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반도체로 넥스트 삼성전자 되겠다” 는 이 회사, 무기는 ‘글로벌팀’

리벨리온 박성현 CEO, 신성규 CFO만나 보니
유일하게 삼성 5나노 공정과 부동소수점 연산 지원
추론(서비스)용 NPU 글로벌 1위 자신
'20년 9월 창업이래 1120억 유치..KT와 카카오 주요주주
'24년 이후 차기 모델 ‘리벨’ 선보일 것..모여서 빠르고 뜨겁게
  • 등록 2023-07-02 오후 1:40:53

    수정 2023-07-02 오후 7:27:37

[이데일리 김현아 기자]

지난달 25일, 성남 분당구 정자동에 있는 리벨리온 본사에서 만난 박성현(39) 리벨리온 대표가 기자에게 삼성 5나노 공정 활용과 부동소수점 연산을 지원하는 국내 유일의 AI 반도체 기술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지난달 25일, 성남 분당구 정자동에 있는 리벨리온 본사에서 만난 박성현(39) 리벨리온 대표가 기자에게 삼성 5나노 공정 활용과 부동소수점 연산을 지원하는 국내 유일의 AI 반도체 기술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왼쪽부터 신성규 리벨리온 CFO와 박성현 CEO다. 신성규 CFO는 고려대 경영학과 출신으로 삼일회계법인 (Senior Manager) 및 PwC US 파견근무를 하다가 선배인 오진욱 CTO의 소개로 리벨리온 설립 1년 뒤인 2021년 9월 합류했다. 박성현 CEO는 카이스트, MIT 석/박사 후, 인텔랩스/스페이스엑스/모건스탠리에서 경력을 쌓았다. 그는 2020년 9월 리벨리온을 창업했다.


“넥스트(NEXT) 삼성전자가 되고 싶습니다. 삼성 선배님들이 고생해서 메모리 반도체 시대를 열었다면, 그다음 100년은 우리가 시스템 반도체로 하고, 나중은 소프트웨어 회사들(AI-SaaS)이 하겠죠.” AI반도체 설계 스타트업인 리벨리온의 박성현(39) 대표는 “맨파워와 기업문화가 무기”라면서 이렇게 자신했다.

리벨리온이 개발한 AI 반도체 ‘아톰(ATOM)’은 국내 AI반도체 중 최고 성능을 자랑한다. 유일하게 삼성전자의 5나노 극자외선(EUV) 공정으로 생산했고, 부동소수점(Floating point)연산을 지원하는 이유에서다.

5나노 공정, 부동소수점 연산 지원하는 유일한 AI반도체

이게 무슨 말일까. 박 대표는 “경쟁사들은 28나노, 14나노에서 7나노 공정으로 가는 걸로 안다”면서 “최첨단 공정이 될수록 가격과 설계 난이도는 올라가지만, 성능은 좋아지고 소비 전력은 낮아진다”고 설명했다.

부동소수점 연산에 대해선 “정수 연산이 아니어서 3.60이란 값이 나오면 0.6을 반올림 안 해도 되기에 더 정확하다. 여기에 수십 개의 특허를 갖고 있다”고 했다.

다른 회사들과 달리 5나노가 가능했던 이유에 대해선 “오진욱 CTO가 IBM에서 5나노를 경험했기 때문”이라면서 “덕분에 ‘아톰’은 압도적인 성능을 갖추게 됐다”고 했다. 오진욱 CTO는 IBM TJ Watson의 AI lab에서 Lead Architecture를 역임했다.

AI반도체는 PF(페타플롭스)로 NPU 팜의 규모를 설명하는 데 이러한 PF가 부동소수점(FP)의 측정단위다. 즉, FP를 지원하지 않는 AI반도체는 실질적으론 시장의 수요를 충족시키는 기능을 충분히 구현하고 있지 않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이는 리벨리온이 ‘아톰’을 2023년 5월에 KT클라우드에 납품한 것은 빠르게 했다는 속도 측면외에도 납품의 요건을 갖춘 제품이라는 의미가 있다. 리벨리온은 TSMC 7나노 공정으로 출시한 첫 번째 칩(아이온:ION)부터 FP를 가속시키는 성능을 구현하고 있었다.

신성규 CFO는 “이러한 점이 AI반도체 분야에서 직접 이 분야(CPU나 GPU나 메모리가 아닌 NPU) 경험을 했던 창업팀과 초기 멤버들의 통찰력에서 비롯된 성공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리벨리온은 지난 4월, 글로벌 벤치마크 대회인 ‘MLPerf’에 참가해 속도(처리시간)에서 ‘비전모델(ResNet50)’뿐 아니라 챗GPT 기반인 트랜스포머 계열인 ‘언어모델(BERT-Large)’에서도 뛰어난 성능을 보여줬다. 동급 GPU 대비 최대 3배 이상의 처리속도를 보였고, 퀄컴의 AI반도체 대비 최대 80프로 이상의 뛰어난 처리속도를 입증했다.

