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검색결과 10,000건 이상
- 지난해 신생기업 3년 연속 감소…부동산 침체에 역대 최대폭↓
- [세종=이데일리 김은비 기자] 지난해 고금리 영향으로 부동산 시장이 위축되면서 새로 문을 연 신생기업수가 1년 전보다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1년부터 3년 연속 감소한 것으로, 감소폭은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사진=통계청)27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기업생멸행정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신생기업수는 95만 6000개로 전년 대비 4.2% 줄었다. 이는 2011년 관련 통계가 작성된 이후 최대 감소폭이다. 특히 신생기업 수는 코로나19 여파로 감소했던 2021년부터 3년 연속 감소하고 있다. 이 역시 통계 작성 이래 처음이다.통계청 관계자는 “숙박·음식점업을 제외하고 대부분 산업에서 신생기업수가 줄었다”며 “특히 부동산 시장이 침체되면서 부동산업이 큰 폭으로 줄었는데, 임대사업자가 줄어든 영향으로 풀이된다”고 설명했다.산업별로 보면 숙박·음식점업이 대면활동 회복으로 8.7%(1만 3000개) 늘었다. 반면 부동산업은 17.1%(-3만 8000개) 급감하면서 신생기업 수 감소를 견인했다. 운수·창고업도 9.9%(-7000개)로 큰 폭으로 줄었다. 새로 생긴 기업의 35.1%는 1년안에 문을 닫는 것으로 조사됐다. 2022년 기준 기업의 1년 생존율은(64.9%)로 나타났다. 전기·가스·증기(90.3%)와 보건·사회복지(84.3%)의 생존율은 높았지만 금융·보험업(51.3%), 광업(49.7%)이 1년 안에 문을 닫는 비중이 많았다. 부동산업과 예술·스포츠·여가 분야의 1년 생존율은 전년보다 각각 4.9%포인트, 1.2%포인트 증가했다.신생기업의 5년 생존율은 34.7%에 불과했다. 신생기업 10곳 중 6개는 5년 안에 문을 닫는다는 의미다. 전기·가스·증기(77.4%), 보건·사회복지(59.5%)의 5년 생존율이 가장 높았다. 광업(21.2%), 금융·보험업(23.2%) 등에서 낮았다.지난해 매출액 또는 상용근로자가 있는 활동기업은 735만 9000개로 1년 전보다 2.5% 늘었다. 산업별로 보면 도·소매업(2.5%), 숙박·음식점업(2.9%), 부동산업(1.3%) 등에서 증가했다.활동기업 종사자는 2280만 3000명으로 전년 대비 8만 7000명(0.4%) 증가했다. 다만 증가폭은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최소를 기록했다. 종사자는 운수·창고업에서 5만 2000명, 숙박·음식점업이 4만 7000명이 늘어났지만, 도·소매업과 제조업에서는 각각 3만 90000명, 3만 8000명씩 줄었다.반면 신생기업 종사자 수는 전년보다 6만 9000명(5.0%) 줄어든 130만 6000명이었다. 숙박·음식점업에서 2만 4000명이 늘었지만, 부동산업(-4만 1000명), 제조업(-9000명) 등에서 종사자가 줄어든 영향이다.
- 가계대출 금리, 또 올랐다고?…“금리인하 체감효과 내년부터”
- [이데일리 정두리 기자] 지난달 가계대출 금리가 석 달 연속 상승세를 기록했다. 기준금리 인하에 따른 시장금리 하락으로 수신이자가 내린 반면, 대출금리는 가계부채 관리 차원에서 가산금리를 높인 영향이 이어졌다. 다만 은행권의 가산금리 인상 기조가 마무리 국면에 접어들면서 내년부터는 차주들이 대출 금리 인하 효과를 체감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사진=연합뉴스)27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11월 금융기관 가중평균금리’에 따르면 예금은행의 신규취급액 기준 대출금리는 4.76%로 전월 대비 0.05%포인트 상승했다. 3개월 연속 오름세다.가계대출 금리는 4.79%로 전월 대비 0.24%포인트 상승했다. 8월(4.08%) 이후 4개월 연속 올랐다. 가계대출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주택담보대출(주담대) 금리가 전월보다 0.25%포인트 오른 4.30%를 기록했다. 이 역시 넉 달째 상승을 지속했다.고정형 주담대 금리는 0.27%포인트 상승한 4.31%, 변동형 주담대 금리는 0.11%포인트 오른 4.25%를 기록했다. 전세자금대출 금리도 4.43%로 전월보다 0.14%포인트 상승해 4개월 연속 올랐다. 일반신용대출 금리는 0.31%포인트 상승한 6.17%를 기록해 한 달 만에 상승 전환했다.김민수 한은 경제통계국 금융통계팀장은 “은행권이 가계대출 포트폴리오 관리 측면으로 단행한 가산금리 인상이 7월부터 10월까지 이어졌고, 이에 대한 시차를 두고 11월까지는 대출 금리가 오름세를 보였다”면서 “12월 들어서는 가산금리 인상 영향은 미미할 것으로 판단된다”고 설명했다. 기업대출 금리는 4.76%로 전월보다 0.05%포인트 올랐다. 한 달 만의 상승 전환이다. 대기업대출금리가 4.76%로, 0.05%포인트 하락한 반면, 중소기업 대출 금리는 4.77%로, 013%포인트 상승했다. 