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드웨어 기술이 성숙하면, white box 형태의 규격화된 하드웨어들이 등장하면서 소프트웨어 기술의 중요성이 강조됩니다. 시스코에 대한 가장 큰 위협이, 네트워크 장비제조 경쟁사가 아닌 통신사들의 white box 네트워크 스위치 채택인 것과 마찬가지로, 오픈랜(Open-RAN, Radio Access Network)’이 차세대 이동통신 장비 시장에 큰 파장을 일으킬 것은 분명합니다.”
이경한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는 5G와 6G로 이어지는 네트워크 기술에서 ‘오픈랜’이 또 하나의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했습니다.
‘오픈랜’은 소프트웨어(SW)로 이동통신 기지국을 구현해 네트워크 장비 하드웨어(HW)에 대한 종속성을 탈피해 유연한 기술 진화가 가능합니다. 이통사는 인공지능(AI) 등 지능형 기술을 도입하기 유리하고 특정 장비회사에 구애받지 않고 다수 제조사 장비를 혼용하여 운용할 수 있습니다.
이 교수는 “유선 네트워크 장비 시장에서 SDN(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과 white box 의 개념이 등장한 뒤 시장이 재편된 것처럼, 차세대 이동통신 장비 시장에서 오픈랜은 비슷한 기능을 할 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 기존 화웨이나 삼성전자, 에릭슨 같은 이동통신 기지국 장비(HW)사들은 표준을 준수해 장비를 제조하고, 핵심 기술 경쟁은 소프트웨어에서 하게 된다는 것이죠.
또 “오픈랜 하에서는 어느 회사 장비든 상호 운용성을 보장할 수 있게 만들어줘야 한다. 상호 운용성이 보장되는 장비들의 출현은 곧 장비 수익률 저하와 연결될 수 있다”고 했습니다. 이동통신 장비 시장 1위가 가지는 상징성이 6G에서는 크게 위축될 수 있다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우리나라도 이미 오픈랜 동참..부족한 SW 기술력 극복해야
우리나라에서도 올해 6월 5G 포럼과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개방형 5G 프런트홀 워킹그룹 설립을 제안하며 23개사가 참여하는 오픈랜 연합체가 가동을 시작했죠.
이 교수는 “5G까지는 무선 접속 기술이 중요했는데, 6G 또는 그 이후에서는 결국 서비스와 고품질로 연결되는 것이 보다 중요해진다. 서비스와 연결되려면 데이터 전송과 데이터 연산 간의 인터페이스가 중요해 무선 통신 구간 외에도 코어 네트워크, 극단적으로 낮은 연산지연을 가지는 네트워크 내 컴퓨팅 기술이 중요해진다. 6G부터 7G, 8G로 가면서 통신과 컴퓨팅의 융합이 큰 패러다임이 된다는 의미”라고 강조하며, 엔비디아의 멜라녹스 인수가 가지는 의미를 곱씹어 보아야 한다고 했습니다.
이 교수는 6G R&D 전략에 대해서는 “전용 칩셋이나 전용 하드웨어에 비해 오픈랜을 쓰면 아무래도 전력 소모나 성능 측면에서 아쉬운 부분이 있다. 오픈랜으로의 전환이 급격히 이루어지기 어려운 측면”이라면서도 “앱스토어에 수많은 앱이 출시되듯, 오픈랜 위에 얹어지게 될 소프트웨어들의 파급력은 클 것”이라고 했습니다. 아울러 이 교수는 “기존의 이동통신 시장에서 우리가 확보한 장점을 살리되, 고부가가치 네트워크 서비스를 구상하고 있는 국내외 업체들과의 조기 협력을 통해, 최종 서비스 품질을 보장할 수 있는 형태의 오픈랜 소프트웨어 기술과 통신-컴퓨팅 융합 핵심 기술을 추가로 확보해 나가야할 것”이라고 부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