박성현 대표는 “경쟁사들(사피온·퓨리오사 AI)이 내년에 더 잘 나오면 박수를 쳐야겠지만 지금은 공정과 설계, 투자금에서 우리가 제일 앞서있다”며 “챗GPT가 돌아가는(국내)AI반도체는 우리 밖에 없다”고 했다.

추론(서비스)용 NPU 글로벌 1위 자신

리벨리온이 뛰어든 신경망처리장치(NPU)는 엔디비아가 독주하는 그래픽처리장치(GPU)기능 중 사람의 두뇌처럼 데이터를 처리하는 것만 떼 낸 시스템 반도체다. 게임에 필요한 빠른 속도의 그래픽처리용인 GPU로도 병렬처리가 가능하나, AI가 대중화되면서 NPU가 주목받는다.

하지만, 지금도 챗GPT 같은 초거대AI 연산에는 수만 대의 엔비디아 A100 및 H100 텐서 코어(Tensor Core) GPU가 쓰인다.

박 대표는 “아직 우리도 초거대 AI의 연산은 지원하지 못한다”면서도 “하지만, AI반도체 추론(서비스)영역에서는 글로벌 1위라고 자부한다”고 했다. 리벨리온의 NPU는 KT클라우드 데이터센터에 구축돼 NPU클라우드 서비스를 하고 있다.

그는 “미국 AI 반도체 기업 ‘삼바노바’, 영국 AI 반도체 기업 ‘그래프코어’ 등이 있지만 대부분 연산에 집중해 시장이 다르다”고 부연했다.

삼바노바는 소프트뱅크 비전펀드, 인텔 캐피탈, 블랙락 등으로부터 11억 달러(1조 4000억 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했고, 그래프코어도 세쿼이어 캐피탈, 델 테크놀로지스 캐피탈 등으로부터 6억 9200만 달러(8900억 원) 규모의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

[이데일리 김일환 기자]
[이데일리 문승용 기자] 리벨리온 투자 스토리


누적투자 1120억원…KT와 카카오가 주요 주주


리벨리온은 얼마나 투자금을 받았을까. 신성규 CFO는 “2020년 9월 창업한 이래, 누적으로 1120억 원의 투자금을 유치했다”면서 “싱가포르 국부펀드인 테마섹 파빌리온캐피탈로부터 글로벌 투자를 유치하고 KT가 전략적 투자자로 300억원을 투자해 해외 진출의 기반을 마련한 것은 물론 데이터센터 비즈니스의 가능성을 현실화하는 투자유치였다”고 설명했다.

리벨리온은 투자금을 이용해 AI반도체의 품질 안정성 확보에 대한 투자 등을 늘릴 것으로 보인다. 글로벌 벤치마크 대회에선 성능이 1위였지만, 수십 년간 GPU를 개발해 온 엔비디아와 맞서려면, 더 많은 개발 경험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잠깐. 리벨리온의 기관 투자자 중 최대 주주는 KT이고, 2대 주주는 카카오다. 왜 두 회사 투자를 받았을까.

박 대표는 “아톰이 나오기 전, KT를 만나러 갔는데 안 되면 SKT나 LG유플러스를 찾으려 했다”면서 “KT는 데이터센터 1위 기업이어서 AI반도체 공급에 대한 볼륨이 가능했고, IT 기업 카카오는 데이터가 많은 기업이어서 도움이 됐다”고 전했다.

‘24년 이후 차기 모델 ‘리벨’ 선보일 것

박성현 대표는 오는 4일, 삼성 파운드리 포럼에서 국내 대표로 참가해 발표한다.

그는 삼성 5나노 EUV 공정으로 제작된 리벨리온의 AI반도체 아톰의 기술경쟁력과 사업화 현황을 발표하는데, 생성형AI가 가속되는 국내 유일한 AI반도체라는 점과 월스트리트 투자은행 고객사 한 곳과 샘플링을 완료해 미국 거래소 데이터센터 설치 후 신뢰성 테스트가 진행되고 있다는 점을 언급할 것으로 보인다.

박 대표는 “지금은 게임 시장이 워낙 커서 엔비디아가 가만 있지만 AI반도체 시장이 커지면 NPU 시장을 죽이거나 업체를 인수하는 방법을 쓸 것 같다”면서 “NPU에 집중하면서 일단 서버용에서 성능을 올리고 엣지용까지 확대할 예정이다. 엣지용은 싼 가격의 중국 업체와도 경쟁하게 돼 가성비가 중요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NPU 다음 단계인 PIM(차세대 메모리 반도체)는 기술적으론 가능하나, 인텔이 주도하고 있어 생태계 측면에선 지켜봐야 한다”면서 “정부가 국산 AI반도체를 공공에서 시험할 수 있게 해 주신 것은 너무 감사하다”고 언급했다.

리벨리온은 2024년 이후 차기 NPU 모델 ‘리벨(Rebel)’도 선보일 예정이다.

