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검색결과 1,505건
- [서울시장 공약대결]④“고쳐서 다시쓰자” vs “전면 철거”… 재건축 공방전
- [이데일리 김기덕 기자] 재건축 시장을 둘러싼 규제가 서울시장 선거전을 좌우할 핵심 변수로 떠올랐다. 각종 고강도 규제로 시름하던 서울 주택시장이 최근 ‘재건축 부담금 폭탄’ 등으로 장기침체에 빠져들 조짐을 보이자 각 후보들은 부동산 정책 공약을 잇따라 쏟아내며 표심잡기에 나서고 있다. 다만 후보별 재건축 시장 규제 강도를 비롯해 개발 지역 및 구체적인 방식 등이 적지않은 차이를 보이고 있어 각 개별 정책 실효성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김문수 자유한국당 김문수 서울시장 후보가 25일 서울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미래도시 재개발, 재건축 시민연대 출범식에 참석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현 정부와 서울시의 부동산 정책 기조와 가장 충돌하는 건 김문수 자유한국당 서울시장 후보의 공약이다. 특히 강남 재건축 시장에 대한 규제 강화를 적극 반대하고 나섰다. 올해 6년만에 재건축 초과이익환수제가 부활한 가운데 최근 시장 예상치를 훨씬 뛰어넘는 수억원의 세금 폭탄이 조합원에게 떨어졌다. 여기에 올 들어 재건축 안전진단 강화,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조치, 보유세 인상 논의 등으로 주택시장 전반이 냉각될 분위기를 보이자 김 후보는 규제를 반대하는 주요 조합과 현장 등을 돌면서 성남 민심 달래기에 나섰다. 실제 김 후보는 지난 23일 서울 재건축 시장 대장주로 꼽히는 송파구 잠실주공5단지를 방문한데 이어 25일에는 압구정, 대치동, 한남동 등 36곳 단체의 가입한 재개발·재건축 시민연대 출범식에 참석해 지지를 호소하기도 했다. 적게는 수백명에서 수만명의 표를 확보할 수 있는 재건축 조합 단체 등에 적극 참여해 규제 철폐에 대한 목소리를 높였다. 김 후보는 “도시계획상 건물을 너무 높게 짓는 것에 대한 안전도는 물론 고려돼야 하지만 그 집을 아름답고 혹은 크거나 작게 짓는 건 자기 돈으로 하기 때문에 간섭하지 않는게 맞다. 이것이 자유시장 경제의 기본”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김 후보의 부동산 정책은 박원순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시장 시절 유지한 ‘한강변 아파트 35층 층수 제한’이나 정부의 재건축 시장 규제와도 정면으로 충돌한다. 이런 점에서 정부 지원(예산)이나 제도 변경에 따른 사회적 합의 절차 등을 감안하면 공약 실행 가능성은 낮을 것으로 관측된다. 안철수 바른미래당 서울시장 후보가 25일 오전 국회 의원회관에서 오세정 의원실과 전문가광장 주최로 열린 ‘부동산시장 진단과 서민 주거안정을 위한 정책토론회’에서 축사를 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안철수 바른미래당 서울시장 후보는 박 후보의 도시재생 사업과 일정 부분 공통 분모를 가지고 있지만, 세부적인 정책은 조금 다르다. 오히려 공약을 자세히 뜯어보면 그동안 서울시의 주택정책을 조목조목 지적하고, 다른 해법을 제시하는 것에 골몰한 흔적이 엿보인다. 먼저 안 후보는 뉴타운지구 해제 이후 방치됐던 지역을 준공영개발 방식으로 개발한다는 계획을 내놨다. 준공영개발 방식은 서울토지신탁을 신설, 주민들로부터 토지를 신탁받은 서울시가 해당 지역의 특징과 주민의 요구에 맞게 개발 계획을 세우는 것이다. 