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렬
  • 영역
  • 기간
  • 기자명
  • 단어포함
  • 단어제외

뉴스 검색결과 10,000건 이상

하이젠알앤엠, 165% 오르며 코스닥 데뷔
  • [특징주]하이젠알앤엠, 165% 오르며 코스닥 데뷔
  • [이데일리 이정현 기자] 로봇용 스마트 액추에이터 솔루션 기업 하이젠알앤엠(160190)(대표이사 김재학 김형국)이 160%대 강세를 보이며 코스닥 시장에 상장했다.27일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오전 9시 5분 현재 하이젠알앤엠은 공모가(7000원) 대비 165.57%(1만 1590원) 오른 1만 8590원에 거래중이다.하이젠알앤엠은 1963년 LG전자 모터사업부로 출범했다. 산업용 모터 제조에서 쌓은 기술력을 바탕으로 산업용 로봇, 협동로봇 등에 쓰이는 액추에이터를 자체 개발했다. 액추에이터는 로봇이 동작하는 데에 필요한 핵심인 다리, 팔 등의 움직임을 담당하는 부품으로 로봇이 움직이는 동작과 작업 수행을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하이젠알앤엠은 액추에이터 구동을 정밀하게 제어하는 알고리즘 및 소프트웨어 기술까지 개발하는 등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기술을 모두 확보했다. 하이젠알앤엠은 지난 7일부터 5거래일간 진행한 수요예측에 국내외 2253개 기관이 참여해 경쟁률 1099.2대 1을 기록하며 최종 공모가를 공모 희망 밴드(4500원~5500원) 상단을 초과한 7000원으로 확정한 바 있다. 지난 18일부터 이틀간 진행한 일반투자자 대상 공모주 청약 경쟁률이 2549.13대 1을 기록했다. 증거금은 7조 5836억원으로 집계됐다. 하이젠알앤엠은 상장 이후 공장 증설을 통해 추가로 CAPA를 확보하고, 다양한 산업 내 액추에이터 공급을 위한 기술개발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글로벌 로봇 액추에이터 시장 진출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 혁신적인 로봇 액추에이터 선도 기업의 지위를 공고한다는 방침이다.
2024.06.27 I 이정현 기자
마이크론 실망스러운 가이던스에…반도체주 약세
  • [특징주]마이크론 실망스러운 가이던스에…반도체주 약세
  • [이데일리 김인경 기자] 마이크론의 실적 발표에 27일 오전 국내 반도체주도 약세로 출발하고 있다. 마이크론은 삼성전자, SK하이닉스와 메모리 반도체 부문에서 경쟁하고 있으며, 메모리 반도체 업계의 ‘풍향계’로 불린다.마켓포인트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 5분 삼성전자(005930)는 전 거래일보다 700원(0.86%) 내린 8만600원에 거래 중이다. 4거래일 만의 약세다.SK하이닉스(000660)는 7500원(3.16%) 빠진 22만9500원을 가리키고 있다. 한미반도체(042700) 역시 2.67% 내려 17만5000원에 거래되고 있다.간밤 마이크론은 회계연도 3분기(2024년 3~5월) 매출이 68억1000만달러(약 9조5000억원)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전 분기 대비 약 17%늘어난 수치다. 주당 순이익은 0.62달러를 기록했다. 또 회계연도 4분기(6~8월얼) 매출은 76억달러, 주당 순이익은 1.08달러일 것이라는 목표(가이던스)를 제시했다. 다만 실적은 시장 기대치를 웃돌았지만, 가이던스가 예상보다 실망스러웠다는 판단에 마이크론은 시간외 시장에서 7%대 약세를 보이기도 했다. 블룸버그는 “월가에서는 마이크론의 4분기 매출이 80억달러를 넘을 것이라 전망하기도 했다”며 “4분기 전망치가 기대를 충족하지 못한 게 원인”이라고 분석했다.게다가 이번 실적발표에서 마이크론이 5세대 고대역폭메모리(HBM)에서 1억달러 이상의 매출을 낸 만큼, HBM 기술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는 SK하이닉스가 더 가파른 하락세를 보이는 것으로 풀이된다.마이크론은 “회계연도 2024년에는 HBM에서 수억 달러, 2025년에는 수십억 달러의 매출을 일으킬 것”이라며 “당사의 HBM은 2024년 및 2025년까지 이미 매진됐으며, 2025년에는 전체 D램 시장 점유율에 상승하는 HBM 시장 점유율을 달성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마이크론 로고(사진=로이터)
2024.06.27 I 김인경 기자
 한중엔시에스, 삼성에 수냉 ESS 냉각·화재진압·HVAC 공급 부각에 '강세'
