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렬
  • 영역
  • 기간
  • 기자명
  • 단어포함
  • 단어제외

뉴스 검색결과 4,107건

래미안원베일리 잇는 서울 로또 분양단지는?
  • [복덕방기자들]래미안원베일리 잇는 서울 로또 분양단지는?
  • (사진=뉴시스 제공)[이데일리 황현규 기자] 10억 로또로 불렸던 서울 래미안원베일리아파트 청약이 마무리되면서 다음 청약 예정 아파트로도 무주택자들의 관심이 쏠린다. 이데일리 복덕방기자들은 올해 하반기 이뤄질 서울 및 수도권 주요 분양단지를 정리했다.가장 먼저 래미안원베일리만큼 로또 분양 단지로 꼽히는 반포동 반포래미안원펜타스가 그 주인공이다. 이 단지는 신반포15차 아파트로 641가구 중 263가구가 일반분양된다.3.3㎡당 1억에 거래되는 아크로리버파크 아파트와 바로 붙어있는 단지다. 타입별로보면 전용 59㎡이 8가구, 84㎡가 216가구가 물량으로 풀린다. 최근 원베일리의 당첨 가점 평균은 72점으로 원펜타스 또한 70점은 넘어야 안정권으로 보인다. 다만 이곳은 원베이릴와 달리 전세가 아닌 실입주를 해야하기 때문에 경쟁률이 예상보다 낮을 수 있단 분석도 나온다. 분양가가 9억원이 넘기 때문에 현금 부자만이 지원할 수 있단 제한도 있다. 또 가점이 낮은 수분양자들도 도전할 수 있는 대형평형대도 물량으로 나온다. 전용 107㎡이 17가구, 전용 137㎡이 12가구, 전용 191㎡이 10가구이다. 이 중 절반인 약 20가구가 추첨제로 풀릴 예정이다. 다음으로 주목해야할 단지는 강동구에서 나오는 ‘e편한세상 강일 어반브릿지’다. 서울에서 흔치 않은 공공택지 민간 분양단지다. 분양가는 앞서 먼저 분양한 제일풍경채와 비슷한 수준인 3.3㎡ 당 2429만원 수준으로 책정될 것으로 보인다. 전용 84㎡와 101㎡ 593가구가 모두 일반 분양되는데 △84㎡ 419가구 △101㎡ 174가구로 구성된다. 중요한 건 84㎡이 9억원을 넘지 않는다는 점이다. 앞서 제일풍경채의 경우 8억 후반대에서 전용 84㎡이 분양되면서 중도금 대출이 가능했다. 인근 고덕리엔파크1단지 전용 84㎡ 시세인 14억원과 비교해 약 5억원의 시세차익을 누릴 수 있다.이 밖에도 서울 동대문구 이문1구역과 성동구 행당7구역도 하반기 분양할 계획이다.서울 외에는 과천 지정타(지식정보타운) S8블록이 수분양자들과 만난다. 과천의 마지막 공공 분양 단지로 이르면 8월에 분양에 나설 예정다. 공공분양이라 청약 통장을 꾸준히 넣었던 무주택자에게 절대적으로 유리하다. 약 320가구가 일반분양 될 예정이며 모두 60㎡를 초과하는 물량으로 소득조건이 따로 없다. 또 신혼희망타운도 주목해볼만하다. 약 200가구 넘는 신혼희망타운이 분양에 나오는데 월 평균소득의 130%(맞벌이 140%) 이하라면 지원 가능하다.※보다 자세한 내용은 이데일리 건설부동산부 유튜브 ‘복덕방기자들’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2021.07.03 I 황현규 기자
주담대·예적금 금리 더 떨어진다..예금액↑
  • 주담대·예적금 금리 더 떨어진다..예금액↑
  • [이데일리 김유성 기자] 7월 은행권 주택담보대출 및 예적금 금리는 하향세를 면치 못할 것으로 보인다. 0%대 금리에도 시중은행 예금 잔액이 전반적으로 늘고 있는 이유가 크다. 예적금 금리 하락 압력이 커지면서 덩달아 주담대 금리 하락 여지도 커지고 있다. ◇저금리에도 은행으로 유입되는 현금 2일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6월말 기준 요구불 예금 잔액은 650조4190억원으로 전달 대비 1.38%(8조8757억원) 증가했다. 5월 한달 요구불예금 잔액이 2.95%(19조4807억원) 감소한데 따른 기저효과로 해석되지만 시중 유동성이 다시 은행으로 몰리고 있다는 해석도 나오고 있다. 예컨대 은행권 대표적인 파킹통장이라고 불리는 MMDA는 6월 한달 동안 5.58%(6조1758억원) 증가한 116조8060억원이었다. 낮은 금리로 외면받았던 정기예금도 전달대비 0.17%(1조778억원) 증가한 625조4333억원이다. 은행권에서는 지난 4월 SKIET 공모주 청약 이후 시중 유동성이 다시 은행 예금으로 일부 몰리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국내 증시가 최고점을 찍었다고는 하나 올해 수익률이 지난해보다 떨어졌고 암호화폐 시장도 연초대비 얼어붙었기 때문이다. 시중은행 관계자도 “시중 대기자금의 유입이 두드러졌다”고 말했다. 이 와중에 대출 증가율은 낮아진 상태다. 5대 은행 6월 가계대출 증가율은 0.19%(1조2996억원)로 둔화된 모습을 보였다. 전월 0.44% 감소치보다는 나아진 모습이지만 금융당국 규제와 금리 인상에 대한 우려가 반영된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실제 6월 신용대출은 0.39%(5382억원), 주택담보대출은 0.13%(6518억원) 증가했을 뿐이다. 특히 주담대 증가율은 최근 2~3년내 가장 낮은 증가치를 보였다. ◇7월 대출금리 약세 전망이 강하지만… 은행들의 주된 대출처였던 가계 대출 증가치가 둔화된 모습을 보이는 상황에서 예금까지 늘면서 이달 금리도 강세보다는 약세가 더 뚜렷할 전망이다. 한국은행이 연말 기준금리 인상을 예고했지만 7월만 놓고 봤을 때 예금과 대출금리 모두 하락할 가능성이 높다는 얘기이다. 지난달 29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5월중 금융기관 가중평균 금리는 모두 하락했다. 2021년 5월말 잔액기준 총수신금리는 연 0.66%로 전월대비 0.01%(1bp) 하락했다. 총대출금리는 연 2.78%로 전월대비 0.01%(1bp) 떨어졌다. 은행권에서는 이 같은 추세가 6월 들어서도 계속 됐을 것으로 보고 있다. 전반적인 예금 금리 하락이다. 이 같은 예금 금리의 하락은 주담대 금리의 동반 하락을 불러오게 된다. 국내 은행들의 조달금리를 뜻하는 코픽스(COFIX)는 전월 은행들이 자금을 들여오는데 쓰는 비용(금리)를 가중평균으로 산출한 값인데, 예금 비중이 가장 높다. 대출에 쓰이는 은행들의 조달금 70~80%가 예금이다보니, 코픽스와 예금 간 동조성이 비교적 강한 편이다. 소폭이지만 코픽스의 하락이 있을 수 있다는 뜻이다. 다만 시중은행들이 고신용자에 붙는 우대금리를 걷어내고 있어 금리 하락 체감은 그리 크지 않을 수도 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대출자 입장에서는 대출 조건이 더 까다로워진다는 게 더 큰 당면과제일 수 있다”면서 “소폭의 금리 변동은 큰 문제가 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2021.07.03 I 김유성 기자
고덕강일지구 '마지막 로또'…예상 커트라인은?
  • 고덕강일지구 '마지막 로또'…예상 커트라인은?
