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 인구는 올해 5200만명에서 2050년 4700만명, 2072년 3600만명으로 감소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측했다. 세계 인구는 올해 81억6000만명, 2050년 96억6000만명, 2072년 102억2000만명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과 다른 흐름이다.
원인은 저출산이다. 여성 한 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합계출산율이 2023년 0.72명에서 2050년 1.08명으로 소폭 늘지만 인구 수 반등은 불가능하다. 세계적으로 봐도 마카오에 이어 두 번째로 낮은 출산율이다.
고령화 심화는 불가피하다. 한국의 기대수명은 2022년 82.7세에서 2050년 88.6세, 2072년이면 91.1세로 늘어나 일본과 더불어 세계 최고수준이 된다.
이에 따라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중은 올해 19.2%에서 2072년 47.7%까지 늘어난다. 국민 둘 중 한 명은 ‘노인’이란 얘기다. 같은 기간 세계의 고령인구 증가율이 28.5%인 점을 고려하면 고령화 속도가 눈에 띄게 빠르다.
총부양비 부담은 덩달아 높아진다. 생산가능인구 100명당 부양해야 할 유소년인구와 고령인구의 합을 뜻하는 총부양비는 올해 42.5명에서 2072년에는 118.5명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이 기간엔 인구가 늘어나는 아프리카를 제외한 모든 대륙에서 총부양비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지만 유독 한국의 부양비 부담 증가폭이 크다. 세계의 총부양비는 53.7명에서 62.7명으로 1.2배 늘지만 한국은 2.8배다.
|
재앙 수준의 인구 감소를 보여주는 전망치들이 계속 나오면서 저출산 대책 강화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인실 한반도미래인구연구원장은 “윤석열 정부에서 정부 인구전략기획부(가칭)를 신설한다곤 하지만 현 상황의 정책 정도라면 상황 악화를 막지 못하고 변죽만 울리는 데 그칠 공산이 크다”며 “젊은층의 출산 기피를 돌이킬 수 있을 만큼의 파격적인 정책이 나와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