이같이 서울시의 뉴타운 출구전략에 불만이 있거나 현재 도시재생사업에 만족하지 못하는 수요자들에게 표심을 자극한다는 것이다. 안 후보는 최근 뉴타운 해제 이후 개발이 중지된 종로구 사직제2구역 현장을 방문해 “서울시청 5분 거리에 있는 시내 중심가에 이렇게 황폐화된 곳이 있어 놀랐다”며 “박 후보가 법령에 위배되는 조례를 통과시켜서 주민들이 안전, 재산권을 심각하게 침해받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재건축 부담금으로 고통받는 거주자에게 분할 납부, 현물 납부 등 다양한 안정장치를 마련한다는 공약을 제시했다. 정부 정책인 환수제를 전면 부정하기에는 무리가 따를 수 있어, 조합원 등 수요자의 부담을 줄이는데 초점을 맞춘 것으로 보인다. 박원순 서울시장 후보가 25일 서울 양천구 목동 방송회관에서 열린 서울시장후보 방송기자클럽 초청 토론회에서 모두발언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3선에 도전하는 박 후보의 부동산 정책은 ‘기존 것을 지우고 새로 짓는’ 전면 철거형이 아닌 ‘고쳐서 다시쓰는’ 도시재생 정책을 지향항다. 문재인 정부도 매년 10조원씩 임기 내 총 50조원을 도시재생 뉴딜 사업에 쏟아붓는다는 점에서 정부 정책과 궤를 같이 한다. 박 후보는 현 도시재생 정책 기조를 이어가면서 강남·강북 균형발전에도 집중할 계획이다. 지난해 서울시가 과도한 강남 재건축 인허가로 인해 ‘정부 규제가 무색하게 집값 과열을 야기했다’는 지적을 의식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에 따라 재건축 부담금을 균형발전을 위한 도시주거환경정비기금으로 활용하고, 철도 신설 등 강북 교통망 확충에 힘을 쏟는다는 공약을 내놨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 수석전문위원은 “서울은 부동산 정책에 굉장히 민감한 지역이기 때문에 정책 실행 가능성과 충분한 예산, 지방정부에 주어진 권한 등 3가지를 요소를 고려해 좀 더 세밀한 정책을 내놔야 한다”고 말했다.
- 어니스트펀드 P2P대출 누적 1000억 돌파..1분기 524억 집행
- 어니스트펀드 제공[이데일리 이재운 기자] P2P(개인간 거래) 금융 업체인 어니스트펀드는 올 1분기 말 기준 누적 대출액이 1241억원을 기록, 전년 동기(202억원) 대비 514% 증가했다고 17일 밝혔다. 1년새 1000억원 이상의 대출이 실행된 것이다.전년도 말 716억원과 비교하면 올 1분기에만 524억원의 대출이 진행됐다. 지난 2015년 6월 첫 상품 출시 이래 지난 2년 9개월 간 쌓아온 누적대출액 중 무려 42%를 올해 1분기에 달성한 셈이다.어니스트펀드는 이 같은 성장 요인으로 압구정 아파트부터 동탄, 죽전, 제주 등 다양한 지역투자 상품의 화제성, 다양한 안전장치를 통한 안정성 확보, 브랜드에 대한 신뢰도, 합리적인 투자조건, 다양한 콘텐츠, 우수한 금융·IT 전문가 영입 등의 최적화 된 시너지 발휘로 보고 있다고 분석했다.특히 고객들이 투자한 부동산 상품의 준공, 분양 현황 등을 알리는 ‘어니스트리포트’를 매월 발간하고 사후 관리를 함께 진행하는 등 서비스를 강화, 확대한 것이 주효했다는 설명이다.여기에 P2P금융 시장의 확대와 함께 상위 기업으로 자금이 몰리는 현상이 급물살을 타면서 더욱 높은 성과를 기록한 것으로 보인다.어니스트펀드는 한국P2P금융협회 통계에서 올 1분기 5위 안에 등극, 지난해 1분기 12위에서 일곱 계단 뛰어올랐다.서상훈 어니스트펀드 대표는 “어니스트펀드는 전문적이고 차별화 된 대체투자 상품을 출시하여 우수한 실적을 보이며 국내 대표 대체투자 플랫폼으로 주목받고 있다”며 “건전하고 우량한 P2P투자상품을 통해 중금리 시장에서 투자자와 대출자 모두 윈윈할 수 있는 앞서가는 금융 대안을 선보여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시행 보름...‘강남 4구 거래 반토막’