  • [이데일리 하지나 기자] 서울에서 최대 규모로 조성하는 대규모 공공택지인 강동구 고덕 강일지구의 마지막 분양단지가 이달 중 분양에 나선다. 최근 서울 분양 물량이 많지 않은 상황에서 주변 시세보다 저렴한 가격에 분양가가 책정될 전망이라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1일 분양업계에 따르면 DL이앤씨는 이달 중순 ‘e편한세상 강일 어반브릿지’ 분양에 나설 예정이다. 지하 2층~지상 27층 6개 동, 전용면적 84㎡·101㎡ 총 593가구 규모의 아파트다. 면적별 세대수는 △전용면적 84㎡ 419가구(20개 타입) △전용면적 101㎡ 174가구(6개 타입)로 구성된다. ‘e편한세상 강일 어반브릿지’는 입지여건 역시 우수하다. 도보 거리에 강솔초등학교, 강명초등학교, 강명중학교가 각각 위치해 있으며, 초등학교 및 중학교 설립 계획 부지도 예정돼 있다. 단지 인근에 근린공원 조성이 예정돼 있고 이케아 강동점, 영화관, 쇼핑몰, 오피스 등이 들어서는 고덕비즈밸리도 가깝다. 지하철 5호선 강일역을 도보로 이용할 수 있으며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상일IC), 올림픽대로, 중부고속도로(하남JC, 하남IC) 등 광역 교통망도 인접해 있다. 또 지하철 9호선 4단계 연장(계획), 강일동 광역환승센터(계획) 등이 추진 중에 있다. 분양가는 확정 전이지만 앞서 청약이 이뤄진 고덕강일 제일풍경채와 비슷한 수준으로 정해질 가능성이 크다. 제일풍경채의 경우 당시 3.3㎡당 분양가가 2400만원 수준으로 전용 84㎡는 8억원대, 101㎡는 9억~10억원대로 책정된 바 있다. 이는 주변 시세대비 많게는 2배 가량 저렴한 수준이다. 고덕아르테온 전용 84㎡ 지난달 8일 17억4000만원(8층)에 매매계약을 체결했다. 미사강변센트럴풍경채 전용 84㎡ 지난달 19일 12억1000만원(13층)에 매매계약을 체결했다. e편한세상 강일 어반브릿지에 청약 수요가 대거 몰릴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3월 분양한 ‘고덕강일 제일풍경채’는 1순위 평균 150.24대 1, 지난해 말 공급된 ‘힐스테이트 리슈빌 강일’은 255.53대 1로 집계됐다. 특히 ‘힐스테이트 리슈빌 강일’은 84점 만점짜리 청약통장이 등장하기도 했다. 전체 물량의 절반이 해당지역(서울 2년 이상 연속) 거주자, 나머지 50%가 수도권(서울·경기·인천) 거주자에게 공급돼 경기·인천 등 수도권 거주자도 1순위 청약이 가능하다. 또 전용 101㎡형은 일반공급 물량 절반이 추첨제로 나와 수도권 거주자, 가점이 낮은 청약자, 유주택자(1주택자)도 청약 신청을 통해 당첨 기회를 엿볼 수 있다.여경희 부동산114 수석연구원은 “분양가 상한제 적용되는 단지라서 시세 대비 분양가가 저렴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청약 경쟁률도 높을 것으로 보인다”면서 “청약가점이 최소 70점 이상은 돼야 안정권에 들어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2021.07.01 I 하지나 기자
현대건설, ‘힐스테이트 시화호 라군 인테라스’ 생숙 분양
  • 현대건설, ‘힐스테이트 시화호 라군 인테라스’ 생숙 분양
  • [이데일리 정두리 기자] 현대건설은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성곡동 일원에 들어서는 ‘힐스테이트 시화호 라군 인테라스’를 지난 17일 오픈하고 계약을 진행 중이라고 1일 밝혔다.힐스테이트 시화호 라군 인테라스는 총 8개동, 생활숙박시설 2554가구, 지하 2층~지상 최고 49층 규모의 단지다. 이번 분양은 타입별로 전용면적 기준 △1군 142㎡(A1) 218가구, 142㎡(A2) 86가구, 127㎡(B) 304가구, 122㎡(C) 304가구 △2군 111㎡(D1) 320가구, 106㎡(D4) 340가구, 100㎡(E1) 164가구, 97㎡(E4) 164가구 △3군 111㎡(D2) 172가구, 108㎡(D3) 86가구, 100㎡(E2) 176가구, 100㎡(E3) 176가구로 구성된다.힐스테이트 시화호 라군 인테라스 투시도. (사진=현대건설)힐스테이트 시화호 라군 인테라스의 가장 큰 경쟁력은 탁월한 입지다. 단지가 위치한 시화나래는 시화호를 중심으로 산업, 레저, 관광이 모두 가능한 해양레저복합도시로 조성 중이며 현재 시화호 뱃길 복원 유람선 운행(2021년 예정)을 비롯해 다양한 계발계획이 진행 중이다. 미래가치도 높다. 안산사이언스밸리와 시화멀티테크노밸리가 수도권에서 처음으로 강소연구개발특구로 지정된 만큼 ICT융복합 신소재 개발 등을 통해 국내 4차산업의 거점으로 거듭날 예정이다. 안산시에 따르면 2024년까지 최대 1287억원 생산 유발효과와 516억원 부가가치 유발효과는 물론 1139명의 일자리 창출 효과까지 기대된다. 다양한 교통호재도 계획돼 있다. 국토교통부와 인천시에 따르면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의 인천~안산 구간이 오는 2030년 개통을 목표로 사업을 추진 중이다. 시화나래IC(예정)를 통해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를 타면 서울과 수도권 전역으로 손쉽게 이동할 수 있으며, 시화JC(예정)로는 평택~시흥 고속도로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신안산선이 오는 2024년 개통할 예정으로 신안산선이 개통하면 한양대역에서 여의도역까지 약 25분이 소요되는 등 서울 도심 접근이 한층 수월해 질 전망이다. 생활숙박시설인 힐스테이트 시화호 라군 인테라스는 규제에서도 다소 자유로운 이점을 가진다. 생활숙박시설은 주택법이 아닌 건축법의 적용을 받는 건축물로, 대출 규제를 받지 않는 것은 물론, 청약에 통장이 필요하지 않으면서도 재당첨 제한 등의 규제가 없고, 전매제한도 없다. 또한 세금 부분에서도 종부세 포함 대상이 아니며, 주택 수에 포함되지 않아 양도세, 취득세 중과를 피할 수 있다.분양 관계자는 “일대 개발소식도 대거 이어지고 있는 것은 물론, 규제에서도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상품으로 공급에 나서기 때문에 분양 전부터 많은 문의가 이어지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힐스테이트 시화호 라군 인테라스의 모델하우스는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성곡동 일원에 마련된다.