  • [특징주] 한중엔시에스, 삼성에 수냉 ESS 냉각·화재진압·HVAC 공급 부각에 '강세'
  • [이데일리TV IR팀]한중엔시에스(107640)의 주가가 코스닥 입성 사흘째 강세다. 최근 일어난 화성 배터리 참사와 관련해 국내 유일한 수냉식 에너지저장장치(ESS) 냉각시스템 기술과 배터리 화재 분리진압으로 확산을 방지하는 기술을 갖춘 사실이 부각된 영향으로 풀이된다.26일 오후 2시30분 현재 한중엔시에스는 전일 대비 3.85% 상승한 4만 5900원에 거래 중이다.지난 24일 코넥스에서 코스닥으로 이전 상장한 한중엔시에스는 지난 25일에도 ESS 내부화재 방지 시스템의 활용도가 주목 받으며 상한가를 기록했다. 최근 벌어진 화성 아리셀 배터리 화재와 관련해 정부는 안전 점검에 착수했다.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25일 소방청과 전기안전공사, 가스안전공사 등과 함께 리튬 일차전지 제조 현장을 찾아 사업장과 안전점검 시스템 운영 현황을 점검했다고 밝혔다.한중엔시에스는 국내에서 유일하게 ‘수냉식 ESS 냉각시스템’ 양산화에 성공한 기업이다. 해당 기술은 글로벌 ESS 시장이 본격 성장기로 접어들며 수요가 급증될 것으로 전망된다.수냉식으로 배터리 화재 가능성을 현저하게 낮췄으며 일말의 화재 가능성에 대비해 EDI 시스템을 탑재했다. EDI시스템은 셀 내부 온도와 압력을 감지하다가 일정 수준을 넘어서면 배터리셀 상단에 설치된 각각의 스프레이 파이프(Spray Pipe)를 통해 자동으로 소화제를 분사하는 방식이다.한중엔시에스의 EDI 시스템은 120개 배터리 중 특정 배터리의 화제를 분리 진압하여 화재 확산 가능성을 즉시 차단한다. 언론 보도에 따르면 최근 발생한 화성의 아리셀 공장 화재도 특정 배터리셀의 화재가 전체 배터리 장치로 옮겨간 것으로 알려졌다. 한중엔시에스의 EDI 시스템이 기술 특성상 ESS 뿐만 아니라 전체 배터리 공장의 제조라인 전반으로 확장 적용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왔다.한중엔시에스는 해당 기술들을 기반으 ESS배터리모듈 부품을 비롯해 △HVAC △Chiller △Cooling plate 등을 삼성SDI에 공급 중이다. ESS 배터리 제품 하나 당 배터리와 케이스를 제외한 모든 부품을 한중엔시에스가 공급하는 구조다.
2024.06.26 I 김다운 기자
‘상장 첫날’ 에스오에스랩, 공모가 대비 60%대 올라
  • [특징주]‘상장 첫날’ 에스오에스랩, 공모가 대비 60%대 올라
  • [이데일리 박순엽 기자] 라이다(LiDAR·Light Detection And Ranging) 기술 전문기업 에스오에스랩이 코스닥 시장 상장 첫날 공모가 대비 60% 오른 가격에 거래를 시작했다. 25일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에스오에스랩(464080)은 이날 오전 9시 13분 현재 공모가(1만1500원) 대비 7310원(63.57%) 오른 1만8810원에 거래되고 있다. 장 시작과 함께 주가는 2만1100원까지 상승하기도 했으나 이른바 ‘따따블’(공모가 대비 4배 상승)인 4만6000원엔 미치지 못하고 있다. 이날 상장한 에스오에스랩은 지난 2016년 정지성 에스오에스랩 대표를 포함한 광주과학기술원(GIST) 박사과정 4명이 모여 창업한 라이다 기술 전문기업이다.라이다는 레이저를 목표물에 비춰 사물과의 거리 및 다양한 물성을 감지할 수 있는 기술로, 카메라와 달리 사물 간 거리 측정을 할 수 있고 개인정보도 보호할 수 있어 자동차 자율주행뿐만 아니라 산업 안전 등 여러 분야에 활용된다. 에스오에스랩은 자체 개발한 차별화된 기술로 글로벌 자동차 OEM, 글로벌 IT 기업, 글로벌 자동차 램프 기업, 국내 반도체 장비 기업 등 국내외 다양한 산업의 기업들을 고객사로 확보한 상태다. 특히, 기존 라이다에서 모터·미러를 제거하고 라이다 주요 구성품을 직접 설계하는 기술을 기반으로 기존 기계식 라이다의 가장 큰 약점인 가격과 크기를 극복한 라이다 ‘ML’을 개발하는 등 라이다 관련 기술경쟁력을 보유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에스오에스랩은 이를 통해 4년간 연평균 매출액 성장률 144%를 기록, 오는 2027년엔 매출액 1443억원과 영업이익 443억원을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지난해 에스오에스랩은 매출액 41억원, 영업손실 83억원을 기록했다.
2024.06.25 I 박순엽 기자
1 2 3 4 5 6 7 8 9 10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I 청소년보호책임자 고규대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