가계대출 고정금리 비중은 전월보다 9.7%포인트 하락한 47.1%로 집계됐다. 넉 달째 하락세다. 고정형 주담대 비중은 10월 89.3.4%에서 지난달 81.4%로 7.9%포인트 줄었다. 이 역시 4개월 연속 하락이다.예금은행의 신규취급액 기준 저축성 수신금리는 전월대비 0.02%포인트 하락한 3.35%로 집계됐다. 두 달 연속 하락세다. 순수저축성 예금은 정기예금(-0.01%포인트)을 중심으로 0.01%포인트 낮아진 3.36%를, 시장형 금융상품은 금융채(-0.01%포인트)와 CD(-0.10%포인트) 등을 중심으로 0.03%포인트 하락한 3.31%를 각각 기록했다.자료=한국은행은행 신규 취급액 기준 예대금리차는 1.41%포인트로 전월보다 0.11%포인트 커졌다. 이는 9월(1.22%포인트) 이후 3개월 연속 확대한 수치다. 잔액 기준으로는 2.24%포인트로 0.02%포인트 상승했다.김 팀장은 “은행권의 가산금리 인상 기조도 끝나가고, 연초가 되면 가계대출 총량 관리도 리셋이 되기 때문에 (차주 입장에서는) 좀 더 좋은 환경이 될 것”이라면서 “기준금리 인하 효과는 단기금리와 연동된 변동금리 대출에서 더 크게 나타날 것”이라고 했다. 그는 또한 “고정형 주담대 같은 경우도 지표 금리인 은행채 5년물 금리가 12월 들어서 지금까지 비교적 큰 폭으로 하락 하고 있는 모습”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비은행의 경우 수신금리는 모두 하락했다. 상호저축은행이 0.00%포인트, 3.61%로 0.12%포인트 줄었고, 신협(-0.04%포인트, 3.44%), 상호금융(-0.08%포인트, 3.30%), 새마을금고(-0.03%포인트, 3.46%) 등이 하락했다. 대출금리의 경우 저축은행(0.18%포인트, 11.50%), 신협(0.11%포인트, 5.25%)은 올랐고, 새마을금고(-0.13%포인트, 4.84%)는 올랐고, 상호금융(-0.30%포인트, 4.84%)은 내렸다.
- '0.74명' 9년 만에 출산율 반등…내년 中企 인센티브 더 늘린다
- [이데일리 이지은 기자] 정부가 올해 9년 만에 반등한 출산율을 저출생 추세 반전의 계기로 삼아 내년 추가 대책을 추진하기로 했다. 예비인증을 도입해 가족친화인증제도를 개편하고, 일·생활 균형을 선도하는 중소기업에게는 세제 인센티브를 부여한다는 방침이다. 고용보험 밖에 머무르는 근로자들을 위한 육아휴직 사각지대도 개선한다. 주형환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부위원장이 27일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7차 인구비상대책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저고위 제공)◇올해 출산율 0.74명 예상…“더 큰 변화의 희망 신호”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는 27일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주형환 부위원장 주재로 제7차 인구비상대책회의를 열어 ‘저출생 추세 반전을 위한 대책’ 이행상황을 점검하고 추가 보완과제를 논의했다. 앞서 정부는 지난 6월 △일·가정 양립 △양육부담 완화 △주거부담 완화 등 3대 분야 중심의 151개 과제를 담은 종합대책을 발표한 바 있다. 저고위에 따르면 12월 말 기준 총 147개 과제에 대한 조치를 마쳤고, 인구비상대책회의를 통해 발표됐던 추가 보완과제 23건에 대해서도 대책이 마련됐다. 남은 4개 과제에 대해서도 내년 중 주택도시기금 운용계획 변경, 개정 기업공시서식으로 작성된 사업 보고서 분석 등을 통해 대응하겠다는 계획이다.지난해 0.72명까지 떨어지며 국가 소멸의 그림자를 드리웠던 합계출산율(여성 한 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신생아 수)이 올해는 9년 만에 반등할 거라는 관측에 힘이 실리는 상황이다. 통계청이 지난 26일 발표한 ‘10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올해 1~10월 출생아 수는 19만 9999명으로 1년 전 같은 기간 19만 6193명을 웃돌았다.주 부위원장은 “올해를 합계출산율은 당초 예상했던 0.68명을 훨씬 상회하는 0.74명 수준으로 예상되고, 출생아 수는 2015년 이후 처음으로 전년 대비 증가해 23만명대 후반을 기록할 것”이라며 “최근 저출생 추세 반전을 위한 계기가 형성되고 있고, 이는 향후 더 큰 변화를 예고하는 희망의 신호”라고 강조했다. [이데일리 김일환 기자]◇가족친화인증제 개편…가족 산후도우미에도 지원금일·가정 양립 문화를 확산 차원에서 운영 중인 가족친화인증제는 내년부터 ‘예비인증-인증-선도기업’으로 이어지는 3단계 체계로 손질한다. 중소기업에 한해 예비인증을 도입하는 게 핵심으로, 기존 심사 기준 12개 중 육아친화 핵심지표 4개만 충족해도 적용할 수 있도록 간소화하기로 했다. 예비인증을 받으면 인증기업 대상 일부 인센티브가 제공되며, 3년 내 가족친화인증을 받을 수 있도록 컨설팅이 지원된다. 또 12년 이상 가족친화인증제도를 유지한 기업 중 모범사례를 ‘선도기업’으로 선정하고 추가 혜택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일·생활 균형을 선도하는 우수 중소기업에 대해서는 세제 지원도 추진한다. 