2021.07.01 I 정두리 기자
새길 따라 청약 몰린다…‘아산 한라비발디 스마트밸리’ 주목
  • 새길 따라 청약 몰린다…‘아산 한라비발디 스마트밸리’ 주목
  • [이데일리 정두리 기자] 교통망이 구축되는 지역의 분양시장이 후끈 달아오르고 있다. 인근 도시의 접근성이 좋아지면서 생활 반경이 한층 넓어지는 데다 유동인구 증가로 지역경제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최근 교통망 개발호재가 이어졌던 양평 분양시장에는 많은 사람이 몰렸다. 현재 공사 중인 수도권 제2 순환고속도로(양평~화도 구간, 2022년 개통 예정)와 양평~이천 고속도로(2025년 개통 예정)가 개통하면 서울 접근성이 한층 개선될 것이라는 기대 때문이다. 여기에 예비타당성이 통과된 서울송파~양평 고속도로(27㎞)가 완공될 경우 서울까지 20분대에 접근 가능하다는 점도 수요자를 끌어들인 요인으로 작용했다.지난 3월 한라가 경기 양평읍에서 분양한 ‘양평역 한라비발디’는 1·2단지 1039가구(특별공급 제외) 모집에 무려 1만4040여명이 몰려 평균 13대 1의 경쟁률을 기록하면서 모든 주택형의 청약이 1순위에서 끝났다. 청약통장 1만4040개는 양평 분양 사상 최다 건수다. 평택 지제역 인근 분양시장도 교통망 호재로 들썩이는 지역이다. 현재 지제역은 수서고속철도인 SRT와 수도권지하철 1호선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에 수원발 KTX직결사업이 올해연말 착공에 들어갈 것으로 알려지면서 수요자들의 발길이 늘고 있다. 실제 지난 2월 지제역 인근에서 포스코건설이 분양한 ‘더샵 지제역 센트럴파크 2BL’은 평균 경쟁률이 32대1을 기록하기도 했다.‘아산 한라비발디 스마트밸리’ 투시도, (사진=청암에이앤씨)이에 따라 수요자들의 관심은 새로운 교통망 구축이 예정된 지역으로 쏠리고 있다. 오는 7월 한라가 아산시 음봉면 산동리에서 분양하는 ‘아산 한라비발디 스마트밸리’가 대표적이다. 아산 스마트밸리산업단지 배후에 들어서는 이 단지는 총 998가구 대규모로 조성된다. 행정구역상으로는 아산이지만 천안의 중심시가지와 인접해 있어 사실상 천안 생활권에 속한다. ‘아산 한라비발디 스마트밸리’는 지하 2층~지상 27층, 11개 동 998가구의 대규모 아파트 단지다. 전 세대가 젊은 수요자들이 많이 찾는 전용54㎡~84㎡의 중소형이다. 아산스마트밸리산업단지 공동주택 단지 중 최대 규모로 청암에이앤씨에서 시행하고 한라가 시공한다.이 단지는 교통망의 최대 수혜지역으로 꼽힌다. 단지 주변으로 2022년 개통 예정인 천안~아산고속도로를 비롯해 천안~평택고속도로(2023년 개통), 서울~천안~세종고속도로(2024년 개통), 천안~공주고속도로(2026년 개통) 등 교통호재가 풍부하다. 천안시가 핵심사업으로 진행 중인 제1,2순환도로망도 단지 인근을 통과한다. 천안의 부동산업계 한 관계자는 “아산 한라비발디 스마트밸리‘는 다양한 교통망 구축으로 서울과 수도권, 인근 도시로 이동이 매우 편리해질 전망”이라며 “분양 시점이 다가오면서 인근 수요자는 물론 천안과 아산 일대 수요자·투자자들의 문의도 크게 늘어나고 있다”고 말했다.
2021.07.01 I 정두리 기자
서울내 공공택지 고덕 강일지구 '마지막 로또' 관심
  • 서울내 공공택지 고덕 강일지구 '마지막 로또' 관심
  • [이데일리 하지나 기자] 서울내 조성되는 대규모 공공택지 개발지구인 강동구 고덕 강일지구에서 이달 중 분양을 예정하고 있어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고덕 강일지구는 지난해 높은 청약경쟁률과 청약가점을 기록한 곳인 만큼 아파트 분양에서는 가점이 높은 청약통장 소지자들이 몰려들 가능성이 높다. 지난 3월 분양한 ‘고덕강일 제일풍경채’는 1순위 평균 150.24대 1, 지난해말 공급된 ‘힐스테이트 리슈빌 강일’은 255.53대 1로 집계됐다. 이어 ‘힐스테이트 리슈빌 강일’은 84점 만점짜리 청약통장도 보였다. 지난해 서울에서 만점 통장이 나온 건 5월 동작구 ‘흑석리버파크자이’, 9월 양천구 ‘신목동 파라곤’에 이어 세 번째다. 강동구 고덕 강일지구는 서울이라는 희소성과 계획적으로 개발된 신도시, 쾌적한 자연환경과 교통여건은 물론 도심에서 보기 드물게 개발호재가 많은 곳이다. 먼저 고덕 강일지구 안팎으로 고덕비즈밸리와 강동일반산업단지 등 대규모 산업단지가 조성되고 있다. 강일지구 내 위치한 고덕비즈밸리(약 23만4523㎡)는 약 150여 개 기업이 입주할 예정이며 현재 41개 기업의 입주가 확정된 상태다. 강동구청에 따르면 고덕비즈밸리가 준공되면 약 9조5000억원의 경제유발 효과와 약 3만8000명의 고용창출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교통 호재도 이어지고 있다. 지하철 9호선 4단계 연장(계획)과 서울~세종 고속도로(2022년 개통 예정), 강동IC, 고덕대교(가칭, 예정)가 조성 중이다.한편 HDC현대산업개발은 이달 ‘고덕 아이파크 디어반’을 분양할 예정이다. 고덕비즈밸리 핵심 위치에 들어서는 신개념 복합공간으로 지하 6층~지상 21층, 연면적 약 30만1092㎡ 규모로 조성된다. 판매시설, 운동시설, 문화 및 집회시설, 업무시설, 근린생활시설 등으로 구성되며 전용면적 37~158㎡, 업무시설 총 598실이 들어설 예정이다. 이케아는 입점 확정되었으며 지하 1층~지상 4층에는 다양한 키테넌트와 문화공간, 이마트, 멀티플렉스 영화관, 키즈짐, 전자제품샵, 리빙 인테리어매장 등도 함께 들어설 예정이다. 고덕강일지구의 마지막 분양 단지인 ‘e편한세상 강일 어반브릿지’도 이달 중 분양을 시작할 예정이다. 지하 2층~지상 27층 6개 동, 전용면적 84㎡·101㎡, 총 593가구 규모의 아파트다. 지하철 5호선 강일역을 도보로 이용할 수 있으며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상일IC), 올림픽대로, 중부고속도로(하남JC, 하남IC) 등 광역 교통망도 인접해 있다. 또 지하철 9호선 4단계 연장(계획) 강일동 광역환승센터(계획) 등이 추진 중에 있다. 특히 전용면적 101㎡ 물량의 50%는 추첨제로 당첨자를 선정하기 때문에 수도권 거주자, 가점이 낮은 청약자, 유주택자(1주택자)도 청약 신청을 통해 당첨 기회를 엿볼 수 있다.△HDC현대산업개발 ‘고덕 아이파크 디어반’ 조감도
2021.07.01 I 하지나 기자
3분기 전국 14만가구 분양…경기도서 40% 공급
  • 3분기 전국 14만가구 분양…경기도서 40% 공급
  • [이데일리 하지나 기자] 올해 3분기 전국 아파트 14만여 가구가 분양에 나서는 가운데 40% 가량이 경기도에 공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올해 7~9월 분양예정 물량은 전국 166곳, 13만9447가구(임대 포함, 총 가구수 기준)로 조사됐다. 작년 동기 분양실적인 12만5729가구(수도권 6만6026가구, 지방 5만9703가구)에 비하면 1만3718가구 늘어난 수준이다. 권역별로 3분기 분양예정 물량은 △수도권 87곳, 7만8790가구 △지방 79곳, 6만657가구로 집계됐다. 특히 3분기 전체 분양예정 물량 가운데 40%(5만5574가구)가 경기도에서 공급된다. 사전청약 물량 4400가구 중 인천 계양지구 1100가구를 제외한 3300가구(△남양주진접2 1600가구 △성남복정1 1000가구 △의왕청계2 300가구 △위례 400가구)가 7월 중 공급될 예정이다. 올해 3분기 분양예정 물량은 △경기(5만5574가구) △인천(1만2802가구) △서울(1만414가구) △대구(8083가구) △경북(7819가구) △부산(7458가구) 순으로 많다. 2021년 상반기 청약 열기를 견인한 수도권에서 물량이 대거 쏟아지면서 수도권 청약수요의 선택 폭이 넓어질 전망이다. 