발 중인 코로나19 백신의 허가에 필요한 임상3상 시험 우선 분석 대상 검체 분석을 완료했다. 그러나 이 백신은 초기 우한주를 기반으로 개발돼 국내 유행 주요 변이바이러스(델타, 오미크론)에 대한 효능 검증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돼 왔다.국립보건연구원은 이에 국내 개발 백신의 변이바이러스에 대한 효능평가를 시작했다고 설명했다.권준욱 국립보건연구원장은 “코로나19 변이가 지속 발생함에 따라, 신종 변이바이러스 출현에 대한 선제적 대응 능력을 강화해야 한다”며 “국내 백신연구개발 선도기관인 국립감염병연구소 공공백신개발 지원센터를 중심으로 메신저 리보핵산(mRNA) 백신 등 다양한 플랫폼의 국내 개발 백신에 대한 변이바이러스 평가 등 지속적인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2022.04.28 I 양희동 기자
헬릭스미스, 카텍셀·지아이셀과 세포유전자치료제 맞손
  • 헬릭스미스, 카텍셀·지아이셀과 세포유전자치료제 맞손
  • [이데일리 김겨레 기자] 헬릭스미스(084990)가 카텍셀, 지아이셀과 세포유전자치료제 공동 연구를 위한 3자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8일 밝혔다.왼쪽부터 홍천표 지아이셀 대표이사, 유승신 헬릭스미스 대표이사, 서재희 카텍셀 대표이사가 세포유전자치료제 공동연구 협약식에 참석했다. (사진=헬릭스미스)이번 업무협약에 따라 3사는 세포유전자치료제 후보물질을 도출하고 임상시험약 제조 및 상업화를 위해 협력할 예정이다. 헬릭스미스 CGT 센터(Cell & Gene Therapy Center)의 세포유전자치료제 개발 및 생산 기술과 원스톱 서비스, 카텍셀의 CAR-T 세포치료제 기술, 그리고 지아이셀의 면역세포 배양 및 동결 시스템을 기반으로 3사가 함께 세포유전자치료제 시장을 선도해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경기도 성남시에 위치한 지아이셀 본사에서 진행된 이번 체결식에는 헬릭스미스 유승신 대표이사, 카텍셀 서제희 대표이사, 채진아 센터장, 지아이셀 홍천표 대표이사, 민병조 사장 등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했다.유승신 헬릭스미스 대표이사는 “이번 MOU를 통해 세포유전자치료제 사업에서 차별화된 경쟁력을 보여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우수 기업들과의 다양한 협약을 통해 세계 시장에서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글로벌 유전자치료제 기업으로서 도약해 나가겠다”고 말했다.서제희 카텍셀 대표이사는 “헬릭스미스와 카텍셀의 고도화된 CAR 유전자 엔지니어링 및 전달 기술과 지아이셀의 차별화된 면역세포 배양 기술의 융합을 통해 CAR-NK 세포치료제 파이프라인을 조기에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2022.04.28 I 김겨레 기자
동아에스티, 파이프라인 개발 순항중…목표가↑-신한
  • 동아에스티, 파이프라인 개발 순항중…목표가↑-신한
