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검색결과 1,214건
- '바이오'가 대세라니 하긴 한다만…바이오에 뛰어든 '제약'사의 속사정
- [이데일리 강경훈 기자] 제약협회가 이름에 ‘바이오’를 넣기로 결정할 정도로 바이오가 화두(話頭)지만 정작 제약회사는 어디서부터 어떻게 접근해야 할지 우왕좌왕하는 형국이다.지난달 23일 한국제약협회는 1988년부터 써 오던 이름을 ‘제약바이오협회’로 바꾸기로 결정했다. 합성의약품과 바이오의약품을 아우르는 대표단체로서의 위상을 명확히 하겠다는 의도라고 설명했지만 ‘제약’이라는 명칭을 고수하다가는 ‘전통만 남은 오래된 단체’로 인식될 것을 우려한 협회의 고뇌가 담긴 결정이라는 해석이다. 2000년대 들어 암·자가면역질환 같은 난치성 질환 바이오의약품이 속속 개발되면서 점차 바이오의약품만이 첨단, 최신 의약품이라는 인식이 생겼다. 정부도 제약업 지원대책을 논할 때 ‘제약업’ 대신 ‘바이오산업’이란 말을 쓸 정도다.◇제약사 “부가가치 높고 기술력 있어야 개발 가능”제약협회에 따르면 192개 협회 회원사 중 54곳(28%)이 바이오의약품과 관련된 일을 하고 있다. 제약협회 관계자는 “이미 많은 회원사들이 바이오의약품을 연구 중이거나 생산하고 있는데도 협회 이름이 시대의 변화를 담아내지 못한다는 지적이 있었다”고 말했다. 제약사들이 바이오의약품 개발에 공을 들이는 이유는 기술장벽이 높아 부가가치가 크기 때문이다. 영국 시장조사업체인 스태티스타에 따르면 지난해 전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린 약 10개 중 휴미라·엔브렐·레미케이드·맙테라(자가면역질환치료제), 란투스(인슐린), 아바스틴(항암제) 등 6개가 바이오의약품이다.또 합성의약품은 분자구조가 단순해 복제약을 만들기 쉽지만 바이오의약품을 만드는 박테리아, 효모, 동물의 세포나 조직은 분자구조가 복잡해 복제가 어렵다. 이 때문에 바이오의약품 분야에서 복제약을 만들려면 상당한 기술력을 갖추고 있어야 가능하다.바이오의약품과 합성의약품의 이분법으로 보면 1967년에 세워진 녹십자(006280)는 처음부터 바이오기업이었다. 녹십자는 혈액분획제제, 혈우병치료제, 면역제제, 백신 등 녹십자의 주력제품 모두가 바이오의약품이다. 매출에 비해 R&D에 소극적이라는 평을 듣는 유한양행(000100)은 앱클론, 바이오니아, 테라젠이텍스, 오스코텍 등 바이오기업에 대한 투자나 인수를 통해 그동안의 격차를 만회하고 있다.문제는 바이오에 대한 적극적 관심은 일부 제약사에 국한됐다는 것이다. 시대 분위기에 편승해 2년전에 바이오의약품 개발에 뛰어든 한 제약회사 관계자는 “바이오든 합성의약품이든 신약개발은 대규모로 오랜 기간 지속적으로 투자해야 결실을 맺을 수 있는데 ‘바이오가 유행이니 우리도 하자’는 식의 접근이 있는 게 사실”이라며 “시험삼아 2~3년 해 보고 만족할 결과물이 안 나오면 사업철수 결정이 날 지 누가 아냐”고 말했다.한편 광동제약, 동국제약, 동화약품, 삼진제약 등은 바이오의약품 개발에 뛰어들지 않고 있다. 동화약품의 경우 바이오의약품보다는 식물을 기반으로 한 천연물신약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국립수목원과 국가생물자원 이용 활성화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한 제약사 관계자는 “회사마다 상황과 여건이 다를 뿐인데 바이오의약품을 개발하지 않는다고 기술이 모자라거나 시대에 뒤떨어진 것으로 보는 시각은 잘못됐다”고 말했다. ◇바이오사 “당장 필요한 총알은 제약업에서 얻어야”제약협회에 속해 있지 않은 바이오 전문기업 중에는 제약업에 진출한 기업들이 상당수 있다. 비티오제약, 셀트리온제약, 레고켐제약은 각각 표적항암제 전문 연구기업 크리스탈(083790)지노믹스, 바이오시밀러 전문 기업 셀트리온(068270), 항체-약물 복합제 전문기업 레고켐바이오(141080)가 중소제약사를 인수해 자회사로 편입한 케이스다. 바이오 전문기업이 제약사를 인수하는 이유는 매출 확대 전략때문이다. 바이오기업의 경우 대부분 자체 생산시설을 갖추기보다 연구개발을 주력으로 해 기술수출이 매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한다. 그러다 보니 투자를 유치해 기업을 운영하는 경우가 많다. 기술수출의 경우 수백억~수천억원의 규모로 이뤄지지만 성사되기가 쉽지 않다. 이 경우 합성의약품은 안정적인 매출원이 될 수 있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바이오의약품과 합성의약품을 모두 가지고 있어야 명실상부한 제약전문기업이 될 수 있다”며 “특히 제너릭 의약품은 전세계 시장규모가 430조원에 달할 만큼 크기 때문에 이 시장을 놓치고서는 발전할 수 없다고 결정한 것”이라고 말했다.