경기도에서는 대단지 물량이 많다. 3분기 분양예정인 62개 단지 가운데 1000가구 이상 대단지는 20개, 3만5394가구다. △광명시 베르몬트로광명(3344가구) △수원시 수원권선6구역(2175가구) △안양시 평촌트리지아(2417가구) △용인시 힐스테이트몬테로이(1·2·3BL, 총 3731가구) 등이 분양을 앞두고 있다. 상반기 분양이 귀했던 서울에서는 6월 말 래미안원베일리 공급을 기점으로 분양물량이 풀리는 분위기다. 다만 청약 열기의 진원지인 만큼 가점이 70점 이상이어야 당첨 안정권에 들 것으로 보인다. 강동구 고덕강일지구 마지막 민간분양 아파트인 e편한세상강일어반브릿지(593가구)를 비롯해 동대문구 이문1구역래미안(2904가구), 성동구 행당7구역푸르지오(958가구), 은평구 대조1구역재개발(1971가구) 등 강북권 재개발 단지들도 분양에 나설 예정이다. 지방은 광역시와 세종시 등 대도시권의 분양 흥행이 이어지는 가운데 대전 서구 용문1,2,3구역재건축(2763가구), 부산 부산진구 양정1주택재개발(2276가구), 세종 세종자이더시티(6-3L1, 1350가구) 등이 분양을 앞두고 있다. 여경희 부동산114 수석연구원은 “가점이 낮은 수요자들은 틈새면적, 추첨제 물량 공략 등의 전략을 구상해 둘 필요가 있다”면서 “6월부터 분양권 전매 시 양도소득세 중과세율이 적용되기 때문에 단기차익을 노린 청약은 지양하고, 투기과열지구 내 전매제한과 실거주의무 등이 강화 적용된다는 점을 고려해 신중하게 청약통장을 사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2021.06.30 I 하지나 기자
2030 뿔난 민심에…청약통장 혜택 늘리고 특공 확대 추진
  • 2030 뿔난 민심에…청약통장 혜택 늘리고 특공 확대 추진
  • [세종=이데일리 최훈길 기자]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에 가입할 수 있는 기간이 늘어나고 민영주택 생애최초 특별공급 비중이 확대된다. 부동산 급등으로 내 집 마련에 어려움이 큰 2030 세대를 위한 주거안정 대책이다. 문재인 대통령 모습. 사진은 문 대통령이 지난 2018년 7월 5일 서울시 구로구의 한 행복주택 아파트 광장 놀이터에서 열린 신혼부부 및 청년 주거대책 발표 행사에 참석한 모습. (사진=연합뉴스)정부는 28일 문재인 대통령 주재로 열린 확대 경제장관회의에서 이같은 ‘하반기 경제정책방향’을 의결했다. 문 대통령은 “청년층의 어려움은 곧 부모 세대의 어려움이며, 사회 전체의 아픔”이라며 “일자리와 주거를 촘촘하게 지원해서 청년을 위한 ‘희망 사다리’가 되어야 하겠다”고 말했다. 청년층 서민주거 안정 방안에 따르면 정부는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의 가입을 당초 올해 말까지 받기로 했으나 2023년 말까지 허용하기로 했다. 현재 가입 요건은 만 19~34세 연소득 3000만원 이하다. 국토부는 더 많은 청년이 가입할 수 있도록 소득 기준을 3600만원으로 올리기로 했다.정부는 월세에 거주 중인 무주택 청년의 월세 부담을 줄여주는 방안도 추진하기로 했다. 만 19~34세 연소득 5000만원 이하 청년에게는 정부가 은행 월세 대출 중 20만원까지 이자를 대신 내주기로 했다. 서민의 내 집 마련을 돕기 위해 민영주택 생애최초 특별공급 비중이 확대된다. 현재 생애최초 특공의 경우 공공택지의 경우 15%, 민간택지에는 7%를 할당하고 있다. 이번 대책에 따라 공공택지에선 20%로 5%포인트, 민간택지에선 10%로 3%포인트 각각 상향될 예정이다. 디딤돌대출(주택 구입자금 기금 대출)의 지원 한도도 상향된다. 현재 디딤돌 대출은 기본 2억원, 두자녀 이상은 2억 6000만원까지 지원된다. 앞으로는 지원액이 각각 5000만원씩 올라간다. 주택금융공사의 보금자리론 지원 한도도 3억원에서 3억 6000만원으로 상향될 예정이다. 아울러 정부는 주택공급 속도를 올리기로 했다. 이를 위해 수도권 공공임대는 물론 3기 신도시까지 신축 공공임대주택에 모듈러(modular) 공법 적용을 검토하기로 했다. 모듈러 공법은 공장에서 주택의 주요 부위를 만들고 현장에서 조립해 짓는 공법으로, 공사 기간을 최고 절반 수준까지 단축할 수 있다.
2021.06.28 I 최훈길 기자
‘연이자 3.3%’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2023년까지 가입 가능
  • ‘연이자 3.3%’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2023년까지 가입 가능
  • [이데일리 김미영 기자] 정부가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의 가입 허용 기간을 올해 말에서 2023년 말까지 연장한다. 중소기업 취업 청년에 전세자금 최고 1억원을 연 1.2%로 빌려주는 제도 역시 2년 연장하고, 저소득 청년에겐 20만원까지 월세를 무이자로 빌려주기로 했다.국토교통부는 28일 발표한 ‘하반기 경제정책방향’에 이러한 내용의 청년층 서민주거 안정 방안을 담았다. 청년세대의 안정적 주거환경 조성과 내 집 마련을 돕기 위해 마련한 지원책이다.만 19∼34세를 대상으로 한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은 기존 주택청약종합저축의 청약 기능과 소득공제 혜택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10년간 연 최대 3.3%의 금리와 이자소득 비과세 혜택까지 제공한다. 비과세 혜택은 2년 이상 통장 유지 시, 연 납입액 600만원 한도에서 주어진다. 가입 허용 기간은 당초 올해 연말에서 2023년 말까지 늘리고, 가입요건은 연소득 3000만원에서 3600만원으로 완화한다. 올 연말 종료될 예정이었던 중소기업 취업 청년 전세자금 대출의 운영기한도 2023년 12월까지 연장한다. 임차보증금 2억원 이하 주택에 최대 1억원을 대출금리 연 1.2%(고정금리)로 빌려주는 제도다. 중소기업 청년 전세자금대출 실적은 2020년 9만1626건(7조912억원)으로, 올해는 5월까지 3만766건(2조3276억원)을 기록 중이다. 주택도시보증공사(HUG)는 전세보증금 반환보증 보증료 70∼80% 인하 지원 기간을 올 6월에서 연말까지 6개월 연장한다.연소득 5000만원 이하 청년에게는 정부가 은행 월세 대출 중 20만원까지 이자를 대신 내주고, 월세 대출한도도 현행 월 40만원에서 50만원으로 늘린다. 주택구입 자금 대출 한도 역시 현행 2억~2억6000만원에서 2억5000만~3억1000만원으로 5000만원 상향키로 했다. 서민·실수요자의 전세보증금 지원 차원에선 HUG 전세금안심대출을 이용할 수 있는 전세보증금 기준을 수도권 7억원(현행 5억원), 그 외 지역 5억원(현행 4억원) 이하로 확대한다.서울 강북권 아파트 풍경(사진=연합뉴스)청년 맞춤용으로 새로운 방식의 주택 공급도 이뤄진다. 적은 비용으로 임차거주 후 내 집으로 분양전환하는 누구나 집은 올해 중 시범사업을 위한 공모 등을 준비·시행한다. 집값을 20년~30년의 거주기간 동안 장기 분할 납부하면서 지분 취득을 통해 내 집 마련을 실현하는 지분적립형 주택은 올해 중 제도화를 완료하고, 시범사업을 위한 준비에 착수한다.이와 함께 정부는 청년 임차가구 지원을 위해 대학가·역세권 등에 전세임대주택 약 5000가구를 추가 공급한단 계획이다. 지난해 전세대책으로 추진 중인 신축 매입약정, 공공전세 등도 당초 목표대로 하반기까지 3만8000가구를 확보·공급할 방침이다.국토부 관계자는 “신축 공공임대에 대한 모듈러 공법 적용 확대, 비주택 공실 리모델링 활성화 등으로 도심 공급확대를 위한 다방면의 노력을 계속해가겠다”고 덧붙엿다.