그간 세무조사 유예, 금융·조달 우대 등을 제공해왔으나 직접적인 비용 부담을 덜어주는 지원은 부족하다는 현장의 의견을 반영한 조치다. 다만 그 대상과 수준은 내년도 세법개정안 마련 과정에서 구체화할 예정이다.또 건강관리사 자격을 보유한 산후도우미가 민법상 가족관계여도 정부 지원대상에 포함한다. 예컨대 건강관리사 자격을 보유한 친정어머니나 생계를 함께 하고 있는 시어머니가 산후조리를 돕는 경우, 현재는 부정수급 가능성 때문에 지원 대상에서 제외돼 있으나 지난 18일 관련 지침을 개정하면서 새해부터는 지원금을 받을 수 있게 된다.고광희 저고위 저출산정책국장은 “지난 6월 발표한 대책 중 예산 수반 과제가 상당수였는데, 다행히 국회 심의과정에서 반영됐고 이제 차질없이 집행하는 데 역점을 둘 생각”이라며 “법령 과제들도 올해 많이 통과됐기에 대책 집행과정을 점검하면서 일부 남은 것들은 국회의 상황을 살펴볼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저출생 대책 과제 조치 현황. (자료=저고위 제공)◇육휴 사각지대 개선…“보편적 일·가정양립 제도 구축”아울러 이날 회의에서는 국책연구원들이 연구용역 중인 ‘육아휴직제도 사각지대 개선방안’도 논의 테이블에 올랐다. 연구진들은 고용보험이 적용되지 않아 육아휴직 사용 자체가 불가능한 근로자들을 조명하고, 육아시간이나 소득 감소를 보전해주는 역할을 하지 못하는 부모급여의 한계를 지적했다. 또 다양한 고용형태를 포괄하는 개선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역할이 강화돼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됐다.주 위원장은 “올해는 육아휴직 틀 내에서 급여 상한 인상 등을 통해 제도의 활용성을 높이고 사용에 어려움을 겪는 사각지대를 해소에 주력해왔다”며 “앞으로는 일하는 모든 부모를 위한 보편적 일·가정양립 제도 구축에 집중할 예정”이라고 말했다.한편 저출산·고령사회정책 시행계획 평가 결과 중앙행정기관의 목표달성도 평가대상 과제 260개 중 90%(234개)가 목표를 90% 이상 달성했고 전체 사업예산의 95%를 집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자치단체의 경우 자체사업 6073개 중 목표를 90% 이상 달성한 것은 78.5%(4767개)로, 14개 시·도가 90% 이상 예산을 집행했다. 우수한 과제로는 △육아휴직 사용 확산을 위한 중소기업 지원 확대 △남성의 돌봄권 보장 △돌봄서비스 질 제고 등이 꼽혔다. 반면 △건강보험재정의 안정적 운영을 위한 공·사보험 연계의 법적 근거 마련 △다자녀가구 매입임대 공급 확대 △다양한 근로형태 확산 등은 개선이 필요한 과제로 선정됐다.
- 코스닥, 670선 깨져…탄핵 정국에 환율 급등 영향
- [이데일리 이용성 기자] 코스닥 지수가 1% 넘게 떨어지고 있다. 민주당이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에 대한 탄핵 소추안을 발의하는 등 정치적 불확실성에 원·달러 환율, 1480원 넘어서면 다. 27일 엠피닥터에 따르면 오전 11시 10분 현재 코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9.57포인트(1.42%) 내린 666.07에 거래 중이다. 670선에서 보합권 움직임을 보이던 코스닥은 환율이 급등하면서 급락했다. 이날 원·달러 환율은 15원 넘게 급등하며 1480원을 넘어섰다. 수급별로는 개인이 홀로 1465억원을 순매수하고 있다.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383억원, 994억원 순매도 중이다. 프로그램은 차익과 비차익을 합쳐 664억원 매도우위다.업종별로는 하락 우위다. 오락·문화가 4% 넘게 떨어지고 있고, 음식료·담배, 금속, 화학, 금융 등은 2% 넘게 하락 중이다. 제약과 유통, 제조 등도 1% 미만 수준으로 약보합세를 나타내는 등 업종 대부분이 하락하고 있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도 하락 우위다. 알테오젠(196170)은 0.5%대 상승 중이고, 4% 강세를 보였던 신성델타테크(065350)는 상승 폭을 모두 반납하고 0.41% 오름세다. 반면, 에코프로(086520)는 2.56% 떨어지고 있고, 리가켐바이오(141080)는 4.06% 하락 중이다. 엔켐(348370), 셀트리오제약도 3%대 하락하고 있다. 한편 지난 26일(현지시간) 뉴욕증시는 보합권에서 장을 마감했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우량주 그룹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 대비 28.77포인트(0.07%) 상승한 4만 3325.80에 거래를 마쳤다. 대형주 벤치마크 S&P500지수는 전장보다 2.45포인트(0.04%) 내린 6037.59,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종합지수는 10.77포인트(0.05%) 밀린 2만 20.36을 기록했다.