- 장수하러 해외원정 떠난다? ...국내서도 '가능'
- [이데일리 이순용 기자] 명절을 앞두고 해외여행을 고려하는 사람들이 적잖다. 이들 가운데에는 단순 관광 뿐만 아니라 젊음을 찾기 위해 해외원정을 택하는 경우도 있다. 대표적인 건강 프로그램 중 하나가 ‘줄기세포 주사’를 목적으로 일본이나 중국으로 떠나는 것이다.줄기세포는 조직재생, 면역강화, 통증완화, 미용 목적의 안티에이징 시술은 물론 희귀난치성 질환 치료까지 거의 모든 분야에서 활발하게 쓰이고 있다. 일종의 원시세포로 모든 세포로 변할 수 있어 체내 필요한 곳을 재생시키는 작용을 한다. 뿐만 아니라 치료가 까다로운 난치성 질환에도 적용되고 있다.신현순 (주)미라 대표는 “현재 치료제가 없는 퇴행성 질환이나 난치성 질환을 해결하는 대안으로 줄기세포가 떠오르고 있다”며 “기존 치료제들이 염증·통증 등 증상을 없애는 게 목적이었다면 줄기세포치료제는 제 기능을 못하는 혈관·장기 등을 재생시켜 완치를 목표하는 데에서 차이가 난다”고 설명했다.‘재생의학의 꽃’으로 알려진 줄기세포치료를 받기 위해 굳이 해외 행을 택할 필요는 없다. 국내서도 식품의약품안전처의 허가를 받은 줄기세포치료제가 나와 있어 굳이 먼 발걸음을 하지 않아도 된다. 또 해외에서 줄기세포치료를 받으러 간다고 해도 하루 만에 모든 시술이 이뤄지는 것은 아니다. 대개 일본이나 중국에서는 줄기세포를 배양시켜 2~3개월이 지난 뒤 다시 해당 국가 병원을 방문해 주사를 맞아야 한다.반면 미라의 협력병원인 셀피아의원에서는 하루만에 모든 케어가 끝나 눈길을 끈다. 곽태응 셀피아의원 원장은 “국내서 의사가 줄기세포를 추출한 뒤 임의로 배양·증식해 돈을 받고 시술을 하는 것은 불법”이라며 “줄기세포를 배양하는 행위는 약을 만드는 것과 같아 허가를 받아야 한다는 게 식품의약품안전처의 공식 입장”이라고 설명했다.그는 “‘주사가 거기서 거기 아니냐’고 쉽게 생각했다간 큰코다칠 수 있다”며 “허가받지 않은 줄기세포치료를 잘못 받는 경우 세포제공자에게 내재돼 있던 질환에 감염될 우려가 있고, 줄기세포치료제가 체내서 증식·변형되거나, 타인의 세포에 투여됐을 때 면역반응을 일으키거나, 투여 후 의도하지 않은 다른 신체 부위로 이동해 원하지 않는 세포로 분화하는 문제 등이 일어날 수 있다”고 지적했다.셀피아의원의 경우 식약처의 허가를 받은 줄기세포치료제를 활용해 다양한 시술에 활용하므로 부작용이나 안전성 문제를 걱정할 필요가 없다. 이 병원은 미라가 개발한 ‘스마트프렙’(일명 스마트셀)을 이용한 면역기능강화 및 항노화치료를 하고 있다.스마트프렙은 2010년 식품의약품안전처 허가를 시작으로 2012년엔 연골결손에, 2013년엔 중증하지허혈·폐색성말초동맥·당뇨병성족부궤양에, 2014년엔 급성심근경색 관상동맥성형술 및 우회술 치료에 활용해도 된다는 허가를 받아 안심할 수 있다.환자가 늘며 미라는 줄기세포 뱅킹사업도 시작했다. 뱅킹사업은 골수 등에서 줄기세포를 채취해 줄기세포와 다양한 성장인자들을 분리하고 이를 반영구적으로 동결 보관해주는 서비스다. 배양 과정 없이 자신의 줄기세포를 보관했다가 언제든지 치료 목적으로 쓸 수 있어 미리 젊었을 때의 자신의 세포를 동결시키는 것이다.미라는 셀 뱅킹으로 불리는 보관 사업은 세계적인 줄기세포 기업인 미국 사이토리(cytory)사와 손잡고 혈액, 골수, 지방 등에서 추출한 줄기세포를 저장해주고 있다. 이 가운데 지방줄기세포 뱅킹은 미라가 국내에서 처음으로 시작했다. 신현순 대표는 “1년에 2만명 이상이 해외로 줄기세포 치료를 받으러 나가는데 외화와 시간 낭비 외에도 치료 후 사후관리가 되지 않아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며 “우리 회사 협력병원에서는 줄기세포를 냉동보관했다가 필요할 때 언제든지 환자의 조건과 희망사항에 따라 맞춤형 줄기세포 치료를 실시하고, 2주에 한 번 건강상태를 체크할 수 있어 차별화됐다”고 말했다.
