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로야구 한국시리즈 티켓을 구하지 못한 야구 팬이 발을 동동 구르며 내놓은 하소연이다. 농담이 아니다. 한 티켓 사이트엔 실제로 한국시리즈 5차전 1루쪽 테이블석 티켓을 200만원에 판다는 글이 올라왔다. 정가가 10만원이니 무려 20배나 높은 금액이다. 그나마도 눈 깜짝할 사이에 팔렸다. 정가 3만원짜리 외야석 티켓조차 몇 배 비싼 10여만 원에 판매된다. 온라인상에선 구매한 티켓에 웃돈을 붙여 되판다는 뜻의 ‘플미’(프리미엄의 줄임말)라는 말이 공공연하게 돌고 있다.
직접 구매한 티켓을 되파는 건 그래도 애교로 봐줄 수 있다. 진짜 문제는 매크로(자동입력반복) 프로그램 등 부정한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는 점이다. PC방 등에서 조직적으로 매크로 프로그램을 돌려 티켓을 대량 구매한 뒤 온라인 중고거래 사이트를 통해 재판매하는 행위가 버젓이 이뤄지고 있다. 팬들 사이에선 “정상적인 방법으로 티켓을 예매하는 사람이 오히려 바보”라는 말이 나올 정도다.
이는 한국시리즈만의 문제는 아니다. 유명 가수 콘서트 등 공연에서도 반복되는 문제다. 지난 5월 한 중고거래사이트에는 ‘브루노 마스 8연석(8개 연속 좌석) 양도합니다’라는 제목을 단 1억8000만원짜리 암표 매물이 버젓이 올라와 논란이 되기도 했다.
그나마 공연법은 내년 3월 개정안이 시행을 앞두고 있다. 개정안에는 정보통신망에 주문 명령을 자동으로 반복 입력하는 프로그램을 이용해 입장권 등을 부정 판매해서는 안 된다는 조항이 추가됐다. 이 법이 시행되면 매크로 프로그램을 이용해 공연 입장권·관람권을 산 뒤 웃돈을 얹어 파는 행위 자체가 금지된다. 위반 시 1000만원 이하 과태료가 부과된다. 같은 내용이 담긴 국민체육진흥법 개정안은 아직도 국회에 계류 중이다.
일부에선 미국처럼 암표 거래를 수면 위로 끌어 올려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미국은 ‘스텁 허브’, ‘티켓 마스터’ 등 티켓 재판매 사이트가 법의 테두리 안에서 합법적으로 관리·운영되고 있다. 메이저리그 사무국이나 구단과 공식 파트너 계약을 맺고 공식적으로 티켓 재판매와 재구매를 중계한다. 오히려 팔리지 않은 티켓을 꼭 필요한 사람에게 저렴한 가격에 공급하는 순기능 역할을 하고 있다.
물론 국내와 미국의 현실이 다를 수 있다. 그렇다고 언제까지 암표 문제를 법의 사각지대에 방치해 둘 수만은 없다. 비정상적인 경로를 타고 유통되는 암표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다면 선의의 피해자는 계속 늘어날 수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