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다 깨기를 반복하는 당신, 혹시 '사지운동증후군'?

자면서 팔다리 움직이는 사지운동증후군, 깊은 수면 방해, 수면장애 유발
하지불안증후군 의심된다면 수면다원검사 통해 확인 해 봐야
  • 등록 2022-09-24 오전 9:05:33

    수정 2022-09-24 오전 9:05:33

[이데일리 이순용 기자] 30세 김모씨는 몇 달 전부터 저녁이나 잠들기 전에 다리가 저릿하고 불쾌한 느낌 때문에 쉽게 잠이 들지 못하고 중간에 깨는 증상도 자주 나타났다. 수면의 질이 떨어지면서 주간조름, 주간피로 증상까지 나타나 수면클리닉을 찾았다. 그 결과 이름도 생소한 사지운동증후군 확진을 받았다. 하지불안증후군 환자의 4분의3 이상이 경험하는 사지운동증후군은 수면 중 사지가 흔들리며 깊은 수면을 방해하고, 새벽에 깨는 증상이 나타난다.

하지불안증후군은 낮에는 괜찮은데 밤만 되면 주로 다리에 벌레가 기어 다니는 것 같은 근질근질한 느낌, 바늘로 쿡쿡 쑤시거나 옥죄거나 전류가 흐르는 느낌 때문에 다리를 자꾸 움직이게 되는 질환이다. 남성보다 여성에게서 두 배 더 흔하게 나타난다.

서울수면센터 한진규 원장은 “아침에 혈압이 높고 약을 먹어도 혈압이 조절되지 않거나 두통이 있다면 하지불안증후군이나 사지운동증후군으로 인한 고혈압이 아닌지 확인 해 볼 필요가 있다. 방치하면 불면증, 심장·뇌질환 등은 물론 고혈압 위험도 증가하기 때문이다”고 강조했다.

미국 수면학회 헤더 라이트박사의 연구에 따르면 하지불안증후군과 사지운동증후군은 다른 수면장애를 같이 않는 경우가 88%에 달했다. 입면장애, 수면부족, 우울증, 주간졸음 등이 있었으며, 치료 시 다른 수면장애도 치료되는 효과가 나타났다.

국내도 인구의 15% 안팎이 앓을 정도로 흔한 질환이지만 단순 불면증, 혈액순환장애로 인한 손‘발 저림, 하지정맥류, 당뇨성 말초신경병증 등으로 오인되기도 한다. 발병 원인은 아직 명확치 않으나 철분 부족과 생리, 심한 다이어트가 원인인 경우도 있다. 방치하면 점점 증상이 심해지게 된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병원에서 1박2일 동안 자면서 검사하는 수면다원검사와 혈액검사인 훼리틴 검사가 필요하다. 하지불안, 사지운동증후군으로 인한 수면다원검사인 경우 건강보험 적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전 진료를 통해 확인하고 검사하는 것이 좋다.

한진규 원장은 “낮 동안 햇볕을 쬐며 가벼운 스트레칭·체조를 한 뒤 다리 마사지나 족탕으로 피로를 해소해주는 것이 예방·완화에 도움이 된다”고 조언했다.

◇ 하지불안증후군, 사지운동증후군 증상 완화 팁

△ 수면 위생 : 좋은 수면 위생은 침실 환경과 고품질의 수면을 지원하는 일상 생활을 유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아침에는 빛에 노출하고 저녁에는 최대한 밝은 빛을 피한다. 알코올 특히 레드와인과 카페인을 피하는 것도 중요하다.

△ 운동: 신체 활동이 없는 경우 종종 하지불안증후군 증상이 유발되기 때문에 운동이 도움이 될 수 있다. 하지불안증후군 환자가 운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지 6주 후에 증상 중증도가 39% 감소한 반면 운동을 하지 않은 환자의 경우 8% 증상 감소를 보였다. 하지만 야간 운동은 오히려 하지불안, 사지운동증후군을 악화시킨다. 잠자기 5시간 전에는 모든 운동을 마쳐야 한다.

△ 마사지 및 족욕, 반신욕 : 다리를 자극하기 위해 마사지와 족욕, 반신욕을 사용하는 것은 증상 완화에 큰 영향을 준다. 잠자기 1,2시간 전에 하는 것이 좋다.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오늘도 완벽‘샷’
  • 따끔 ㅠㅠ
  • 누가 왕인가
  • 몸풀기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I 청소년보호책임자 고규대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