다만, 회사는 “초거대AI의 수요에 대응하는 제품이 될 것”이라며 “구체적인 로드맵과 내용은 하반기 중으로 정리해 말씀드리겠다”고 말을 아꼈다.

‘원팀’을 자랑하는 리벨리온 직원들 단체 사진.


글로벌팀의 경쟁력


몇 안 되는 딥테크 토종 스타트업으로 꼽히는 리벨리온은 KT와 협력해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데이터센터 시장에도 진출할 예정이다.

박성현 대표는 “첫째도 둘째도 셋째도 글로벌”이라면서 “외국에서 활동하던 사람들이 주축이 돼 한국에서 창업한 글로벌팀이기 때문”이라고 했다.

신성규 CFO는 “칩도 나오기 전에 싱가포르 국부펀드(테마섹 파빌리온캐피탈)가 투자해주신 건 오로지 글로벌팀으로서의 경쟁력만 보신 것”이라고 전했다.

리벨리온의 90~100여 명에 달하는 인력 중 90%는 엔지니어다. 30명에 이르는 박사급 인력이 포진돼 있다. 하버드/MIT/Georgia Tech/서울대/카이스트/포스텍 출신들이다.

신 CFO는 “국내에서 반도체 설계 관련 경험을 쌓은 분들은 물론, 인텔/퀄컴/애플/IBM/ARM/브로드컴 등의 글로벌 테크회사에서 경험을 쌓은 후 한국으로 들어온 분들도 있다”면서 “초기 단계부터 변리사님이 팀에 합류해 특허 및 지적재산권 관련 전략 및 관리를 선제로 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리벨리온의 핵심 인력은 △카이스트·MIT를 나와 인텔랩스·스페이스엑스·모건스탠리에서 경력을 쌓은 박성현 CEO △서울대·카이스트 졸업 이후 IBM TJ Watson의 AI lab에서 Lead Architecture를 역임한 오진욱 CTO △카이스트를 나와 루닛에서 초기 단계 및 Pre-IPO에 이르기까지의 기술총괄 역임한 김효은 CPO △고려대를 나와 삼일회계법인 및 PwC US 파견 근무를 한 신성규 CFO △MIT 박사로 반도체 스타트업을 성공적으로 매각시킨 경험을 가진 이경재 Business Development Lead △하버드에서 박사를 하고 베인앤컴퍼니를 거친 정윤석 Strategy Lead 등이다.

왼쪽부터 박성현 CEO와 신성규 CFO
리벨리온 로고. 로고 마지막에 있는 ‘-’의 의미는 기술과 혁신에 대한 지향점을 나타낸다고 한다.


모여서 빠르고 뜨겁게 만들어 낸다


신성규 CFO는 “리벨리온(rebellion·반란)이라는 대담한 이름만큼 큰 도전을 하는 팀”이라면서 “속도를 높이기 위해 체계와 시스템을 먼저 도입하기 보다는 일을 도모하는 팀원들이 직접 함께 문제를 해결한다. 신뢰와 소통을 토대로 직접 기여하는(hands-on한) 업무 방식을 추구하는 게 고속 성장의 비결”이라고 전했다.

그는 “성장이 빠른 AI반도체 분야에선 단일한 종류의 업무를 하는 경우는 찾기 힘들다”면서 “그간 대기업에서 제한된 업무만 하는데 답답함을 느낀 분들이 더 큰 일들을 하고 싶어 저희 팀에 합류하기도 한다“고 부연했다.

오진욱 CTO와의 인연으로 리벨리온 설립 1년 뒤인 2021년 9월 합류한 신성규 CFO 역시 PR과 IR과 HR, 그리고 Daily Operation까지 깊게 관여하고 있다. 여러 일을 동시에 하는 셈이다.

그는 “관점에 따라 내 일이 아니라고 할 수 있는 것들도, 들여다보면 연관성과 시너지가 있기 마련”이라며 “투자자분들께 회사를 소개하고 설명하는 일과 기자님들께 회사에 대해 브리핑하는 일은 비슷하기도 하고 시너지도 있다”고 했다.

이어 “이러한 기업 문화와 열기 덕분에 리벨리온은 매년 제품을 내놓고 심지어 3년도 되지 않은 신생회사임에도 성공적인 상용화(KT클라우드의 데이터센터에 아톰을 납품하고 라이브서비스를 돌리는 중)까지 할 수 있었다”면서 “시스템반도체 분야에서 삼성, SK하이닉스 같은 또 하나의 기둥을 세우는 게 목표다. 너무 큰 꿈이고 도전일 수 있지만, 그래서 어디서도 느낄 수 없는 치열함과 성취감이 있다. 역량 있는 분들과 함께 전에 없던 성공 스토리를 써나갔으면 한다”고 힘줘 말했다.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57세' 김희애, 우아美
  • '쾅' 배터리 공장 불
  • 엄마 나 좀 보세요~
  • 우승 사냥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I 청소년보호책임자 고규대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