- 농협금융, 오늘 임추위 열어…차기 회장 후보 누가 될까
- [이데일리 김형일 기자] NH농협금융지주 임원추천위원회(임추위)가 27일 회의를 여는 가운데 차기 회장 최종 후보에 관심이 쏠린다. NH농협금융지주 본사.(사진=NH농협금융지주)금융권에 따르면 농협금융 임추위는 이날 오전 회의를 열고 차기 회장 최종 후보를 논의할 예정이다. 임추위는 지난 20일 회의를 진행해 NH농협은행을 비롯한 계열사 최고경영자(CEO) 최종후보자를 추천했지만, 차기 회장 최종 후보 추천은 한 주 연기됐다.차기 회장 최종 후보로는 김용범 전 기획재정부 1차관과 이찬우 전 금융감독원 수석부원장 등 외부 인사 2명과 이대훈 전 농협은행장과 박규희 전 농협중앙회 조합감사위원장 등 내부 인사 2명이 거론된다.농협금융은 지난 2012년 출범 당시 은행장을 겸임한 초대 신충식 회장 이후 경제관료 출신이 회장 자리에 앉았다. 2대 신동규, 3대 임종룡, 4대 김용환, 5대 김광수, 현 7대 이석준 회장은 모두 관료 출신으로 6대 손병환 회장만 내부 인사였다.다만 현 국정 상황을 고려했을 때 내부 인사가 발탁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농협금융 지분 100%를 보유한 농협중앙회는 그동안 정부와의 관계를 고려해 지주 회장을 결정했다. 탄핵 정국으로 가능성이 어느 때보다 큰 상황이다.후보들의 면면을 살펴보면 김용범 전 차관은 1962년 전남 무안 출생으로 광주 대동고와 서울대 경제학과를 졸업했다. 이후 재정경제부 금융정책국 은행제도과장, 지식경제부 우정사업본부 보험사업단장, 금융위원회 부위원장과 증권선물위원회 위원장 등을 지냈다. 아울러 김 차관은 지난 2007년 노무현 정부 당시 대통령비서실 경제정책비서관을 역임했으며, 기재부 1차관을 끝으로 공직에서 물러났다. 현재는 블록체인 투자사 해시드의 계열사인 해시드오픈리서치에서 대표이사로 활동 중이다.이찬우 전 부원장은 1966년 부산 출신으로 부산대 사대부고와 서울대 정치학과를 졸업했다. 이후 재정경제부 복지경제과장, 기재부 경제정책국장과 차관보, 경남도청 경제혁신추진위원회 위원장, 금감원 수석부원장 등을 지냈다. 이대훈 전 은행장은 1960년 경기 포천 출생으로 동남종합고와 농협대를 졸업했다. 지난 1985년 농협중앙회에 입사한 뒤 농협은행에서 서수원지점장, 프로젝트금융부장, 서울영업본부장 등을 거쳤다. 특히 이 전 행장은 농협중앙회 상호금융 대표이사를 지냈으며, 지난 2017년 4대 농협은행장에 올라 처음으로 3연임에 성공했다. 그러나 농협중앙회장이 김병원 전 회장에서 이성희 전 회장으로 바뀌면서 자리에서 물러났다.
- 코스피, 외국인·기관 동반 매도 속 하락 출발
- [이데일리 원다연 기자] 코스피 지수가 27일 하락 출발했다. 엠피닥터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 6분 현재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0.60% 내린 2415.10에 거래되고 있다. 코스피 시장에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128억원, 94억원 규모를 순매도하고 있고, 개인이 212억원 규모를 순매수하고 있다. 간밤 뉴욕증시는 보합권 혼조세로 장을 마감했다. 26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우량주 그룹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 대비 28.77포인트(0.07%) 상승한 4만 3325.80에 거래를 마쳤다. 대형주 벤치마크 S&P500지수는 전장보다 2.45포인트(0.04%) 내린 6037.59,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종합지수는 10.77포인트(0.05%) 밀린 2만 20.36을 기록했다. 김지원 KB증권 연구원은 “국내 증시는 연일 연고점을 경신하고 있는 원·달러 환율 부담과 금일 배당락 이슈로 차익실현 압박이 더해질 것”이라며 “정치적 리스크가 재부각된 점도 부담 요인으로, 당분간 비우호적 환경 지속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보수적 관점을 유지해야 한다”고 밝혔다. 업종별로 보면 비금속(-2.98%), 증권(-2.67%), 보험(-1.71%), 부동산(-1.13%) 등의 하락폭이 두드러지고 있다. 반면 정보기술(-0.45%), 전기전자(0.34%) 등은 소폭 오르고 있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들은 대부분 내리고 있다. SK하이닉스(000660)가 0.71% 오르는 바면 삼성전자(005930)는 0.19% 내리고 있다. 현대차(-0.46%), 기아(000270)(-1.94%), 셀트리온(068270)(-0.11%), KB금융(105560)(-0.70%), HD현대중공업(329180)(-0.67%), 고려아연(010130)(-2.79%) 등이 줄줄이 내리고 있다. NAVER(035420)와 카카오(035720)는 각각 0.05%, 0.65% 오르고 있다. 26일 오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에서 딜러들이 업무를 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 코스닥, 美 증시 ‘숨 고르기’·고환율 부담에 약보합권 출발
- [이데일리 이용성 기자] 코스닥이 하락 출발했다. 전날 미국 증시에서 대형 기술주가 조정을 받은 가운데 고환율 부담까지 겹치면서 하방 압력을 받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27일 엠피닥터에 따르면 오전 9시 3분 현재 코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40포인트(0.21%) 내린 674.24에 거래 중이다. 670선에서 보합권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지난 26일(현지시간) 뉴욕증시는 보합권에서 장을 마감했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우량주 그룹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 대비 28.77포인트(0.07%) 상승한 4만 3325.80에 거래를 마쳤다. 대형주 벤치마크 S&P500지수는 전장보다 2.45포인트(0.04%) 내린 6037.59,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종합지수는 10.77포인트(0.05%) 밀린 2만 20.36을 기록했다. 이성훈 키움증권 연구원은 “국내 증시는 전일 미 증시에서 대형 기술주가 조정을 받은 가운데 배당락 등 연말 수급적 요인도 가미됨에 따라 하방 압력이 불가피할 것으로 판단한다”고 전했다. 수급별로는 개인이 홀로 292억원을 순매수하고 있다.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129억원, 142억원 순매도 중이다. 프로그램은 차익과 비차익을 합쳐 145억원 매도우위다.업종별로는 하락 우위다. 오락·문화가 3% 넘게 떨어지고 있고, 음식료·담배, 건설, IT 서비스 등도 1%대 하락 중이다. 금속과 통신, 운송·창고, 금융 등도 1% 미만 수준으로 약세다. 반면, 일반서비스와 전기·전자는 1% 미만 수준으로 강보합세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도 하락 우위다. 알테오젠(196170)은 1%대 상승 중이고, 신성델타테크(065350)는 4.44% 강세다. 반면, 에코프로비엠(247540)은 1%대 떨어지고 있고, 에코프로(086520)와 리가켐바이오(141080), 삼천당제약(000250) 등은 1% 미만 수준으로 약보합세다.
