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양주일 카카오톡 부문장은 7일 서울 센터포인트광화문에서 열린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플랫폼 기업 간담회에서 “카카오 공동체 내에서 민생 밀접분야를 대상으로 수수료를 개편하는 등 상생 정책을 확대 제공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카카오는 이미 영세·중소상공인 등을 대상으로 카카오, 카카오페이 등의 수수료 동결·인하 정책을 시행하고 선물하기 정산주기를 단축했다. 아울러 이용자 편의성과 디지털 포용을 강화하기 위한 ‘카카오톡 이용자 환경 개선 프로젝트 ‘카톡이지’ 등을 지속 추진하기로 했다.
네이버의 경우도 지속적으로 기부 등 사회 공헌을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이광용 네이버 정책전략 책임리더는 “네이버는 지난해 상장기업 중 영업이익은 18위였지만 기부금은 삼성전자에 이어 2위였다”고 소개했다.
구체적으로 ‘프로젝트 꽃’으로 대표되는 네이버의 상생 프로그램을 통해 온라인 소상공인 보증 대출 누적액이 2395억원에 달하고, 초기창업자 수수료 면제 및 마케팅 비용 지원에 1060억원을 지원하는 등 입점업체 대상의 실효적 지원을 꾸준히 확대하고 있다.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은 “자율규제가 잘 안착돼 확산될 수 있도록 플랫폼 사업자들도 자율규제를 더욱 구체화하고 진화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며 “플랫폼 생태계가 건전하게 지속 발전할 수 있도록 민생현장에서의 부작용에 대해 더욱 현장과 소통해주고 고민에 앞장서달라”고 당부했다.
이어 “정부도 상생협력을 위한 자율규제가 그 취지에 맞게 시장에 잘 안착하여 확산할 수 있도록 플랫폼 자율규제의 법적 근거 마련 지원 중”이라며 “우리 플랫폼 생태계가 건전하게 지속발전할 수 있도록 민간의 자율규제 구체화 논의와 이를 바탕으로 한 자율규제의 진화를 위해 필요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약속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