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김영환 기자] 지난 1일 울산에서 사망한 여성이 경찰에 신고했음에도 `알뜰폰`을 사용한 탓에 위치 추적이 어려웠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알뜰폰 사용자들이 불안에 떨고 있다. 정부는 올 연말까지 시스템을 개선하겠다는 계획이지만 여전히 이 기간 동안 알뜰폰은 추적 사각지대에 놓이게 된다.
가장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해법은 `112긴급신고 앱`이나 `119신고 앱` 등을 설치해두는 것이다.
위치 정보는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 무선인터넷(WiFi), 기지국 등을 종합해 얻게 된다. 울산 사건의 경우 GPS와 WiFi 정보값을 얻지 못했는데 그나마 기지국 정보도 알뜰폰이어서 제한이 있었다.
SKT·KT·LG U+ 등 이동통신 3사가 경찰의 위치 파악 요청에 곧바로 회신을 보낼 수 있는 반면, 야간·주말 근무자가 없는 별정통신사는 이 시스템이 마련되지 못한 상황이다.
`112긴급신고 앱`이나 `119신고 앱`은 GPS, WiFi 정보값을 제공한다. GPS, WiFi는 기지국 정보에 비해 위치 파악의 오차도 더욱 작다. 긴급신고 전화에 비해 어플을 구동해야 하는 등 긴급 상황에서 시간이 더 소요될 수는 있으나 안전망을 더 확충할 수 있는 셈이다.
알뜰폰의 경우 통신사에 따라 위치 추적을 돕는 부가 서비스가 있다. `119긴급구조위치제공` 등의 서비스가 있는 경우 가입해두는 것이 좋다. 이 같은 서비스는 무료이기 때문에 과금을 걱정할 필요도 없다.
`측위 모듈`이 탑재된 스마트폰은 GPS, WiFi가 꺼져 있더라도 이를 강제로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일부 알뜰폰과 외국산 스마트폰에는 이 기능이 없어 더욱 신중을 가해야 한다. 특히 화웨이와 샤오미, 아이폰 등 제품은 GPS, WiFi 정보 전송을 지원하지 않는다.
정부는 올해 말까지 통신자료제공요청 회신 업무 자동화 시스템 `QR코드 전자팩스`를 정착시키겠다는 계획이다. 현재 평일 주간에만 이용이 가능한 `QR코드 전자팩스`는 연말에는 야간·휴일에도 활용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도 표준화된 위치추적 프로그램을 연말까지 내놓겠다고 발표했다. 통신사는 물론, 자급제폰이나 알뜰폰, 외국산 스마트폰도 위치추적 프로그램을 표준화하겠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