  • [이데일리 안혜신 기자] 신한금융투자는 28일 동아에스티(170900)에 대해 실적 추정치를 조정하면서 목표가를 8만원으로 상향했다. 투자의견은 ‘매수’를 유지했다. 상승여력은 14%다.별도 기준으로 1분기 매출은 전년비 9% 증가한 1535억원, 영업이익은 820.1% 늘어난 79억원을 달성했다. 컨센서스 대비 매출은 부합했지만 영업이익이 시장의 추정치보다 크게 상회했다. 영업이익의 상승 배경은 경영개선 노력에 의한 판촉비 등의 비용 절감 효과와 1분기 연구개발(R&D) 비용이 집행 이연됨에 따른 효과다.부문별 매출을 살펴보면 전 부문에서 전년동기 대비 매출이 증가했다. ETC 주력제품군인 그로트로핀, 슈가논 등이 지속적으로 성장했다. 특히 ETC 제품군에서 성장호르몬제인 그로트로핀이 단일 제품만으로 매출 122억원을 기록했다. 해외 사업부는 터키 지역의 환율 하락에 따른 발주 지연 이슈 및 원재료 수급 이슈 등으로 일부 제품의 실적은 부진했으나 캔박카스의 회복이 전체 매출 상승을 견인했다.정재원 연구원은 “현재는 스텔라라 바이오시밀러의 성공적인 출시에 집중하고 있으며 이후 중장기적으로 오픈이노베이션을 통해 확보할 추가 파이프라인에 집중할 계획”이라면서 “스텔라라 바이오시밀러 파이프라인인 DMB-3115는 글로벌 임상 3상을 진행 중이며 예상 대비 빠른 스케줄로 진행되고 있어 올해 임상이 완료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고 설명했다.미국 및 유럽의 특허 만료시기 이전에 개발을 완료할 수 있을 전망이다. 그 외에도 과민성방광치료제 DA-8010은 최근 3월 국내 임상 3상을 개시했고 2024년 1분기 임상 완료 후 2025년 발매를 계획 중이다.레드엔비아와 파트너를 맺어 적응증 확장을 시도 중인 슈가논은 최근 임상시험계획(IND) 승인을 받아 상반기 중 임상이 개시될 예정이다. 예상 탑라인 결과 발표 시점은 2023년 상반기다.정 연구원은 “현 시점에서 가장 빠른 모멘텀이 올 하반기라는 점을 고려하더라도 본 사업의 실적 추정치 조정에 따라 목표주가를 상향한다”면서 “작년 2분기를 기점으로 반등해 증가 추세인 캔박카스, 최근 브라질 텐더 시장에 진입해 매출이 발생 중인 그로트로핀 및 하반기 신규라인 도입이 예상되는 메디컬 사업부 등을 고려해 전체 사업부의 추정치를 조정했다”고 설명했다.
2022.04.28 I 안혜신 기자
‘엔데믹 체제’ 에스디바이오센서, 키워드는 ‘해외직판-연속혈당측정’
  • ‘엔데믹 체제’ 에스디바이오센서, 키워드는 ‘해외직판-연속혈당측정’
  • [이데일리 송영두 기자] 에스디바이오센서가 코로나19 엔데믹에 대비한 새판짜기에 나서고 있다. 미국과 한국은 물론 세계 각국이 코로나 팬데믹 종료 선언 시기를 조율하고 있는 만큼 코로나 외 새로운 성장 전략이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회사는 해외 직판 체계 구축으로 수익 극대화와 신사업 진출을 통한 신규 매출 확보에 주력한다는 방침이다. 25일 투자증권업계에 따르면 에스디바이오센서(137310)는 올해 1분기 약 1조원의 매출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에스디바이오센서의 올해 1분기 컨센서스는 매출 약 1조738억원, 영업이익 약 4774억원, 당기순이익 약 3306억원이다. 이는 1조1791억원의 매출과 5763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던 지난해 1분기 이후 분기별 최고 실적에 해당한다.하지만 에스디바이오센서는 코로나 이후 성장 동력을 마련하기 위해 동분서주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코로나 팬데믹 종료선언으로 진단키트 수요가 자연스럽게 감소할 것으로 본다”면서도 “다만 미국 등 여러 국가가 백신 접종률과 함께 현장진단 수요를 높이고 있는 만큼 서서히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로 접어든 만큼 국내 진단기업들은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해 보인다”고 말했다.에스디바이오센서 ‘ECCMID 2022’ STANDARD M10 부스.