2021.06.28 I 김미영 기자
'일·집·돈' 청년 '희망사다리' 놓는다…"역부족" 지적도
  • '일·집·돈' 청년 '희망사다리' 놓는다…"역부족" 지적도
  •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0일 서울 상암동 연구개발타위 소재 벤타브이알을 방문해 전우열 대표이사로부터 회사설명을 듣고 있다. (사진=기재부)[세종=이데일리 원다연 기자] 정부가 청년층의 일자리와 주거, 자산형성 기회를 확대해 ‘희망사다리’를 놓겠다고 밝혔다. 청년 취업을 지원하고 임대주택과 월세 지원을 확대하는 한편, 소득 구간별로 정부가 맞춤형 자산형성을 지원한다는 구상이다. 다만 안정적인 일자리 자체가 부족하고 집값은 천정 부지로 치솟고 있어 이같은 지원이 사다리 역할을 하기엔 역부족이란 지적도 나온다. 정부는 28일 발표한 ‘하반기 경제정책방향’을 통해 “일자리·주거·자산형성 3대 분야에서 ‘튼튼한 청년 희망사다리’를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우선 청년의 일할 권리 보장을 위해 6개월간 월 50만원을 지원하는 구직촉진수당의 청년특례 요건을 취업경험이 없는 청년까지 확대하고, 청년층을 정규직으로 신규 채용하는 기업에 1명당 최대 1년간 월 75원의 청년채용특별장려금을 지원한다. 청년 주거 사다리 복원에도 나선다. 정부는 청년층의 수요가 높은 대학가와 역세권 등을 중심으로 하반기 중 전세임대주택 5000호를 추가 공급한다는 계획이다. 또 1.5%포인트의 금리우대와 이자소득 비과세 혜택이 적용되는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의 가입기간을 기존 올해 말에서 2023년 말까지 연장하고, 가입요건도 연소득 3000만원 이하에서 3600만원 이하로 완화한다. 아울러 월세에 살고 있는 무주택 청년에는 월 20만원의 무이자 대출을 지원한다. 미래를 대비할 수 있도록 안정적인 자산형성도 지원한다. 정부는 청년층을 소득수준별로 3구간으로 구분해 가장 하위 소득수준 구간의 청년에는 저축액에 정부가 일정비율을 매칭하고, 중간 소득수준 구간 청년에는 정부가 추가 이자 지원, 상위 소득수준 구간 청년에는 소득공제 혜택을 제공해 자산형성을 돕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이같은 자산형성 지원 방안에 대해서는 내달 중 구체 방안을 내놓을 예정이다. 이억원 기획재정부 1차관은 “청년 문제의 경우 우선순위를 갖고 해결해야 하는 부분으로 일자리, 주거, 자산형성 등의 부분에서 종합적으로 고민했다”며 “특히 자산형성 부분은 최근의 상황들을 봤을 때 정부의 대책이 중요하겠다고 고심해 준비했다”고 말했다. 다만 근본적으로 괜찮은 일자리의 확대없이 이같은 지원은 청년층의 임시방편에 불과하다는 지적이다. 박영범 한성대 경제학과 교수는 “청년 희망사다리라고 하지만 기존에 부문별로 있었었던 정책에서 지원 대상을 확대한 수준에 불과하다”며 “결국 근본은 청년층이 안정적인 일자리를 찾아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인데 노동개혁과 규제완화 등을 통해 기업들이 일자리 창출 여건을 만들 수 있는 정책이 함께 이뤄지지 않으면 실질적 효과를 거두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2021.06.28 I 원다연 기자
분양 비성수기…다음주 9곳만 분양
  • [부동산캘린더]분양 비성수기…다음주 9곳만 분양
  • [이데일리 황현규 기자] 서울 최대 관심 단지인 ‘래미안 원베일리’에서 만점 통장이 등장해 업계의 관심이 집중됐다. 한동안 강남권 단지 공급이 뜸할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다음주는 분양시장은 잠시 숨을 고르는 모습이다.25일 부동산 전문 리서치업체 리얼투데이에 따르면 6월 다섯째 주에는 전국 9곳에서 총 3,694가구(도시형생활주택, 오피스텔, 민간임대 포함)의 청약 접수가 이뤄진다. 인천에서는 ‘마전 양우내안애 퍼스트힐’이 청약 접수를 받으며 대구에서는 ‘용계역 푸르지오 아츠베르’의 1순위 청약 접수가 진행된다.모델하우스는 4곳에서 오픈한다. 대구에서는 ‘힐스테이트 대구역 퍼스트’가 모델하우스를 오픈하며 경남에서는 ‘창원 롯데캐슬 센텀골드’가 모델하우스 문을 연다. 먼저 29일 양우건설은 인천광역시 서구 마전동 마전지구 17블록 2롯트 외 4필지에 들어서는 ‘마전 양우 내안애 퍼스트힐’의 청약 접수를 받는다. 단지는 지하 3층~지상 18층 7개 동, 전용면적 59~84㎡ 총 545가구 규모다. 단지 바로앞 검단 초등학교가 위치하며 단지 1km이내에 초중고교가 있어 교육환경이 우수하다.같은날 대우건설은 대구광역시 동구 용계동 일원에 조성되는 ‘용계역 푸르지오 아츠베르’의 청약 접수를 받는다. 단지는 지하 2층~지상 15층 총 21개 동, 전용면적 59~99㎡, 총 1313가구 규모다. 단지는 용계역이 도보 10분거리에 위치하며 동대구IC가 가까워 중앙고속도로, 경부고속도로 진입이 편리하다.모델하우스 오픈단지도 있다. 2일 현대건설은 대구광역시 중구 태평로3가 일대에 들어서는 ‘힐스테이트 대구역 퍼스트’의 모델하우스를 오픈한다. 단지는 지하 5층~지상 41층 2개 동, 전용면적 84㎡ 총 216가구 규모다. 단지는 롯데백화점, 이마트 등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동성로가 인접해 CGV, 롯데시네마와 같은 다양한 문화시설도 이용할 수 있다.같은날 롯데건설은 경상남도 창원시 양덕동 일원에 들어서는 ‘창원 롯데캐슬 센텀골드’의 모델하우스를 오픈한다. 단지는 지하 3층~지상 39층, 7개 동 전용면적 59~99㎡, 956가구 규모로 조성된다. 도보권에는 마산고속버스터미널이 위치하며 KTX마산역이 차량 10분 이내 거리에 있다.
2021.06.26 I 황현규 기자
10억 로또 '래미안 원베일리' 청약서 만점 통장 나와
  • 10억 로또 '래미안 원베일리' 청약서 만점 통장 나와
  • [이데일리 신수정 기자]서울 서초구 ‘래미안 원베일리’(신반포3차·경남 재건축) 청약에 84점 만점 통장이 등장했다. 서울에서 청약 만점자가 나온 것은 지난 1월 강동구 힐스테이트리슈빌강일 이후 5개월 만이다.래미안 원베일리 조감도. (사진=삼성물산)25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이날 당첨자를 발표한 래미안원베일리 74㎡B형에서 청약가점 84점 만점자가 최고 점수로 당첨됐다.84점은 부양가족 6명 이상(35점), 무주택 기간 15년 이상(32점), 청약통장 가입 기간 15년 이상(17점)을 모두 충족해야 받을 수 있는 점수다.만점자가 나온 74㎡B주택형은 당첨 최저 점수가 78점, 평균 점수가 80.5점에 달했다. 59㎡B형는 당첨 최저 점수와 평균 점수가 각각 69점, 69.81점으로 60점대로 집계됐다. 나머지 주택형은 당첨 최저·평균 점수가 70점을 넘었다.원베일리의 3.3㎡당 평균 분양가는 5653만원이다. 인근 아크로리버파크 시세가 3.3㎡당 1억원인 점 등을 고려해 높은 차익이 기대되자 고가점자들이 대거 몰려든 것으로 분석된다. 실제 지난 17일 1순위 청약에서 224가구 모집에 3만 6116명이 몰려 평균 경쟁률 161.2대 1을 나타내기도 했다. 전용 46㎡A는 경쟁률은 1873.5대 1에 달했다.