- 모두시스, 신제품 `트윙글 스틱PC` 출시
- [이데일리 e뉴스 김병준 기자] 스마트 기기 전문 벤처기업 ㈜모두시스가 ‘트윙글 스틱PC(MDS-2300W10AC432)’ 예약판매를 시작했다.모두시스 측은 이번 신제품이 기존 베이트레일 기반 스틱PC 제품에서 CPU만 변경한 것이 아니라 모든 것을 다 바꾼 ‘올 뉴(ALL NEW) 제품’이라고 밝혔다. 따라서 보다 향상된 컴퓨팅 환경을 누릴 수 있다고 덧붙였다.초소형 컴퓨터인 트윙글 스틱PC의 중앙처리장치(CPU)는 인텔 14나노(nm) 저전력 쿼드코어 아톰 프로세서 체리트레일(x5-Z8300)을 탑재했으며 4기가바이트(GB) DDR3L 1600Mhz 메모리, 32GB eMMC 플래쉬 메모리를 채택했다. 추가 저장장치로 마이크로 SD카드를 이용할 수 있는 것도 장점 중 하나다.아울러 802.11ac 듀얼밴드(2.4기가헤르츠(Ghz)/5Ghz) 와이파이와 블루투스 4.0을 지원하는 인텔 AC7265 무선 모듈에 2T2R(MIMO) 안테나 기술을 도입한 덕분에 최대 866Mbps의 기가(GIGA)급 속도로 와이파이 이용이 가능하다.TV, 모니터, 프로젝터 등을 연결할 수 있는 HDMI 1.4와 USB 3.0, USB 2.0 포트를 각각 1개씩 지원하는데, USB 3.0포트에 기가비트 이더넷을 지원하는 유선랜 어댑터를 연결할 경우 기가 인터넷 지원 환경 하에서 유선 인터넷도 기가급 속도로 즐길 수 있다.전작과 같이 발열을 최소화한 보드 설계를 바탕으로 최적의 성능을 낼 수 있는 무선 쉴드 기술을 적용했다. 저소음 쿨링팬을 장착해 장시간 사용 시 발열로 인한 시스템 성능 저하 또는 정지 현상을 방지한다. 모두시스 자체 발열 테스트 결과 일반적인 컴퓨팅 환경에서는 제품 본체 표면 온도가 사람의 체온보다 낮은 32~34도 정도를 유지하며, Full HD(1920X1080) 동영상을 장시간 연속 재생하더라도 제품 본체의 온도는 37~39도에 머무른다.트윙글 스틱PC에는 마이크로소프트 최신 운영체제(OS)인 윈도우 10 홈 64비트가 설치돼 있다. 덕분에 교육 현장에서 사용하는 인텔 리얼센스 F200 제품과도 호환이 가능하다. TPM 2.0을 지원해 윈도우 헬로우와 PIN 암호 등 보안기능을 완벽하게 지원한다. 오피스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이 기본 설치돼 있기 때문에 문서 뷰어 기능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다. 문서 작성 기능이 필요할 경우 오피스 365를 별도로 구매하면 된다.윈도우 업데이트(레드스톤1) 시 무선디스플레이(미라캐스트) 수신 기능도 지원한다. PC로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미라캐스트를 지원하는 모바일 기기의 화면을 미러링할 수 있어 활용도가 높다.모두시스 측은 트윙글 스틱PC가 개인용, 교육용은 물론 업무용으로도 활용도가 높은 제품이라고 설명했다. 디지털 싸이니지 솔루션이 필요한 병원, 약국, 지하철, 호텔, 각종 매장에서 안정적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제품이라고 업체는 부연했다.트윙글 스틱PC는 9일부터 모두시스 스토어를 비롯한 온라인 오픈마켓에서 예약판매를 시작한다. 예약 구매자에게는 무선키보드와 마우스가 증정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