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부세 폭탄'은 과도"…대상자 절반은 24만원 이하 부담

국세청, 고용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실 제출
지난해 종부세 90%↑·대상자 28%↑
하위 50% 종부세 평균 24만원 부담
상위 1%, 평균 1.1억 부담…2배 올라
  • 등록 2021-05-17 오전 9:35:43

    수정 2021-05-17 오전 10:35:51

[이데일리 김겨레 기자] 지난해 종합부동산세 대상자 절반은 평균 24만원 이하를 부담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상위 1%는 1인당 1억1800만원을 부담했다.

고용진 더불어민주당 의원. (사진=연합뉴스)


17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고용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세청에서 제출 받은 ‘2020년 고지 기준 종합부동산세 백분위 자료’에 따르면 주택분 종부세 대상자 하위 50%는 1인당 23만9643원을 부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19년 자동차세 평균인 23만1920원과 유사한 수준이다. 하위10% 납세자의 부담액은 1인당 3만7871원에 불과했다.

2020년 주택분 종부세 고지액은 1조8148억원으로 전년보다 8624억원(90.6%) 증가했다. 종부세 대상자가 28% 늘어나고, 공시가격이 521조원에서 722조원으로 39% 증가했기 때문이다. 1인당 평균 273만원으로 전년도 184만원보다 89만원 늘어났다.

다만 중간값은 49만원에서 58만원으로 9만원 증가하는데 그쳤다. 종부세의 과세 부담은 대부분 최상위 부동산 부자에 집중됐다.

상위 1%의 종부세는 7802억원으로 전체 세액의 43.2%를 차지했다. 2019년 33.6%에서 비중이 크게 늘어났다. 상위1%가 보유한 주택 공시가격 총액은 46조6010억원이었다. 시세 기준으로 1인당 100억 상당의 주택을 보유하고 있는 셈이다. 이들은 1인당 1억1801억원의 종부세를 부담하고 있다.

서울 용산구 일대 아파트 모습. (사진=노진환 기자)
상위10%로 범위를 확대하면, 상위10%의 종부세 총액은 1조3169억원으로 전체 종부세의 72.9%를 차지했다. 1인당 1992만원으로 전년보다 761만원 증가했다.

주택분 종부세 대상자의 절반인 하위50%(33만0637명)가 내는 종부세 총액은 792억원으로 전체 세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4.4%에 불과했다. 1인당 세액은 23만9643원으로 전년도의 19만4721원에서 4만4922만원 늘어난 것이다. 과표에서 세율을 곱하면 1인당 54만7743원이 나온다. 여기에서 재산세 중복분(22만2985원)과 세액공제(6만5347원) 등을 공제하고 나온 금액이다. 고용진 의원 측은 “일부에서 제기하는 종부세 폭탄과는 한참 거리가 먼 수치”라고 평가했다.

하위10%인 6만6197명의 종부세 총액은 25억700만원으로 전체 세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0.1%에 불과했다. 1인당 평균 세액은 3만7872원이었다. 2019년 1인당 2만5556원에서 1만2316원 늘어난 금액이다. 하위20%(13만2307명)까지 확대해도 1인당 8만1288원을 부담하고 있다.

하위80%로 확대하면 52만8967명이 2969억원을 부담했다. 1인당 평균 56만1254원을 부담한 셈이다. 전년도 47만1334원에서 8만9920원 늘어난 것이다. 하위80%의 평균값은 전체 대상자의 중간값인 58만원과 거의 비슷하다. 최상위 부동산 부자를 제외하면 종부세 대상자들은 평균적으로 이 정도 금액을 부담하고 있다.

(자료=고용진 의원실)
종부세 대상자는 우리 국민의 1.3%에 불과한데, 그 중에서도 상위1%인 6000여명이 43%, 상위10%인 6만여명이 73%를 부담하고 있다. 상위1%의 세부담 집중도는 2018년 30.8%에서 해마다 올라 2020년 43.2%까지 상승했다.

한편, 작년 8월 종부세법이 개정돼 실거주 1주택자의 세액공제가 확대되고 다주택자의 중과세율이 올랐다. 대다수 1주택자는 올해 말 고지되는 종부세 부담은 크게 변동이 없지만, 상위1%의 종부세는 두 배 이상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상위1%의 세부담 비중은 50%를 상회하고 하위80%는 그만큼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고용진 의원은 “종부세 대상자의 절반인 하위50%는 연간 20만원대의 세금을 부담하고 있다”며 “종부세 폭탄론은 과도하게 부풀려져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하위50%의 세부담 비중은 5%도 채 되지 않는다며, 중산층까지 종부세 폭탄을 맞고 있다는 일각의 주장은 사실과 다르다고 강조했다.

다만, 고 의원은 최근 공시가 급등으로 종부세 대상 인원이 늘어나 1주택자의 세부담은 크지 않지만 조세저항과 불안이 있는 것도 현실이라면서, 정부와 국회가 머리를 맞대고 공제액 상향 등을 통해 대상 인원은 조금 조정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韓 상공에 뜬 '탑건'
  • 낮에 뜬 '서울달'
  • 발목 부상에도 '괜찮아요'
  • '57세'의 우아美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I 청소년보호책임자 고규대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