(사진=에스디바이오센서)◇해외 직판으로 이익 극대화에스디바이오센서는 최근 해외 의료기기 유통기업들을 잇달아 인수하면서 해외직접판매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지난해 11월 브라질 기업 ‘Eco Diagnostica’를 약 474억원에 인수했고, 올해 3월과 4월에는 독일 ‘Bestbion dx’사와 이탈리아 ‘Relab’사를 각각 약 162억원, 약 620억원에 인수했다. 3개 기업 인수에 총 1256억원이 들었는데, 이들 기업의 지난해 매출은 총 2300억원 규모다.사실상 현지 유통단계를 거치지 않는 직접 판매 체계를 구축했다는 게 업계 설명이다. 업계 관계자는 “해외 지역 유통판매 기업을 인수했다는 것은 직판을 위한 것으로 해석된다”며 “기존 해외 대리점이나 유통사를 거쳐 판매되면 수수료가 상당하다. 직판 체계를 구축하면 이런 수수료가 발생하지 않아 수익률이 높아질 수 있다”고 말했다. 에스디바이오센서 관계자는 “브라질과 독일, 이탈리아 유통기업을 인수한 것은 해당 지역에 빠르게 진출해 유통망을 강화하고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전략이다. 미국에서도 유통 경쟁력 강화를 위해 M&A를 추진 중”이라고 설명했다.해외 직판 체계 구축을 바탕으로 판매에 나설 핵심 제품은 바로 ‘STANDARD M10’이다. 코로나 외 질병 진단 확장성이 무척 높기 때문이다. 지난 23일부터 26일까지 포루투칼 리스본에서 열리고 있는 ‘ECCMID 2022’에서 ‘STANDARD M10’ 단독 부스를 마련해 공개할 정도다. ‘ECCMID 2022’는 감염병 분야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학회이자 유럽 최대 임상미생물학회다.‘STANDARD M’은 에스디바이오센서의 분자진단 브랜드로 ‘STANDARD M10’은 현장에서 빠르고 정확한 결과 확인이 가능한 현장 신속분자진단 시스템이다. 기존 PCR 장비만큼 정확도를 유지하면서 1시간 내 신속한 검사 결과를 도출한다. 2021년 12월 확진용 현장 신속분자진단 시스템 최초로 국내 허가를 획득, 올해 정식 출시를 통해 매출 발생이 기대된다. 이를 위해 충북 증평산업단지내 8880평 부지에 1880억원을 투자해 ‘STANDARD M10’ 카트리지 제품 생산공장도 건설 중이다.에스디바이오센서 측은 “PCR(유전자증폭방식)과 LAMP(등온증폭방식) 모두 가능한 현장분자진단 제품이다. 올해 국내 약 3000대 설치 예정이고, 유럽 지역 사용 확대로 인해 매출 증가를 기대하고 있다”며 “코로나 외에도 5월에는 호흡기 다종 검사, 결핵균 약제내성(MDR-TB) 검사, 인유두종바이러스(HPV) 검사, 성병(STI) 검사, 대장검사 제품들에 대한 CE 등록과 제품 론칭이 예정돼 있다. 유럽 시장 내 M10의 확장성에 대한 기대감이 크다”고 설명했다.◇연속혈당측정기 신사업 진출, 24년 상업화 목표에스디바이오센서가 준비하고 있는 또다른 신사업은 연속혈당측정기다. 이미 지난해 10월 연속혈당측정기 개발 기업 유엑스엔 지분 22.81%를 약 380억원에 인수하며 최대주주로 올라서 기반을 마련한 상태다. 유엑스엔은 나노다공성 백금 전기도금 방식을 적용해 초소형 연속혈당측정기를 개발 중이다. 에스디바이오센서가 상당한 역할을 할 전망이다.글로벌 기업인 애보트, 메드트로닉, 덱스콤이 개발한 효소 기반 연속혈당측정기는 안정화 시간이 1~2시간인데 비해 유엑스엔과 에스디바이오센서가 개발 중인 제품은 30분에 불과하고, 센서 수명도 15일 정도여서 10일 정도인 이들 제품을 뛰어넘는다. 연속혈당측정기 시장은 당뇨환자 급증으로 2027년 약 7조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에스디바이오센서 관계자는 “세계 당뇨환자는 2024년까지 7억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싱된다. 혈당변화 실시간 모니터링 연속혈당측정기의 중요성이 부각될 것”이라며 “유엑스엔의 특허기술과 에스디바이오센서의 제품개발 능력 및 유통망을 활용해 2024년 초 시장 진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