2021.06.25 I 신수정 기자
강남 분양시장, 도생·오피스텔도 규모 갖춰야 ‘대세’
  • 강남 분양시장, 도생·오피스텔도 규모 갖춰야 ‘대세’
  • [이데일리 정두리 기자] 강남 분양시장에서 규모를 갖춘 단지로의 수요 쏠림 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도시형 생활주택, 오피스텔 등 대안 주거시설도 몸집 키우기에 나서고 있다.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최근 서울 서초구에서 분양한 ‘래미안 원베일리’는 224가구 (특별공급 제외) 모집에 3만6116명의 인파가 몰려, 평균 161.23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총 2990가구 규모의 대단지로 조성되는 것이 주효했다는 평가다. 이에 앞서 지난해 7월 강남구에서 분양한 ‘디에이치 퍼스티어 아이파크’ 역시 총 6702가구 규모의 매머드급 단지로 입소문을 타며, 1135가구 모집에 3만291건의 청약통장이 사용됐다. 이 단지의 평균 청약 경쟁률은 26.69대 1이었다.대단지 아파트는 가격 오름세도 뚜렷하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송파구 소재 ‘헬리오시티’ 전용 59.96㎡ 타입은 지난해 11월 16억5000만원에 거래되던 것이 올해 6월 2억원 오른 18억5000만원에 손바뀜됐다. 강남구 소재 은마아파트 전용 84.43㎡ 타입 역시 지난해 5월 19억4000만원에서 올 5월 24억원에 새 주인을 찾았다. 이들 단지는 각각 9510가구·4424가구 등으로 구성됐다.이처럼 대단지 아파트가 인기를 끄는 이유는 우수한 커뮤니티 시설이 꼽힌다. 일반적으로 단지 규모가 클수록 활용할 수 있는 면적이 넓어 입주민들을 위한 부대시설이 잘 갖춰지는 경우가 많다. 또한 주차장이나 조경 등에 많은 공간을 할애할 수 있다.‘원에디션 강남’ 투시도.이 같은 흐름에 발맞춰 도시형 생활주택이나 오피스텔 등 대안 주거시설도 몸집 키우기에 한창이다.현대엔지니어링은 서울 강남구 옛 스포월드 부지에서 ‘원에디션 강남’을 분양 중이다. 대지면적 6355㎡에 지하 5층~지상 20층 3개 동 규모로, 도시형 생활주택 전용 26~49㎡ 234가구 및 오피스텔·근린생활시설·스포츠시설 등으로 구성된다. 최근 강남3구에서 분양한 고급주거시설 대다수가 1개 동 규모인 점을 감안하면, 규모에서부터 차별화된다.규모에 걸맞은 커뮤니티 시설도 다수 조성된다. 과거 스포월드 운영사가 관리를 맡은 멤버십 피트니스센터 ‘원피트니스’ 와 골프연습장 등 럭셔리 스포츠시설이 함께 들어서, 기존 스포월드의 명성을 이어나갈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시티뷰와 파티·바비큐 등을 즐길 수 있는 테라스 게스트룸 및 카바나·입주민 전용카페 등도 계획돼 있다. 이밖에도 개별 세대창고가 마련되며, 가구당 1대 이상 자주식 주차가 가능한 여유로운 주차공간도 조성된다. 모델하우스는 서울 강남구 신사동 일원에 마련돼 있다.
2021.06.25 I 정두리 기자
‘지역주택조합’ 사기 막는다…모집신고 검토 강화
  • [단독]‘지역주택조합’ 사기 막는다…모집신고 검토 강화
  • [이데일리 신수정 기자]2년 전 A씨는 동대문구 지역주택조합의 추가 모집 홍보를 통해 1~2차 계약금 5000만원을 내고 조합에 가입했다. 당시 분양 직원은 “지구단위계획이 바뀌면 20층까지 올릴 수 있다”면서 “역세권인데도 20% 이상 저렴하게 집을 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A씨의 기대와는 달리 사업은 속도를 내지 못했다. 나중에 알고 보니 토지 확보율과 매입률은 현저히 낮은데다 조합원 모집인원도 채우지 못한 것이다. 관계자들은 업무상횡령 등 혐의로 기소됐지만 계약금 회수는 어렵다는 회신을 받았다. 지역주택조합원인 B씨는 5년째 관할 구청장의 허가를 받지 못해 피해를 입고 있다. 지주택의 토지 매입과 사용 승낙서는 90%에 다다랐지만, 검토만 수년째 이어지고 있다. 해당 구에서는 지구단위계획이 확정된 것이 아니라 지침을 살펴봐야 한다는 입장을 반복하고 있다. B씨는 사업 기간이 늘어나면서 불어나는 추가 분담금에 속앓이 중이다.(사진=연합뉴스)지역주택조합 사기와 사업 지체 피해를 막는 방안이 나왔다. 구청장 판단에 맡겨졌던 지주택 검토를 전문가와 자치구 담당 부서로 구성된 합동회의에 맡기고 그 결과를 모집공고문에 반드시 포함해야 한다. 24일 이데일리 취재 결과 서울시는 ‘지역주택조합 사업계획규모 검토 기준’을 수립하고 지역주택조합 모집 신고를 관리하도록 한다. 서울시 관계자는 “자치구별로 달랐던 지역주택조합 모집 기준을 통일해 지주택 모집 사기를 막고 적절하다고 판단된 사업은 속도를 높일 수 있도록 했다”고 설명했다.지역주택조합(지주택)은 지역 주민들이 조합을 구성해 함께 땅을 사고 집을 짓는 제도다. 일종의 아파트 ‘공동구매’인 셈이다. 조합이 직접 시행사 역할을 해 직접 자금을 모아 땅을 산 후, 시공사 선정을 거쳐 아파트를 건축하기 때문에 분양가도 저렴하다. 임대주택 의무 비율도 없다. 청약통장 없이도 조합원 가입이 가능하다.일반 분양보다 상대적으로 저렴하게 내 집을 마련할 수 있도록 하자는 취지로 만들어졌지만, 잡음은 끊이지 않고 있다. 이에 국회는 작년 1월 주택법 개정안을 통과시켜 △모집 신고 시 대지의 50% 이상 사용권을 확보 △조합설립 인가 시 전체 사업 부지의 15% 이상을 소유 등 투자자 보호 방안을 마련했다. 서울시는 여기에 더해 지주택 모집 신고시 자치구 도시건축공동위원회 위원 등 전문가와 관할구청의 담당부서가 합동회의를 거치게 했다. 합동회의에선 사업계획 규모의 적정 여부를 판단한다. 관련 법령과 사실관계 등이 집중 검토 대상이다. 합동회의에선 사업 계획 내용에 따라 신고된 규모를 조정할 수 있다. 계획이 과도할 경우 용도지역과 용적률, 세대수 등을 80~90%까지 낮춘다. 모집공고문에는 합동회의에서 도출된 결과를 반드시 포함해야 한다. 또 지구단위계획, 사업계획승인 등 절차에 따라 사업계획이 변경 될수 있고 확정된 계획이 아니라는 점을 명시해야 한다.적합한 지주택 사업의 진행속도는 빨라질 전망이다. 관할 구청장 등 수리권자의 판단에 좌우됐던 기준이 통일됐기 때문이다. 실제 서울시에 따르면 올 2월 기준 서울 내에서 지주택 사업 절차가 진행 중인 109곳 가운데 실제 착공에 돌입한 지주택 사업장은 5곳에 불과했다. 이 중 76곳(69.7%)이 사업 초기 단계인 조합원 모집 신고 단계에 멈춰있다.서울시 관계자는 “자치구별로 지주택 사업 계획규모 검토 기준이 달라 현장 혼란이 컸다”며 “기준과 절차를 통일해 적합한 사업은 원활히 진행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전문가들은 지주택 사업 진행 시 자치구와 전문가들의 회의요건이 신설되면서 불완전 판매 피해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분석했다. 다만 자치구의 관리 감독을 강화해 투명한 정보전달이 이어질 수 있도록 해야한다고 강조했다.대한부동산학회 회장인 서진형 경인여대 교수는 “지주택 통과 기준을 통일하면 멈춰있던 사업이 움직일 수 있을 것으로 본다”면서도 “자치구들은 조합의 횡령이나 배임 등이 일어나지 않도록 지속 관리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2021.06.25 I 신수정 기자
