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에 재난망 시범사업 예산 500억 원을 확보했고, 안전행정부도 미래창조과학부가 결정한 기술방식(PS-LTE, 이하 재난망 LTE)에 따라 기술정보전략계획(ISP) 수립을 위한 제안요청서(RFP)를 공지했다.
정부 계획대로라면 △ 재난망 주파수 700MHz 주파수 분배(9월) △ISP 기업 확정과 ISP 수립(10월~2015년 3월)△재난망 시범사업자 선정 및 시범사업(2015년 4월~)△경북, 전북, 충남 등 8개 시도 확산사업(2016년)△서울·경기, 6대 광역시 등 재난망 구축완료(2017년) 등 숨 가쁘게 돌아간다.
하지만 2016년이 돼야 국제표준이 정해지는 재난망 LTE 방식으로 시점에 맞게 구축할 수 있을지, 새로운 재난전용 고속도로(자가망)를 만드는데 2조 넘는 예산을 들이는 게 옳은지 논란이다.
전문가들은 도로를 얼마나 깔지(예산이 얼마나 들지) 우왕좌왕하는 것은 재난망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없기 때문으로 보고 있다.
재난망을 비상 상황에서 유용한 ‘지휘체계통신망’으로 한정할지, 대국민 재난 통보나 재난 관련 제보 등과 연계된 ‘대국민 서비스(정부 3.0)’까지 갈지 등에 따라 기존 망 활용도가 달라진다. 정부 3.0이야기가 재난망에서도 나오자, 재난방송 기능을 하는 지상파 DMB 업계에서 재난망과 연계점을 찾으려는 것도 이때문이다.
김을동, 진영, 조해진, 최민희 등 내로라할 여야 국회의원들이 모였던 국회 공청회에서 LG CNS 이철 상무는 “누가 ISP 사업자가 될지 모르나 죽었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말했다. ISP는 재난대응메뉴얼에 따라 시스템 구축 시 우선순위를 어떻게 할 지 등을 정하는 것인데, 여기서 모든 걸 해결하려 하는 분위기에 대한 걱정이다. 정부의 리더십이 절실한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