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강남지역 전세난 내년에도 `쭉~`

멸실가구 수>입주가구 수..수급불균형 지속
이르면 2010년 이후부터 완화될 것
  • 등록 2008-09-09 오후 12:38:07

    수정 2008-09-09 오후 12:38:07

[이데일리 박성호기자] 내년에도 강남 지역을 제외한 비강남권 전세난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입주물량보다 멸실주택이 많기 때문이다. 
 

9일 부동산 중개업계에 따르면 최근 강북지역 전셋값은 상승세가 주춤한 상황이다. 이사철이 다가오고 있지만 집주인들이 전셋값 올리기를 주저하고 있는 모습이다. 경기 침체 영향으로 기존 세입자들 역시 새 전셋집 찾기를 포기하고 기존 전셋집 재계약을 선택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상승세 `일단멈춤` 

올 봄부터 이주가 시작됐던 가재울뉴타운 인근 방 2칸 단독주택 전셋값은 5000만~6000만원 가량으로 큰 변화가 없다. 은평구 녹번동 50㎡ 빌라 전셋값 역시 8000만~1억원 가량으로 상승세가 주춤해졌다.

하지만 다가오는 추석이 고비다. 예년보다 추석이 일러 전셋집을 구하는 것을 추석 이후로 미룬 세입자들이 많기 때문이다. 은평구 삼성 공인관계자는 "전세계약이 이뤄진 경우는 그리 많지 않지만 매수문의는 꾸준하다"며 "이들 중 상당수가 추석이 지난 후 집을 보러 오겠다고 한 경우가 많다"고 전했다. 

부동산정보업체 닥터아파트에 따르면 내년 서울지역 총 입주 아파트 수는 1만9358가구. 이중 강북지역은 7809가구이며 강남은 1만1549가구다. 올해 서울지역 입주물량 5만2427가구에 비해 상당히 줄어든 물량이다. 

 ◇내년 입주물량 2만가구

서울시가 집계한 지난 5년간 연평균 멸실가구수는 2만6681가구. 신고된 멸실 가구수만 집계하기 때문에 실제 멸실 가구수는 이보다 더 많을 수 있다는 것이 서울시 관계자의 설명이다. 멸실 가구수는 3만가구를 넘었던 2005년 이전에 비해 2006년에는 1만1000여가구로 줄었다. 하지만 작년 1만8000여가구로 다시 증가하는 추세다.

게다가 현재까지 2차 뉴타운 70개 지구 중 공사를 시작한 곳은 6곳에 불과하고 나머지 64개 지구 중 대부분은 내년부터 이주와 철거가 시작돼 향후 2∼3년 사이에 집중될 예정이다.
 
3차 뉴타운 11곳, 61개 사업 지구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대부분의 공사 완료시기가 2015∼2016년 사이에 몰려 있다.

여기에 재개발 지역을 포함하면 2012년까지 이주, 철거를 해야하는 가구 수는 서울에서 25만~30만가구에 달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성동구 금호 13, 17구역 등 재개발 지역은 당장 내년 상반기부터 본격적인 이주를 기다리고 있다. 결국 서울 강북지역 전세난을 불러왔던 고질적인 수급불균형이 내년에도 계속될 가능성이 높은 셈이다.

 
올해 집값 상승이 높은 지역, 재개발·뉴타운 인근 지역들은 내년에도 전셋값 상승세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수급불균형에다 경기침체로 인해 주택 구입을 극도로 꺼리는 분위기가 확산되고 있어 전세수요는 꾸준히 증가할 것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상계동, 전농동, 남가좌동, 아현동, 혜화동, 금호동, 흑석동 등 비강남권 주요 지역 대부분에서 전세 매물이 부족한 편이다.

◇전세난 확산 가능성 높아
 
상계동 114한빛 공인관계자는 "현재 전셋값 상승세가 한풀 꺾였다고는 하지만 여전히 매물이 넉넉한 편은 아니다"라며 "향후에도 전세 물건이 대량으로 나올 가능성도 거의 없다"고 말했다.

함영진 부동산써브 부동산연구실장은 "적어도 내년까지는 강남권을 제외한 서울지역의 전세난은 심화될 것"이라며 "이르면 초기 재개발·뉴타운 물량이 나올 2010년 이후부터 다소 완화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때문에 전문가들은 부담스러운 수준이 아니라면 새 전셋집을 구하러 나서는 것보다는 기존 전셋집 재계약이 유리하다고 입을 모은다.

김규정 부동산114 차장은 "최근 전세매물 부족현상은 서울 강북지역 전반에 걸쳐 나타나고 있는 현상"이라며 "의정부 등 서울 외곽으로 나가는 경우도 있는데 이들 지역 역시 마찬가지"라고 말했다.

함 실장 역시 "보다 싼 전셋집을 구하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라며 "중개수수료, 이사비용, 교육, 직장과의 거리 등을 감안해 터무니 없이 높은 가격이 아니라면 재계약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韓 상공에 뜬 '탑건'
  • 낮에 뜬 '서울달'
  • 발목 부상에도 '괜찮아요'
  • '57세'의 우아美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I 청소년보호책임자 고규대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