국토부, 부정청약 뿌리뽑는다…교란행위 299건 수사의뢰
  • 국토부, 부정청약 뿌리뽑는다…교란행위 299건 수사의뢰
  • [이데일리 정두리 기자] 정부가 부정청약, 불법공급 등 주택 공급질서 교란행위 단속 강화에 나선다. 국토교통부는 2020년 하반기 분양단지를 대상으로 한국부동산원과 합동점검을 실시한 결과 부정청약, 불법공급 등 총 302건의 공급질서 교란행위를 적발하고, 이중 299건을 수사의뢰했다고 24일 밝혔다.주택 공급질서 교란행위로 적발된 유형을 보면 △청약브로커가 당첨 가능성이 높은 청약자의 금융인증서 등을 넘겨받아 대리청약하거나, 당첨 후 대리계약을 체결하는 등 청약통장 또는 청약자격을 매매하는 방식의 통장매매 방식의 부정청약 185건 △해당지역 거주자의 청약자격을 얻기 위해 실제 거주하지 않고 주소지만 옮겨 청약하는 방식의 위장전입 방식의 부정청약 57건 △당첨취소 물량을 예비입주자 일부에게만 안내하거나, 사업주체의 지인 등과 계약하는 방식의 불법공급 등 57건 △부양가족수 산정 오류 등 당첨취소 대상 3건 등이다.이 중 국토부는 부정청약(242건) 및 불법공급(57건) 혐의가 있는 299건에 대해서는 경찰청에 수사의뢰해 주택법 위반시 형사처벌과 함께 계약취소(주택환수) 및 향후 10년간 주택청약자격 제한조치도 취할 예정이다.한편 지난해 12월 ‘2020년 상반기 분양단지’에 대해서는 228건의 공급질서 교란행위를 적발하여 수사의뢰 한 바 있다. 현재 53건의 수사결과(기소의견)가 통보돼 계약취소 및 청약자격제한 조치를 취했고, 나머지 175건은 현재 수사 진행중에 있다.국토부는 오는 7월부터 ‘2021년 상반기 분양단지’를 대상으로 부정청약·불법공급 여부를 집중 점검할 예정이다. 국토부는 “앞으로도 공급질서 교란행위를 근절하기 위해 강도 높은 점검활동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2021.06.24 I 정두리 기자
춘천 파밀리에 리버파크, 청약경쟁률 최고 57대 1
  • 춘천 파밀리에 리버파크, 청약경쟁률 최고 57대 1
  • [이데일리 김미영 기자] 신동아건설이 강원도 춘천시에 선보인 ‘춘천 파밀리에 리버파크’가 최고 경쟁률 56.84대 1을 기록하며 1순위에서 청약을 마감했다.23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이 아파트단지는 전날 진행된 1순위 청약접수에서 특별공급을 제외한 89가구 모집에 총 2829건이 접수돼 평균 31.78대 1 경쟁률을 기록했다. 특히 전용면적 84㎡B는 32가구 모집에 1819건의 청약통장이 몰려 경쟁률이 56.84대 1까지 올랐다.‘춘천 파밀리에 리버파크’는 강원도 춘천시 근화동에 위치하며 지하 3층~지상 최고 42층 2개 동, 전용 59㎡·84㎡ 총 320가구 규모다. 이 중 157가구가 일반 분양이다. 단지는 바로 앞에 북한강과 공지천이 자리해 조망권이 우수한 편이다. 여기에 천역, 남춘천역, 춘천 고속·시외버스 터미널 등이 가까워 교통이 편리하다. 또한 레고랜드 테마파크, 춘천 역세권 개발 등 각종 개발호재에 따른 수혜도 기대된다는 게 분양 관계자의 전언이다. 아울러 춘천은 비규제지역으로, 청약통장 가입기간이 6개월만 지나면 1순위 청약을 지원할 수 있고 전매 제한이 없어 분양 받은 후 즉시 분양권 전매가 가능하다. 다주택자 및 세대원도 1순위 대상(춘천시 3개월 이상 거주자)이 될 수 있다.당첨자발표는 오는 29일(이다. 정당계약은 7월 12~14일 사흘간 이뤄질 예정이다. 입주예정일은 2024년 3월이다. 춘천 파밀리에 리버파크 투시도
2021.06.23 I 김미영 기자
‘10억 로또’ 원베일리, 청약자 3.6만명 몰렸다…왜
  • ‘10억 로또’ 원베일리, 청약자 3.6만명 몰렸다…왜
  • [이데일리 김나리 기자] 시세차익 10억원 이상이 예상돼 ‘로또 분양’ 단지로 불리는 서울 서초구 반포동 ‘래미안 원베일리’ 1순위 청약에 3만6000여명이 몰린 것으로 나타났다. 청약일을 코앞에 두고 ‘실거주 의무’ 규제가 없어져 ‘갭 투자(전세끼고 매매)’가 가능해진데다 치솟는 집값과 전세금 폭등에 거주 불안이 심화되면서 청약 고가점 무주택자들이 대거 몰렸을 것이란 분석이다.(사진=삼성물산)17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래미안 원베일리 일반분양 전용 46~74㎡ 224가구 모집에 총 3만6116명이 접수했다. 평균 경쟁률은 161.2대 1로 집계됐다.최고 경쟁률은 단 2가구만 모집했던 전용 46㎡에서 나왔다. 2가구 모집에 3747명이 접수하면서 최고 경쟁률이 1873.5대 1에 달했다. 이어 △74㎡A 537.6대 1 △74㎡B 471.3대 1 △74㎡C 407.5대 1 △59㎡A 124.9대 1 △59㎡B 79.6대 1 등 순으로 경쟁률이 높았다.래미안 원베일리 59㎡ 최고 분양가는 14억2500만원이다. 주변 아파트인 아크로리버파크 등이 20억원 중반대에 거래되는 것을 감안하면 10억원 이상의 시세차익을 남길 수 있다는 평가다. 래미안 원베일리는 지하4층~지하 35층, 23개동, 총 2990가구 규모로 조성된다. 입주는 2023년 8월 예정이다.당첨 가점은 대체로 70점대로 추정된다. 청약전문가인 박지민 월용청약연구소 대표는 원베일리 당첨 가점에 대해 “74㎡는 74점, 59㎡A는 69점, 59㎡B는 67~68점 정도를 예상한다”고 말했다. 대한민국 청약지도 저자인 정지영 아임해피 대표는 “59㎡B 타입은 69점으로도 당첨이 힘들어 보인다”며 “전용 74㎡ 타입의 경우 70점을 넘어설 것”으로 내다봤다.앞서 원베일리 청약은 ‘3년 실거주 의무’로 인해 현금 100%를 가진 현금부자만의 잔치가 될 것으로 예상됐으나, 지난 14일 급작스레 조합이 실거주 의무가 없다고 입주자 모집 정정공고를 내면서 새로운 국면을 맞았다. 모든 타입이 9억원을 넘어 중도금 대출이 불가한데다 입주시점에 주택담보대출로 잔금(분양권 총액이 15억원을 넘을 경우)을 치르기도 현실적으로 어렵지만, 집을 임대한 뒤 전세보증금으로 잔금을 낼 수 있는 길이 열려서다. (본지 2021년 6월 13일 [단독]‘10억 로또’ 원베일리, 거주의무 사라졌다…대출 NO, 전세 YES. 참고)특히 업계에서는 이번 원베일리 청약에 ‘분노한’ 청약 고가점 무주택자들이 대거 청약통장을 던졌을 것으로 보고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이번 정부 들어 치솟는 집값과 불안한 전셋값에 거주 안정성이 무너져 이른바 ‘벼락거지’가 된 고가점 무주택자들의 분노가 거센 상황”이라며 “그 가운데 원베일리에서 현금이 100% 없어도 청약 도전이 가능해지면서 70점대 고가점자들이 대거 청약에 나선 것”이라고 설명했다.이와 관련해 박지민 대표는 “당초 3만명 정도를 예상했는데 실거주 의무가 갑자기 사라지면서 이를 웃도는 3만6000여명의 청약자가 몰렸다”며 “강남권 청약이 많이 없기 때문에 오랫동안 기다렸던 고가점 무주택자들이 대거 청약통장을 던졌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아울러 “분양 가구수가 적지만 집값, 전셋값이 많이 올라 ‘밑져야 본전’으로 도전한 청약자들도 많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2021.06.17 I 김나리 기자