2022.04.28 I 송영두 기자
국내 최강 후성유전체 진단기업 노리는 시선바이오머티리얼스
  • 국내 최강 후성유전체 진단기업 노리는 시선바이오머티리얼스
  • [이데일리 이순용 기자] 국내 유전자 진단업체 중 시선바이오머티리얼스(대표 박희경, 이하 시선바이오)가 후성유전체 진단을 차별화된 경쟁 우위를 보일 수 있는 전략개발 분야로 삼고 연구에 전력투구하고 있다.이 회사는 지난해 12월 악성 뇌종양인 교모세포종 치료에 쓰이는 테모졸로미드 항암제의 예후 예측을 위한 MGMT 유전자 메틸화 진단제품인 ‘에피탑엠지엠티디텍션키트’(Epi-TOP mMGMT Detection Kit)의 국내 허가를 획득함으로써 후성유전체 진출의 첫 신호탄을 쏘아올렸다. 후성적 유전변이로 인해 MGMT 유전자가 메틸화된 환자는 테모졸로미드의 항암 효과가 더 높다. 후성 변이는 유전자 고유 서열은 변하지 않지만 노화, 비만, 흡연, 환경오염, 섭식 등 환경적 요인으로 유전자 발현 및 기능이 비정상적으로 변화돼 암, 면역질환, 대사질환 등 다양한 질병을 유발하는 일련의 비선천성 유전적 영향을 통칭한다. 대표적인 게 유전자 서열의 특정 염기에 메틸(CH₃)기가 붙는 DNA 메틸레이션이다. 메틸레이션이 일어나면 대체로 해당 유전자의 기능이 방해받지만 때로는 활성화되면서 병을 유발하거나 반대로 억제할 수 있다.후성 유전체 변이 현상은 헬스케어산업에서 질병의 조기진단, 평생 건강관리 모니터링, 항암제 적합성 판정(치료 예후 예측 분야로 관련 제품 및 서비스 개발이 이뤄지고 있다. 시선바이오도 이에 맞춰 후성유전체 의학시대에 대비하고 있다. 우선 질병의 조기진단 분야에서는 유전성질환의 진단 및 발병 위험도 예측, 암의 조기진단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박희경 대표는 “암은 발병 원인이 복합적이고 생활환경과 식습관과 같은 외부 환경요인에 의해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최근 후성 유전체를 기반한 진단법 및 기술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며 “현재 췌장암, 폐암 등 난치성 암을 조기에 진단할 수 있는 DNA 메틸화 바이오마커 기반의 진단 패널을 개발 중”이라고 말했다. 시선바이오는 2019년부터 유력한 바이오마커를 선정해오면서 진단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연구용 임상을 진행하고 있다. 향후 1~2년내 의료기관과 유효성 검증을 위한 임상시험에 착수할 예정이며 늦어도 2028년까지 상용화한다는 목표다. 췌장암의 경우, 최근 중소벤처기업부 주관의 지역스타기업R&D 지원과제에 선정됐고 후성적 바이오마커를 추가 확보해 강북삼성병원과의 임상연구계약을 통해 진단 제품의 임상적 유효성을 검증할 예정이다. 폐암은 이미 건국대병원 폐암센터와 임상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향후 후성유전체 기반의 폐암 조기진단 제품의 식품의약품안전처 허가를 추진하고 분석서비스 사업을 전개할 계획이다. 대장암의 경우, 현미부수체불안정성(microsatellite instability, MSI)이 높은 유전형(MSI-H)을 보일 경우 MLH1메틸화 검사를 통해 유전성인지 비유전성인지 판별하며, 유전성으로 확인되면 환자의 가족을 대상으로 조기검진을 권고하고 있다. 