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래처럼 인생이 행복할 수 있다면…

노래로 소박한 老年 꿈꿨던 비틀스 멤버 폴 매카트니
이혼·추문에 슬픈 64세 생일
  • 등록 2006-06-21 오전 11:46:31

    수정 2006-06-21 오전 11:46:31

[조선일보 제공] 노년에 대한 누군가의 소박한 꿈이 이뤄질 확률은 얼마나 될까. 그리고 그 꿈을 꾼 당사자가 1조5000억원의 재산과 거대한 업적, 수많은 사람들의 존경을 한 몸에 지녔던 사람이라면?

6월 18일은 팝 역사상 가장 유명한 생일이었다. 폴 매카트니가 비틀스 멤버 시절인 1967년 발표해 팝의 고전이 된 곡 ‘예순네 살이 되었을 때’(When I’m Sixty Four) 때문이었다. 비틀스에 별 관심 없는 사람들조차 첫 소절만 들으면 누구나 흥얼거릴 수 있는 이 히트곡에서 매카트니는 아내와 함께 평온한 여생을 보내는 자신의 64세 모습을 상상했다. “내가 퓨즈를 갈면 당신은 스웨터를 짜고, 일요일 아침이면 드라이브를 하고, 정원을 가꾸며 잡초도 뽑고. 더 이상 뭘 더 바라겠어요. 내가 예순네 살이 되었다 해도 당신은 여전히 나를 원할 건가요.”

그러나 이미 열다섯 살 때 가사를 썼던 이 노래에서 꿈꿔온 생활과 달리 64회 생일을 맞는 매카트니의 삶은 최악이었다. 린다 이스트먼과 29년간 잉꼬 부부로 소문난 결혼생활을 했던 그는 8년 전 아내를 암으로 잃었다. 이어 26세 연하의 모델 출신 헤더 밀스와 2002년 재혼했지만 지난달 이혼을 발표하고 4년간의 결혼생활에 종지부를 찍었다.

사랑이 끝나자 돈문제가 터졌다. 현재 논의 중인 헤더의 위자료는 최소 900억원에서 최대 36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영국의 한 신문은 이를 빗대 ‘예순네 살이 되었을 때’의 가사를 적나라하게 패러디한 기사를 게재해 그의 속을 긁었다. “노래 판권을 팔아넘기고 은행에서 돈을 꾸고. 난 이제 가난해졌으니 오노 요코와 결혼을 해야 할 것 같아.” 게다가 이혼을 발표하자마자 헤더의 과거 행적과 관련한 폭로가 이어졌다. 그녀가 스무 살 무렵 찍은 포르노 사진이 공개되는가 하면, 런던에서 고급 매춘부로 활동했다는 의혹도 제기됐다.


▲ 첫번째 부인 린다 이스트먼은 폴 매카트니에게‘영원한 사랑’이었다.
비틀스 동료이자 그의 일생일대 라이벌인 존 레넌은 마흔 살에 죽어서 팬들의 가슴 속에 영원한 신화로 남았지만, 늙어버린 매카트니는 사랑과 돈뿐 아니라 명예까지 잃고 휘청댔다. ‘예순네 살이 되었을 때’ 속에서 그가 그렸던 내용 중 현실로 이뤄진 것은 헤더가 형식적으로 보내온 생일 축하 와인 한 병이 전부였다. 사랑하는 사람과 함께 늙고 싶어했던 그의 작은 꿈은 불가능한 소망이었다.

드디어 찾아온 6월 18일. 아버지는 마지 못해 이스트 에섹스에 있는 자신의 저택에서 바베큐 파티를 준비했다. 그러자 가족들은 아버지를 위로하기 위해 깜짝 이벤트로 준비한 노래를 틀었다. 자녀들과 손주들이 미리 모여 합창으로 녹음했던 ‘예순네 살이 되었을 때’였다. 녹음 장소는 39년 전 매카트니가 바로 그 노래를 불렀던 애비 로드 스튜디오. 비틀스 앨범을 지휘했던 명 프로듀서 조지 마틴의 아들이 녹음 작업을 맡았다. 음정이 틀리고 화음이 맞지 않는 합창이 흘러나오자 타고난 음악인인 아버지는 고개를 저었다. 그러나 얼굴엔 오랜만에 찾아온 미소가 끊이지 않았다. 결국 폴 매카트니를 구원한 건 노래였다. 와인 한 병과 노래 한 곡조, 그리고 그의 노래를 여전히 기억하는 팬들. 그의 예순네 번째 생일은 그리 나쁘지만은 않았다.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57세' 김희애, 우아美
  • '쾅' 배터리 공장 불
  • 엄마 나 좀 보세요~
  • 우승 사냥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I 청소년보호책임자 고규대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