- '로어시비빈트 임상 3상으로 21조 가치 입증'...삼일제약 날개 다나
- [이데일리 김지완 기자] 삼일제약(000520)이 기술도입한 무릎 골관절염 치료제 로어시비빈트가 임상 3상에서 21조원 가치를 완벽하게 입증했다.로어시비빈트는 최근 학회에서 무릎 관절 공간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관절 운동 능력을 회복시키고 통증을 크게 경감시키는 것도 나타났다. 즉, 로어시비빈트가 주요평가 지표는 물론, 2·3차 지표에서 모두 통계적 유의성을 나타냈다. 삼일제약은 이 치료제를 지난 2021년 3월 미국 바이오스플라이스로부터 1000만달러(140억원)에 국내 독점판권을 확보했다.바이오플라이스 홈페이지. (갈무리=김지완 기자)바이오스플라이스 테라퓨틱스(Biosplice Therapeutics)는 지난 10월 24일에서 29일 사이 미국 시카고에서 개최된 ‘류미티스학회 연례 학술대회’(ACR Convergence 2024)에서 로어시비빈트의 임상 3상 결과를 발표했다. 해당 임상은 미국에서 무릎 골관절염 환자 276명을 대상으로 36개월간 투여군과 위약군 간 차이를 살폈다. 투약은 3년간 총 3차례 이뤄졌다. 구체적으로 56주(1년)간 임상에 참여한 피험자를 대상으로 0일(1차 투여) → 24주(2차 투여) → 48주(3차 투여) → 74주 관찰 → 100주 관찰 순이다. 즉, 56주(1차) + 100주(연장) 등 총 3년이다. 특이한 점은 임상 3년 차엔 위약군과 투약군 등 모든 피험자에게 로어시비빈트를 투약했다.◇무릎 관절 공간 ‘확대’가장 눈에 띄는 건 투약군에서 무릎 관절 공간이 넓어졌다는 부분이다. 애초 알려졌던 관절 간격 유지를 넘어서는 효능이다. 100주차에서 ‘로어시비빈트’ 투여군은 위약군 대비 내측 관절 간격은 평균 0.26㎜ 증가했다. 무릎 관절 공간은 엑스레이(X-ray)를 이용해 확인했다.삼일제약 관계자는 “로어시비빈트 투약군은 100주차에 관절 간격이 평균 0.26㎜ 증가했다”며 “로어시비빈트가 관절을 보호하고 손상을 줄이는 데 효과가 있단 의미”라고 분석했다. 이어 “특히, 이번 임상자 가운데 무릎 관절 공간이1.5㎜에 불과한 중증 환자가 포함됐다는 점에서 상당한 효능”이라고 덧붙였다.관절 간격 변화(Medical JSW Change). 로어시비빈트 투약군(네모)은 관절 간격이 벌어졌음이 확인된다. 반면 위약군(동그라미)은 48주까지 관절 간격이 줄어들다 로어시비빈트 투약 후 관절 간격이 확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만약 3년차에도 위약을 줬다면 검정색 점선처럼 빠르게 관절 간격이 축소됐을 것으로 관측된다. (제공=바이오스플라이스)건강한 사람의 내측 관절 간격은 3~5㎜ 내외다. 골관절염 초기엔 2.5~3㎜를 나타내고 중등증 1.5~2㎜, 중증 1.5㎜ 이하 순이다. 연골이 충분히 두껍고 관절을 보호할 경우 관절 간격이 넓게 유지된다. 반면, 연골이 닳기 시작하면 관절 간격이 점차 좁아진다. 이후 무릎 관절끼리 맞닿으며 통증이 심화하는 순으로 퇴행성 관절염이 진행된다.◇통증 급감하고 무릎 관절 기능 개선무릎 관절 간격이 벌어지면서 2차 지표인 통증도 급감했다.로어시비빈트 투약군은 12개월이 지나면서 WOMAC 통증 점수가 14.7% 감소했다. 반면 위약군은 WOMAC 통증 점수가 3.9% 증가했다. 투약군은 추적관찰 기간 내내 통증 감소 상태를 유지했다.WOMAC는 골관절염 환자 상태를 평가하는 지표다. WOMAC 통증 점수는 5개 항목으로 구성돼 있고 0-100점으로 점수화돼 있다. 점수가 높을수록 통증이 심하다.WOMAC 통증 점수 변화. 로어시비빈트(투약군)은 투약 6개월, 1년 시점에서 확연하게 통증 감소가 확인된다. 반면 위약군은 단기 플라시보 효과로 초기엔 통증 경감 효과를 보이지만 1년 뒤 통증이 증가하는 것이 확인된다.(제공=비이오스플라이스)무릎 관절 간격이 넓어지고, 통증이 줄어들자 무릎 기능도 회복됐다.로어시비빈트 투약군은 12개월 후 WOMAC 기능 점수가 14.9% 감소했다. 반면, 위약군은 WOMAC 기능 점수가 1.3% 증가했다.WOMAC 기능 점수는 17개 항목으로 0-100점으로 나타낸다. 이 역시 점수가 높을수록 기능 장해가 심한 것으로 해석된다.