시선바이오는 이미 허가받은 MSI 진단 유전형 진단 제품을 보유하고 있으며, 조기진단을 위한 MLH1메틸화 진단 제품을 개발 중이다. 시선바이오는 2018년 6월 개인유전체 분석서비스인 ‘진스아이 (Gene’s eye)‘를 론칭해 치매, 황반변성, 노인성난청 등 노인성질환과 11개 암종(폐암, 췌장암, 대장암, 난소암, 유방암, 위암, 간암, 전립선암, 갑상선암, 고환암, 신장암), 당뇨병(1형 및 2형), 심혈관질환(심장병, 고혈압, 정맥혈전증, 심혈관건강) 관련 특이적 유전자를 분석해 개인맞춤형 질병위험도 예측이 가능한 유전체 분석서비스를 진행하고 있다. 앞으로 DNA메틸레이션을 추가함으로써 더 다양한 질환의 예측 및 예방, 식습관 개선, 건강상태 관리 등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박희경 대표는 “시선바이오는 기존 DNA 추출·치환·고정 물질인 바이설페이트 대신 메틸화된 DNA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Epi-sPNA‘ 기능성 PNA 올리고머라는 자체 개발 물질로 판정의 재현성과 신속성을 높임으로써 우위의 경쟁력을 갖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후성유전체는 선천적 유전자가 설명해주지 못하는 질병 진행의 단서를 제공해준다는 점, DNA 메틸레이션 같은 확연하고도 안정적인 바이오마커가 있다는 점, RNA나 단백질로 진단하는 방법보다 조기진단이 가능하다는 점, 출생 이후 질병 전반의 잉태 및 진행 과정을 파악할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한다는 점, 기존 화학면역분석법보다 비용-효과가 높고 정량적 분석이 용이하다는 점 등에서 경쟁력 있는 진단 분야”라고 강조했다. 박 대표는 “예컨대 췌장암을 후성유전체 진단법으로 조기 진단할 수 있다면 치료비용의 절감효과를 가져오고, 후성유전체 분석 예측을 통해 이를 예방 또는 개선법을 제시해줄 수 있다”고 덧붙였다.
2022.04.27 I 이순용 기자
  • 초기 폐암 치료시 방사선 수술 연속 시행의 안전성 확인
  • [이데일리 이순용 기자] 경희대병원은 방사선종양학과 공문규 교수의 ‘폐암 방사선 수술 연속 시행의 안전성’ 논문이 SCI저널인 ‘International Journal of Radiation Research(IJRR)’에 게재가 확정됐다고 27일 밝혔다. 초기 폐암의 치료를 위한 방사선 수술이 늘어나고 있다. 수술적 치료에 비해 치료의 성과가 좋고 회복이 빠른 장점 덕분이다. 현재 초기 폐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대규모의 임상연구가 미국(VALOR trial)과 영국(SABRTooth trial)에서 진행 중인데 이 결과에 따라 공식적인 표준 치료가 방사선 수술로 바뀔 수도 있다.현재 임상에서 초기 폐암 환자들에게 시행되는 방사선 수술 방법은 보통 3~5차에 걸쳐 방사선 수술을 시행하며 수술마다 약 2~3일의 간격을 두고 있다. 방사선 수술시 간격을 두는 이유는 환자에게 부작용이 발행하지 않을까 하는 우려 때문이다. 공문규 교수는 자신이 치료했던 환자들을 대상으로 1일 1회의 방사선 수술을 연속적으로 진행하여 기존의 방사선 수술법에 비해 부작용이 증가하지 않았다는 연구결과를 내놓은 것이다.공 교수는 “그간 관행적으로 방사선 수술 사이 간격을 두던 환자와 비교하여 매일 연속적으로 방사선 수술을 진행한 환자들에게 부작용 발생의 증가가 없었다”며 “오히려 수술을 연속적으로 시행하여 수술 성적을 더 향상 시킬 수 있었고 수술기간이 짧아지는 효과까지 얻었다”고 말했다. 이어 “세계 최초로 소개한 이번 방사선 수술법이 폐암 방사선 수술의 표준 수술법으로 인정받기를 희망하며 이를 통해 환자의 치료 성과와 편의가 향상되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2022.04.27 I 이순용 기자