- 서울 강남권 아파트 밀집지역 전경.[이데일리 박민 기자] 이달 들어 서울에서 다주택자가 집을 팔 때 최대 62%까지 양도세를 물리는 규제가 시행된지 보름 만에 아파트 거래량이 급격히 줄며 꽁꽁 얼어붙었다. 특히 강남 4구(강남·서초·송파·강동구) 거래량은 작년 4월에 비해 ‘반토막’이 나면서 정부 규제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한 것으로 나타났다.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이달 14일 현재 서울 아파트 거래량(신고일 기준)은 총 2939건으로 하루 평균 209.9건 거래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작년 4월 하루 평균 거래량(257.8건)보다 18.6% 줄었고, 지난달 일 평균 거래량(449.5건)과 비교하면 53.3% 급감한 수준이다.지난달만 해도 서울 아파트 시장은 거래 신고 건수가 3월 거래량 가운데 역대 최대인 1만 3935건을 기록했다.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를 앞두고 막바지 급매물이 쏟아지며 거래가 대폭 늘어났던 것이다. 그러나 이달부터 양도세 규제 시행과 함께 급매물은 사라지고, 가격 하락을 기대한 매수자들도 일제히 관망세로 돌아서며 거래가 뚝 끊겼다는 게 현지 중개업소의 설명이다.강남구 압구정동 A공인 대표는 “양도세 중과 전에 팔 만한 물건은 다 소진돼서 급매물도 없는데다 무엇보다 매수자들의 관망세가 짙어졌다”며 “가격이 떨어질 수 있다는 얘기도 나오고 단기간 너무 올랐다는 생각들이 퍼지니까 매수 희망자들이 한발 물러선 상태”라고 말했다.[그래픽=이데일리 문승용 기자]양도세 중과 시행 이후 거래량이 가장 많이 줄어든 곳은 강남권이다. 작년과 비교하면 반토막이 났다. 이달 14일까지 신고된 강남구 아파트 거래량은 총 88건으로 하루 평균 6.3건에 그쳤다. 작년 4월 일 평균 16건, 올해 3월 25.3건이 거래된 것과 비교해 각각 60.6%, 75.1%나 감소했다.서초구 거래량도 총 76건으로 하루 평균 5.4건이 거래됐는데, 작년 4월(일 평균 11.7건) 대비 53.8%, 올해 3월(18건) 대비 69.9% 줄어들었다. 송파구와 강동구도 이달 현재 하루 평균 거래 건수가 각각 9.7건, 8.8건으로 작년 4월 일 평균 거래량 대비 절반 수준에 그쳤다. 강남구 개포동 L공인 대표는 “보유세 인상 이야기도 나오고 가격 상승세도 둔화하면서 ‘지금 사면 더 떨어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 섞인 문의가 많다”며 “분위기가 많이 가라앉았다”고 말했다.강북지역 아파트값 상승을 주도하고 있는 마포·용산·성동구의 거래량도 많이 줄었다. 이달 마포구의 거래량은 91건(일 평균 6.5건)으로 지난해 4월과 비교해 43.6%, 올해 3월 대비 62.1% 감소했다. 용산구와 성동구도 일 평균 거래량이 각각 3.1건, 5.6건으로 작년 대비 각각 52.0%, 36.9% 줄었다. 올해 3월에 비해선 각각 72.1%, 71.5%나 급감한 수치다.그러나 강북·성북·은평·강서구 등 일부 비강남권 아파트는 올해 3월보다는 줄었지만 작년 4월보다는 거래량이 늘어난 곳도 있다. 성북구의 올해 4월 현재까지 신고 건수는 총 267건(일 평균 19.1건)으로, 올해 3월(일 평균 33.7건)보다는 43.4% 줄었지만 작년 4월(9.5건)보다는 101.5% 늘었다.