삼일제약 관계자는 “WOMAC 통증과 기능 점수는 치료제가 환자 통증 완화와 신체 활동성 향상에 얼마나 기여했는지를 나타낸다”며 “이번 장기 임상에서 로어시비빈트는 통증과 기능 모두에서 장기적이고 의미있는 개선 효과를 보였다”고 진단했다. 이어 “이는 무릎 골관절염에서 로어시비빈트가 환자의 삶의 질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는 의미”라고 강조했다.효과도 놀라운데 부작용은 거의 없었다. 로어시비빈트 임상 중 경미한 부작용만 일부 있었을 뿐, 중대 부작용은 없었다. 특히, 치료 중단이나 연구탈락 사례도 없었다.WOMAC 기능 점수 변화. 로어시비빈트 투약군에서 확연한 무릎 기능 개선이 확인된다. 반면 위약군은 무릎 기능이 악화됐다. (제공=바이오스플라이스)◇근본 치료제 가능성 입증...韓책정 가격은 경쟁제품 30%로어시비빈트는 이번 임상 결과를 통해 근본 치료제 가능성을 확실하게 입증했다는 평가다.삼일제약 관계자는 “로어시비빈트는 크게 △염증억제 △연골보호 두 가지 작용을 한다”며 “우선 연골 염증 발생에 원인이 되는 단백질 신호를 차단한다. 다음으로 연골 손상과 관련한 효소 발생을 억제한다”고 설명했다.로어시비빈트는 CLK/DYRK 키나제(인산화효소) 억제제다. CLK와 DYRK 효소들은 염증 반응이나 연골손상과 같은 세포의 비정상적인 활동에 관여한다. 로어시비빈트가 이들 효소를 억제해 연골 염증 반응을 줄이고 연골 손상을 최소화한다.여기에 더해 윈트(Wnt) 신호를 조절해 관절염 진행을 늦추고 연골을 보호한다. 연골 세포에서 윈트 신호가 과활성하면 염증이 유발되고 연골이 파괴된다. 즉, 로어시비빈트가 골관절염 진행을 막아 관절 구조가 보존된다.그는 “로어시비빈트는 애초부터 골관절염 근본 치료제를 목표로 했다”며 “로어시비빈트는 골관절염 치료에 있어 증상만 완화하는 것이 아니라 병의 진행 자체를 막고 치료하는 첫 번째 약물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미국에선 50조 시장 선점 예상하고 기업가치 21조 평가이런 기대감은 단순히 국내 금융투자업계만의 시각이 아니다. 미국 자본시장에선 바이오스플라이스의 기업가치를 21조원으로 평가하고 있다.이 같은 기업가치 평가 배경엔 아직 골관절염 근본 치료제가 없다는 점이 고려됐다. 여기에 로어시비빈트가 △통증완화 △기능회복 △관절간격 확대 등 3개 부문에서 효능을 인정받으면 50조원 규모의 글로벌 골관절염 치료 시장을 선점할 수 있을 것이란 전망이 가치 산출의 근거가 됐다. SK증권이 올해 1월 10일 발간한 삼일제약 보고서 중 일부. 기업가치는 환율변동에 따라 올라갔다.중견 생명보험사 자산운용본부 투자팀의 수석 운용매니저는 “바이오스플라이스’ 파이프라인 중 신약허가(NDA)를 앞둔 것은 ‘로어시비빈트’ 하나뿐”이라며 “나머지 파이프라인은 초기 단계(early stage)다. 사실상 21조원 기업가치 대부분이 ‘로어시비빈트’에 있다고 볼 수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이어 “로어시비빈트는 임직원 숫자가 250여 명으로 바이오텍 수준을 넘어선 상황”이라며 “바이오스플라이스가 FDA 품목허가를 이끌어낼 만한 역량을 갖췄고, 시장에서도 그렇게 평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이런 상황에서 삼일제약이 로어시비빈트의 국내 출시 가격을 300만원으로 잠정 책정한 만큼 국내 골관절염 치료제 시장 판도를 바꿀 것이란 전망마저 나온다. 줄기세포 치료제 가격(1000만원)의 30% 수준이다. 로어시비빈트는 골관절염 2~3기 환자를 대상으로 한 치료제다. 2022년 국내 기준으로 418만 명 중 271만 명(65%)이 2~3등급 환자다.삼일제약 관계자는 “로어시비빈트가 국내 시장점유율 10%만 차지한다고 해도 27만명 X 300만원 = 8100억원”이라며 “영업이익률은 20%만 적용해도 1620억원이 나온다”고 추산했다. 이어 “점유율을 절반인 5%라고 가정해도 매출 4000억원에 영업이익 800억원이 나온다”고 덧붙였다.한편 바이오스플라이스는 내년 초 FDA에 로어시비빈트를 품목허가 신청을 할 예정이다. 삼일제약은 바이오스플라이스와 1년가량 시차를 두고 로어시비빈트에 대해 식품의약품안전처에 품목허가를 신청할 계획이다. 국내 상업화 일정은 2025년 하반기 품목허가 신청, 2026년 상반기 국내 판매가 예상된다,