LH, 하반기 분양주택 1만가구 공급…수도권 60% 이상
  • LH, 하반기 분양주택 1만가구 공급…수도권 60% 이상
  • [이데일리 김나리 기자] LH가 올해 하반기 전국에서 1만 가구 이상의 분양주택을 공급한다. 수도권 물량이 60% 이상으로, 하반기 시행되는 3기신도시 등 사전청약과는 별개다.(자료=국토부)LH는 올해 상반기까지 총 5935가구의 분양주택 등을 공급했으며 오는 7월부터 전국에 총 1만170가구의 주택 공급을 이어간다고 15일 밝혔다. 유형별로는 일반 공공분양 6113가구, 신혼희망타운 3345가구, 10년임대(분양전환) 712가구이며, 지역별로는 주택수요가 많은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에 전체 물량의 60%가 넘는 6156가구를 공급하고, 광역시 및 기타지역에 4014가구를 순차적으로 공급한다는 계획이다.분양주택 1만170가구 중 6825가구는 일반 무주택 실수요자들을 위한 ‘공공분양’ 및 ‘10년 공공임대주택’으로 공급하고, 나머지 3345가구는 신혼부부 주거안정을 위한 ‘신혼희망타운’으로 공급한다.‘공공분양 주택’은 분양가상한제 적용으로 시세보다 저렴한 가격에 주택을 공급하며, 우수한 교통·편의시설 등을 갖춘 공공개발 사업지구 내 주택을 공급받을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일반공급의 경우 무주택세대구성원 중 입주자저축 가입기간 등(수도권·규제지역 여부에 따라 상이)에 따라 1순위 청약 자격이 주어진다. 경합이 있을 경우 3년 이상 무주택세대구성원 중 저축총액(월 최대 10만원 인정)이 많은 순으로 입주자를 선정한다. 전용면적이 60㎡ 이하인 경우 별도의 소득·자산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기타 △신혼부부 △생애최초 △다자녀 △노부모부양 등의 공공분양 특별공급은 각 유형별로 정해진 신청자격 및 소득·자산기준을 충족할 경우 청약 가능하고, 경합이 있을 시 별도의 배점표 등을 통해 고득점 순으로 입주자를 선정한다.신혼희망타운 전용 금융상품(모기지)을 통해 연 1%대 고정금리로 최대 30년간 주택구입 자금을 지원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혼인기간이 7년 이내이거나 6세 이하의 자녀가 있는 ‘신혼부부’ 및 ‘예비신혼부부’, 6세 이하 자녀를 둔 ‘한부모가족’ 중 무주택세대구성원 요건과 소득·자산 기준을 충족한 경우 신청할 수 있고, 해당지역 거주기간 및 청약통장 납입횟수 등으로 구성된 배점표(우선·잔여공급 상이)를 통해 고득점 순으로 입주자를 선정한다.10년 공공임대는 임대 의무기간인 10년 동안 시세보다 저렴한 임대조건(보증금, 임대료)을 통해 안정적 주거와 함께 향후 주택구입을 위한 재산형성 기회를 제공한다. 임대 의무기간 경과 후 분양당시 임차인이 우선적으로 분양을 받을 수 있어, 초기 자금부담 없이 내 집 마련이 가능하다. 청약 자격은 일반공급 및 특별공급 모두 ‘공공분양주택’ 청약자격과 동일하며, 분양을 전제로 한 임대주택이므로 청약통장을 사용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LH 관계자는 “하반기 1반 가구 이상의 분양주택 공급과 함께 3기 신도시 등 사전청약, 2·4대책을 통한 도심 내 주택공급 등 정부 주거정책에 따라 무주택 실수요자들을 위한 주택을 지속적으로 공급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2021.06.15 I 김나리 기자
부산에서만 통하는 청약성공 공식은?
  • 부산에서만 통하는 청약성공 공식은?
  • [이데일리 강신우 기자] 산지와 급경사면이 많은 부산에서 평지에 들어서는 브랜드 대단지 아파트의 강세 양상이 청약시장에서 두드러지고 있다. 한화 포레나 부산덕천2차 투시도.(사진=한화건설)15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최근 6개월간 부산에서 공급된 민간분양 아파트 청약경쟁률을 살펴보면 평지·브랜드·대단지의 청약 쏠림 현상은 더욱 심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평지에 들어서는 아파트라도 상대적으로 브랜드 인지도가 낮은 경우 1순위 미달 주택형이 나타나는 반면 브랜드 인지도가 높거나 1000가구 넘는 대단지는 특정 주택형에 최고 2만 건 넘는 청약접수가 몰리는 등 크게 대조를 보이고 있다. 지난해 12월 공급된 ‘힐스테이트 남천역 더퍼스트’는 217가구로 구성되는 중소형 단지로 분류되지만 평지 및 브랜드 인지도에 조정대상지역 규제를 피하려는 수요가 몰리면서 특별공급을 제외한 109가구 모집에 5만7247건의 청약통장이 1순위에 몰렸다. 비슷한 시기에 분양된 ‘두산위브더제니스 센트럴 사하’는 1643가구로 이뤄지는 대단지 아파트 효과를 봤다는 분석이다. 조합원 등을 제외한 일반 분양물량 1301가구 모집에 1만3611건의 청약통장이 1순위에 접수됐다. 올해 들어서도 평지 아파트를 앞세워 공급된 ‘안락 스위첸’(220가구)과 역세권을 강조한 ‘연산포레 서희스타힐스’(105가구)가 각각 60대1,81대1의 경쟁률을 보이면 모든 주택형이 1순위에서 마감됐다. 분양 관계자는 “평지를 따라 지하철 노선이 형성된 부산 지형 특성상 평지에 들어서는 아파트는 대개 역세권이어서 수요자들 사이에서 인기가 높다”며 “평지(역세권)·브랜드·대단지 아파트는 부산 청약시장의 성공공식으로 통하고 있다”고 말했다.한화건설이 이달 말 분양 예정인 ‘한화 포레나 부산덕천 2차’도 평지·브랜드·대단지 아파트 조건을 갖췄다는 평가다. 평지이면서 지하철 3호선 숙등역 역세권으로 꼽히는 부산 북구 덕천동 일대를 재건축하는 ‘포레나 부산덕천 2차’ 아파트다. 지난해 나흘 만에 100% 계약 마감한 1차 단지(636가구) 바로 옆에 들어서며 지하 2층~지상 최고 26층 8개동, 전용면적 59~84㎡ 795가구로 구성된다. 이달 분양하는 2차 단지와 다시 이웃해 들어설 3차 단지까지 합치면 총 1860가구의 대단지를 이루게 된다. 한화건설 이재호 분양소장은 “지난해 3월 포레나 브랜드로 첫 분양된 부산덕천 1차는 계약 4일 만에 완판된 검증된 단지”라며 “1차 단지 1순위에 1만3611건의 청약통장이 접수된 점을 감안할 때 상당한 대기수요가 예상 된다”고 말했다.
2021.06.15 I 강신우 기자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I 청소년보호책임자 고규대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