  • 다이어트에 성공하고 싶다면 유전자 검사부터
  • [이데일리 이순용 기자] 특정 유전자 변이를 가진 사람은 일부 영양소 섭취에 따라 비만과 복부비만의 위험도가 다른 것으로 밝혀졌다. 의학의 발전으로 다이어트도 유전자 검사를 통해 진행하는 시대가 도래했다.세브란스병원 가정의학과 이지원, 용인세브란스병원 가정의학과 권유진 교수 연구팀은 개인의 유전자 변이를 기준으로 식단을 조절해 맞춤형 비만 치료를 계획할 수 있다고 27일 밝혔다.비만을 치료하고 예방하기 위해서는 식단이 중요하다. 보통 저지방, 고단백 위주의 식사가 살을 빼는 데 좋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유전자 등 개인 특성에 따른 식이조절 방법은 아직 알려진 바 없다.연구팀은 국립보건연구원 한국인 유전체 역학 조사사업 자료를 활용해 총 5만 808명의 유전자 변이와 영양소 간 상호작용을 통계적으로 분석했다. 같은 양의 지방을 섭취하더라도 개인에 따라 복부비만 위험도가 달라질 수 있다. 비만세포의 생성과 사멸을 조절하는 칼슘 결합 단백질 운반체에 유전자 변이(CAB39-rs6722579)를 가진 사람이 총 섭취하는 칼로리의 30% 이상을 지방으로 섭취했을 때 해당 유전자 변이가 없는 사람에 비해 복부비만의 위험도가 3.73배 컸다. 또 엽산은 일반적으로 다이어트에 좋은 영양소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번 연구결과, 지방 생성과 분해에 관여하는 성장호르몬 수용체에 유전자 변이(GHR-rs4130113)를 가진 사람이 키위 15개 분량(개당 27mcg)에 해당하는 400mcg 이상의 엽산을 하루에 섭취했을 때 유전자 변이가 없는 사람에 비해 비만 위험도가 1.34배 이상 증가했다.체력보충에 도움을 줘 일명 활력 비타민으로 알려진 비타민 B군의 하나인 B12 섭취에 따른 위험도도 달라졌다. 당뇨병과 대사증후군 등을 유발하는 크리스탈린 베타 B2 유전자 변이(CRYBB2-rs59465035))가 있으면서 남자는 1425mg, 여자는 1125mg 이상의 비타민 B12를 섭취했을 때는 비만의 위험도가 1.54배 높았다.반면 비만세포의 분화를 억제하는 카르복시펩티다아제 Q의 운반체에 유전자 변이(CPQ-rs59465035)가 있는 사람이 하루에 100mg 이상의 비타민C를 섭취한 경우 해당 유전자 변이가 없는 사람에 비해 복부 비만의 위험도가 0.79배로 낮아졌다. 해당 유전자 변이가 있는 사람은 하루에 파인애플 약 300g(100g당 36mg)을 섭취하면 복부 비만 위험도가 낮아질 수 있는 것이다.이번 연구를 통해 앞으로는 유전자 변이에 대한 검사와 이에 따른 섭취 영양소 종류와 양을 조절하며 개인 맞춤형 비만 치료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이지원 교수는 “개인 맞춤형으로 비만을 예방하고 치료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효율적”이라며 “이번 연구를 통해 밝힌 유전자 변이와 영양소 간 상관관계를 통해 앞으로 비만 예방과 치료를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인 임상 영양저널(Clinical Nutrition) 최신 호에 게재됐으며, 산업통상자원부 ‘사용자 참여형 빅데이터 기반 건강 위험도 예측 및 관리 서비스 개발’ 과제와 농림축산식품부 산하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의 ‘미래대응식품개발 사업’의 지원을 받아 진행됐다.