- [주목! 이 아파트]넓은 베란다·커뮤니티시설 빵빵 '북한산아이파크5차'
- 서울 도봉구 창동 북한산아이파크5차 단지 모습. 현대산업개발 제공.[이데일리 성문재 기자] 서울지하철 1·4호선 창동역에서 도보로 10분 거리(약 500m)에 위치한 북한산아이파크5차 아파트. 지상 24층, 25개동, 총 2061가구로 이뤄진 대규모 단지다. 20년전만 해도 이 곳에는 삼풍제지 공장이 자리하고 있었다. 도봉구는 수도권 공장 이전 계획에 따라 2000년11월 이 공장을 폐쇄하고 아파트 건설 사업을 승인했다. 현대산업(012630)개발이 시공을 맡아 2001년11월 착공, 2004년7월 준공했다. 올해로 입주 15년차가 됐다.20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북한산아이파크5차 전용 134.91㎡는 최근 6억8500만원(20층)에 팔렸다. 전월 대비 1000만원 뛴 금액이다. 1년 전보다는 2000만~8000만원 오른 수준이다. 방 4개, 욕실 2개가 제공되는 서울 내 50평대(공급면적 170.18㎡) 아파트로는 여전히 저렴한 편이다.전용 84.45㎡(2층)의 경우 이달초 5억3000만원에 거래된 바 있다. 1년 전 대비 5000만원 가량 가격이 뛰었다. 이 단지는 전용 84.45㎡부터 전용 165.17㎡로 구성됐다. 소형평형이 없다보니 아이들이 많지 않아 단지 자체가 조용한 편이다. 공장이 있던 곳이라 부지 자체가 평지로 이뤄져 있다는 것도 장점이다.단지 내 주민편의시설이 잘 갖춰져 있다는 것이 눈에 띈다. 지하 2층, 지상 2층으로 이뤄진 주민운동시설의 연면적은 2519.53㎡에 달한다. 2000년대 초반에 지어진 단지로는 보기 드문 사례다.창동 I공인 관계자는 “단지 내 스포츠센터에서는 헬스, 요가, 탁구, 스쿼시, 골프 등 웬만한 운동을 다 즐길 수 있게 돼있다”며 “다른 단지에 비해 광폭 베란다 등 서비스면적이 넓다는 것도 장점”이라고 설명했다.초등학교는 단지 북측에 붙어 있는 가인초등학교를 배정받는다. 가인초 역시 옛 삼풍제지 공장 부지에 지어졌다. 2000가구 이상의 대단지를 지으면서 함께 건립됐다. 중학교는 대부분 창북중·창동중·백운중에 진학한다. 도보 2분 거리인 초등학교에 비해 중학교는 10분 이상 걸어야 한다는 것이 단점이다. 고등학교는 남학생의 경우 상계고, 여학생은 정의여고 등으로 가게 된다. 특목고인 서울외국어고등학교가 1.3㎞ 거리에 위치해 있어 자녀 교육에 관심이 많은 수요자들의 선택지가 될 수 있다.대중교통을 이용하면 서울역까지 45분, 을지로입구역까지 50분 정도 걸린다. 강남 압구정 도산공원사거리까지는 141번 버스로 갈아타지 않고 이동 가능(약 55분 소요)하다. 향후 2024~2025년 창동역에 KTX 연장선(수서~의정부)과 GTX-C노선(금정~의정부)이 연결되면 광역교통 여건은 더 좋아질 전망이다.서울 도봉구 창동 ‘북한산아이파크5차’ 아파트 위치도. 네이버 지도 캡처.서울 도봉구 창동 ‘북한산아이파크5차’ 아파트 단지 내 모습. 현대산업개발 제공.서울 도봉구 창동 ‘북한산아이파크5차’ 아파트 단지 내 모습. 현대산업개발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