- 두산테스나, 4Q 실적 부진 전망…목표가 5.5만→3만 -DB
- [이데일리 신하연 기자] DB금융투자가 두산테스나(131970)에 대해 4분기 실적이 시장 예상치를 크게 하회할 것으로 전망하고 목표주가를 기존 5만 5000원에서 3만원으로 45.5% 하향 조정했다. 전거래일 종가는 2만 5150원으로 목표주가까지 상승 여력은 19.3%다.서승연 DB금융투자 연구원은 27일 “두산테스나의 4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전년 동기 대비 1%, 48% 하락한 848억원, 70억원으로 전망된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는 컨센서스를 각각 11%, 51% 하회하는 수준이다.서 연구원은 “견조한 차량용 반도체 웨이퍼 테스트 가동률에도 불구하고 모바일 시장 약세에 따른 CIS, AP 가동률 하락으로 전분기, 전년 대비 실적 감소가 예상된다”며 “특히 CIS 웨이퍼 테스트 가동률은 고객사 재고 조정까지 더해지며 큰 폭으로 하락할 것”이라고 설명했다.또 “메모리 컨트롤러의 경우 전방 시장이 낸드(NAND) 업황 부진으로 고객사 재고 조정이 예상된다”고 덧붙였다.이와 함께 2025년 매출과 영업이익도 종전 4914억원, 1086억원에서 3827억원, 532억원으로 각각 22%, 51% 하향 조정했다.이에 대해 서 연구원은 “2025년 상반기 계절적 비성수기와 주고객사의 지속된 CIS 재고 조정이 예상된다”며 “하반기 CIS 재고 조정 마무리 후 가동률 상승, 신규 AP 테스트 물량 확보될 경우 상저하고 실적 흐름이 전망된다”고 짚었다.그러면서 “향후 탄력적인 주가 상승 요인은 모바일 수요 회복과 주고객사향 AP 테스트 물량 공급, 신규 최종 고객사향 CIS 테스트 진입”이라고 강조했다.[DB금융투자 제공]
- 힐튼호텔 개발사업 '박차'…내년 착공·본PF 전환 '목표'
- [이데일리 마켓in 김성수 기자] ‘밀레니엄 힐튼 서울’(힐튼호텔) 개발사업에 속도가 날 것으로 보인다. 최근 중구청으로부터 사업시행계획인가를 받아 정비사업의 ‘7부 능선’을 넘어섰기 때문이다. 내년 중 1조4400억원 규모 브릿지론을 본 프로젝트파이낸싱(PF)으로 전환하는 것이 목표다. 내년 1분기 관리처분계획인가를 완료하면 내년 상반기 착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사업시행인가 완료…내년 1분기 관리처분인가 목표26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밀레니엄 힐튼 서울’(힐튼호텔) 개발사업의 내년 상반기 착공이 가시화됐다. 내년 중 본PF 전환 및 내년 6월 착공이 목표다. (자료=토지이음, 국토교통부, 서울시, 중구청, 업계 등)사업시행자는 와이디427피에프브이(PFV)로, 이지스자산운용(이지스일반사모부동산투자신탁421호의 신탁업자 국민은행)이 최대주주를 맡고 있다. 현대건설이 시공사로 참여하고 있다. 이 사업지는 서울 중구 양동 도시정비형재개발구역 제4-2·7지구에 해당한다. 중구청에 따르면 지난 24일 양동구역 제4-2·7지구 도시정비형 재개발사업 사업시행계획인가가 고시됐다. 정비사업 시행기간은 사업시행계획인가일(올해 12월 24일)로부터 75개월(6년 3개월)이다. 사업시행계획인가 고시를 보면 서울시 중구 남대문로 5가 395번지 일대에 있는 힐튼호텔이 철거되고 건물 2동이 들어선다. 한 건물은 지하 10층~지상 34·39층, 높이 141.8m, 연면적 33만8982.69㎡ 규모 업무시설이며, 다른 건물은 지하 4층~지상 8층, 높이 35.27m, 연면적 1만172.12㎡ 공공청사다. 이 공공청사는 와이디427PFV 부담으로 설치된 후 관리청인 서울시에 무상 귀속된다.와이디427PFV는 현대건설과 공사도급계약을 체결할 예정이다. 양동구역 제4-2·7지구 도시정비형 재개발사업 사업시행계획인가 고시 (자료=중구청)또한 힐튼호텔 개발사업 외에도 ‘양동 도시정비형 재개발구역 8-1·6지구 재개발사업’에 해당하는 메트로타워, 서울로타워 연계 개발도 진행된다. 두 프로젝트를 통합한 사업명은 그리스어로 ‘완결성’을 상징하는 ‘이오타’로 정해졌다.와이디427PFV 주주들 지분율을 보면 작년 말 기준 최대주주는 국민은행이다. 국민은행(이지스일반사모부동산투자신탁421호의 신탁업자)의 지분율은 보통주 61.95%, 제1종 종류주 82.25%다.