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처럼, 정원처럼… “예쁘게 깎아줄게”

보기 좋은 과일이 먹기도 좋다
  • 등록 2006-05-24 오후 4:57:40

    수정 2006-05-24 오후 4:57:40

[조선일보 제공]사람들은 같은 샌드위치라도 사각보다는 삼각으로 잘라 놓았을 때 더 맛있다고 느낀다는 영국 심리학자의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각뿐 아니라 시각과 후각도 ‘맛’에 영향을 끼치기 때문이다.

맥도날드사(社)는 4.4㎝ 두께로 햄버거를 만들라고 가르친다. 사람이 입을 벌리는 폭(평균 5㎝)에 비춰 봤을 때 최상의 만족감을 주는 두께라는 것. 과일 하나 깎을 때도 이 같은 ‘시각’과 ‘크기’의 심리학을 활용하면 더 맛있어진다. 쿠킹스튜디오 ‘쿡피아(02-6384-5252)’를 운영하는 요리연구가 이보은씨와 돌코리아(www.dolefruit.co.kr)가‘보기도 좋고 먹기도 좋게’ 과일 내는 법을 알려줬다.



1. 키위컵
①가로로 길게 놓고 2등분한다. ②꼭지 부분을 얇게 잘라낸다. ③과육을 칼로 둥글게 파낸다. ④텅 빈 바닥에 ②를 뒤집어 깐다. ⑤파낸 속을 4등분해 ③에 담는다. ⑥2등분한 체리를 얹어 장식한다.

2. 참외탑
①꼭지와 밑바닥 부분 껍질을 잘라낸다. ②세로로 길게 놓고 썬다. ③지름 3㎝쯤 되는 동그란 모양틀로 눌러 씨를 제거한다(틀이 없다면 숟가락으로 한번에 제거하되, 당분이 많은 벽면은 긁지 않는다). ④동그란 단면을 층층이 쌓는다. 절반으로 자른 뒤 붙이면 더 먹기 편하다. ⑤빈 공간에 파파야나 수박 꼬치를 꽂아 담아낸다. 껍질을 장식용으로 꽂아도 예쁘다.

3. 망고버스
①세로로 길게 놓고 씨 부분이 제거되게 3등분한다. ②씨 없는 부분의 껍질을 벗긴 뒤 0.5㎝ 간격으로 어슷썬다. ③씨 있는 부분을 그릇에 깔고, 그 위에 ②를 올린다.

4.수박정원
①가로로 놓고 2㎝ 간격으로 썬다. ②단면을 절반으로 자른 뒤, 껍질 부분을 도려낸다. ③과육을 바둑판 모양으로 썬다. ④그릇에 껍질과 함께 놓고 몇 조각은 각을 돌려 튀어나오게 한다. ⑤몇 조각은 빼내고 사과·배·파파야 꼬치를 끼운다.

※수박을 4등분하고 다시 2등분한 뒤 과육을 바둑판 모양으로 썰어 껍질 위에 담아 ‘수박 보트’로 만들어도 좋다. 전통적인 세모꼴로 자를 경우, 화살표처럼 껍질 좌우 끝을 잘라내고 가운데만 손잡이로 남기면 입에 안 묻히고 먹을 수 있다.

5. 파인애플 왕관
①가로로 길게 놓고 2㎝ 간격으로 썬다. ②둥근 단면 안쪽을 껍질에서 1㎝ 떨어지게 도려낸다. ③지름 5㎝의 모양틀로 찍어 단단한 심을 제거한다. ④과육을 부채모양으로 8등분한다. ⑤둥근 껍질을 그릇에 놓고 그 안에 ④를 쌓는다.

+센스
▲사과나 배는 껍질을 8등분(배는 12등분)을 한 뒤 한번에 껍질을 싹 도려낼 것. 씨 부분은 직선으로 한번에 잘라낸다.
▲오렌지를 잘라서 낼 때는 껍질을 벗기기 쉽게 끝부분만 남기고 살짝 벗겨 준다.
▲바나나는 길게 깐 껍질을 돌돌 말아 이쑤시개로 꽂아 ‘꽃버선’을 만든다. 과육은 찍어 먹기 좋게 칼집을 낸다.
▲파파야나 멜론은 스쿱이나 아이 스푼으로 동그랗게 파내서 꼬치에 나란히 꽂거나 유리 그릇에 담으면 예쁘다. 보트 모양으로 잘라 칼집을 넣어 내도 된다.
▲고속터미널상가, 남대문시장 등에서 다양한 색상의 식탁보와 크기별 모양틀, 장식용 꼬치(이쑤시개보다 약간 긴 것)와 잎(엽란, 잎새란, 허브) 등을 마련하면 모양내기 편하다.
▲껍질 있는 과일은 식초를 탄 물에 씻은 후, 물기를 닦은 뒤에 깎아야 농약이 흐르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딸기나 토마토 꼭지는 씻은 뒤에 따야 당분이 물에 씻겨나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그릇에 서로 다른 색 과일을 함께 담으면 더 맛깔스럽다. 과일 색이 모두 단조롭다면 그릇이나 식탁보를 화려한 색으로 고르자.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57세' 김희애, 우아美
  • '쾅' 배터리 공장 불
  • 엄마 나 좀 보세요~
  • 우승 사냥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I 청소년보호책임자 고규대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