2022.04.27 I 이순용 기자
이화의료원, 심방세동 냉동 풍선 절제술 100례 달성
  • 이화의료원, 심방세동 냉동 풍선 절제술 100례 달성
  • [이데일리 이순용 기자] 이화의료원(의료원장 유경하)이 심방세동의 시술적 치료를 위한 냉동 풍선 절제술 100례를 달성했다. 심방세동의 시술적 치료에는 3차원 영상을 활용한 전극도자 절제술과 냉동 풍선 절제술 등이 있다. 이 두 시술의 겨우 시술의 부작용 감소와 안전성에 대한 데이터들이 속속 발표되면서 시술 건수가 증가하고 있다. 이화의료원에서는 이대목동병원 순환기내과 박준범 교수와 이대서울병원 순환기내과 김동혁 교수 등이 심방세동 시술을 시행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300여 명의 환자를 시술했다. 특히, 심상세동을 포함한 부정맥에 대한 시술은 현재까지 약 700례에 달하는데 매년 시술 건수가 30~40%씩 증가하는 등 상승세가 가파르다.또한 이화의료원은 현재까지 심장세동 시술과 관련해 중증 부작용이 단 한 건도 없이 시술 100%의 성공률을 자랑하고 있다. 최근에는 국내에서 삼방세동에 대한 선제적 치료의 유용성을 입증한 대규모 임상연구를 진행해 미국 심장학회 학술지(Journal of American Heart Journal 2021)에 개재했다.특히 냉동 풍선 절제술의 경우 기존의 전극도자 절제술에 비해 시술시간과 마취시간을 절반 이하로 줄일 수 있어 환자의 재원기간이 크게 줄었다. 또 시술 후 환자의 회복시간도 단축됐다.이화의료원은 증가하고 있는 부정맥 질환과 심방세동에 대한 시술적 요구에 부합하기 위해 이대목동병원과 이대서울병원에 부정맥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이대목동병원 부정맥센터에서는 올 9월, 전문 교수진을 충원해 환자치료에 만전을 기할 예정이다. 이대서울병원은 3차원 영상 장치와 전극도자 절제술 장비를 도입하는 등 심방세동 시시술을 위해 적극적인 투자와 노력을 아끼지 않고 있다.
2022.04.27 I 이순용 기자
이루다, 학술자문 위원 위촉 발대식 개최
  • 이루다, 학술자문 위원 위촉 발대식 개최
  • [이데일리 안혜신 기자] 글로벌 미용의료기기 전문 기업 이루다(164060)는 지난 26일 조선팰리스 강남에서 학술자문 위원을 위촉 발대식을 가졌다고 27일 밝혔다.이번에 발족한 학술자문위원회는 하반기 국내시장에 출시 예정인 신개념 레이저치료기 혈관구제레이저수술(VSLS)기기의 임상학적 자문을 시작으로 회사와 상호 유기적인 협업관계를 구축해 제품 개발 및 의료 전문가로서의 경험과 노하우를 제공하게 된다.김용한(사진 아래 왼쪽 두 번째) 이루다 대표와 자문위원들김용한 이루다 대표는 “오랜 임상경험을 통해 다양한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는 자문위원들과 함께 하게 되어 매우 영광”이라면서 “높은 전문성을 바탕으로 향후 이루다가 개발 예정인 전문의료기기 개발에 지속적인 관심과 조언을 부탁 드린다”고 말했다.이어 “의료기기의 개발 단계에서부터 실사용 단계까지 여러 의견을 반영하고 검증함으로써 좀 더 사용자 친화적인 제품을 선보일 수 있을 것”이라면서 “피부미용 의료기기 외에도 다양한 분야에서 의료기기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할 수 있는 혁신 제품 개발에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덧붙였다.이루다는 이번 학술위원들의 자문을 통해 의료현장에서 사용자의 편의성과 임상적 유효성을 확보할 수 있는 제품으로 사업화의 성공모델로 키워나갈 계획이다.
2022.04.27 I 안혜신 기자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I 청소년보호책임자 고규대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