종류주식은 보통주와 달리 이익배당, 잔여재산 분배, 의결권 행사, 상환 및 전환에 대해 특수한 권리를 가진 주식이다. 시공사 현대건설은 보통주 30.0%만 있고 제1종 종류주는 없다.다른 금융회사 지분율은 △신한은행 보통주 3.50%, 제1종 종류주 8.18% △신한투자증권 보통주 2.10%, 제1종 종류주 4.91% △신한캐피탈 보통주 1.40%, 제1종 종류주 3.27% △이지스자산운용 보통주 1.05%, 제1종 종류주 1.39%다.힐튼호텔 개발사업은 사업시행계획인가가 마무리된 만큼 관리처분계획 인가를 받으면 철거 및 착공할 수 있게 된다. 와이디427PFV가 관리처분계획인가를 3개월 안에 받으면 내년 상반기 착공이 가능해진다.이 사업 관련 브릿지론 1조4400억원은 내년 1월 24일 만기다. 브릿지론은 리파이낸싱(차환)이 이뤄질 경우 만기가 1년 이상 늦춰질 예정이다. 만약 1년 연장되면 오는 2026년 1월 24일 만기가 돌아오는 셈이다. 와이디427PFV는 내년 안에 브릿지론을 본PF로 전환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다만 기존 건물을 철거하는 시점은 다소 유동적일 수 있다. 힐튼호텔 건물 2층에 있는 양복점을 명도하는 데 시간이 걸려서 협의에 따라 철거 시점이 달라질 수 있어서다. 양측이 원하는 금액에 차이가 커서 조정이 안 됐고 와이디427PFV는 명도를 위한 소송을 준비하고 있다. ‘이오타 서울’ 조감도 (자료=이지스자산운용)◇ 브릿지론 1.4조, 내년 1월 만기…차환시 만기 1년 연장앞서 와이디427PFV는 지난 2022년 2월 체결한 대출약정서에 따라 다수 대주들로부터 총 1조4400억원 한도 대출을 받았다. 트랜치별 대출 약정금은 △트랜치A 8400억원 △트랜치B 2500억원 △트랜치C 1500억원 △트랜치D 2000억원.주요 담보권 행사 및 상환에 있어 트랜치A 대출에서 트랜치D 대출 순으로 우선순위가 있다. 트랜치D의 대주는 특수목적회사(SPC) 프라임플로우다.프라임플로우는 와이디427PFV에 실행하는 원금 2000억원 대출을 기초로 1000억원 자산유동화 기업어음(ABCP)을 발행했고, 1000억원 자산유동화 담보부대출(ABL)을 조달했다.프라임플로우는 추후 와이디427PFV로부터 상환받는 대출원리금 등을 재원으로 ABCP 및 ABL을 상환할 예정이다. ABCP, ABL은 모두 내년 1월 24일 만기다.프라임플로우가 조달한 1000억원은 SPC 프라임쉐어로부터 실행받은 1000억원 대출로 마련했다. 프라임쉐어가 프라임플로우에 실행한 대출의 만기일도 내년 1월 24일로 동일하다.이 대출채권을 기초자산 삼아서 프라임쉐어가 발행한 자산유동화 전자단기사채(ABSTB) 제2-3회차도 만기가 내년 1월 24일로 같다. 이 유동화거래의 주관회사 및 자산관리자는 LS증권(구 이베스트투자증권)이며, 업무수탁자는 IM증권이다.프라임플로우, 프라임쉐어가 보유한 대출채권의 상환 가능성은 와이디427PFV의 신용도 및 사업에서 발생하는 현금흐름 등에 따라 달라진다. 다만 여기에 불확실성이 있는 만큼 시공사 현대건설이 연대보증을 서서 대출채권의 신용도를 높이고 있다.현대건설은 대출약정 및 연대보증계약에 따라 트랜치D 대출약정금의 100%를 한도로 와이디427PFV가 프라임플로우에 부담하는 대출원리금 등 일체의 채무에 대해 연대보증을 약정했다.이밖에 SPC 와이에프아이남산은 트랜치C 대출의 대주로 와이디427PFV에 원금 200억원을 대출해줬다. 이 대출의 만기도 내년 1월 24일이다. 와이에프아이남산은 이 대출채권을 기초로 유동화증권(ABSTB)을 차환 발행했으며, 유동화증권 상환재원이 부족해질 위험을 통제하기 위해 유안타증권과 대출채권 매입확약서를 체결했다. 유안타증권은 와이에프아이남산 자산관리계좌 잔액이 유동화증권 원리금을 지급하기 부족한 경우 △와이에프아이남산으로부터 대출채권을 매입하거나 △와이에프아이남산이 발행하는 사모사채를 200억원 한도에서 인수할 의무를 부담하고 있다.부동산업계 관계자는 “도쿄 아자부다이힐스, 뉴욕 허드슨야드처럼 녹지공간과 복합시설을 결합한 초대형 트로피 에셋(상징성 있는 자산) 개발이 글로벌 추세”라며 “힐튼 개발사업은 국가 중앙역과 남산이라는 상징성 및 서울의 글로벌 도시 경쟁력을 높이는 트로피 에셋으로 많은 대주단이 관심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