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이 이전과는 전혀 다른 태도를 취하면서 남북 및 북미 교류에도 먹구름이 끼게 됐다. 그 중에서도 우선적으로 판문점 선언에 따른 후속 조치 이행 문제와 북한이 비핵화의 선제적 조치로 발표한 풍계리 핵실험장 폐쇄가 향후 어떤 시나리오로 전개될지에 관심이 쏠린다.
당장 내주 23일부터 25일 사이에 진행될 것으로 예고했던 풍계리 핵실험장 폐기 이벤트가 그 일정이 못박혔다는 점에서 첫 고비로 떠오른다. 북측의 예고에 따르면 북한에 초청받은 취재진은 22일 중국 베이징에 집결해 북한 원산 갈마공항으로 이동한다. 22일 이전까지 갈등이 해소되지 않으면 풍계리 일정 역시 연기될 수밖에 없다.
그러나 북한이 한미연합공중훈련인 맥스선더를 빌미로 남북 고위급 회담을 무산시키고 미국측 강경파들의 비핵화 발언을 문제 삼아 북미 정상회담의 취소 가능성까지 언급하면서 풍계리에까지 파장이 미치는 분위기다. 풍계리 핵실험장 폐기, 북미 정상회담으로 이어지는 순항 기류에 제동이 걸린 셈이다.
전망은 불투명하다. 메인 이벤트격인 북미 정상회담의 개최 문제까지 들먹인 북한이 사전 이벤트에 불과한 풍계리 핵실험장 폐기에 신경을 쓸 이유가 없다. 특히 풍계리 이벤트가 양측의 협상 과정에서 조율된 것이 아니라 북한이 선제적으로 내건 조치라는 점에서 더욱 그렇다.
홍민 통일연구원 북한연구실 연구위원은 “한미 정상이 만나서 입장을 조율하고 미국이 볼튼에 대한 내부적 조치를 취할 것으로 보인다”며 “풍계리 핵실험장 폐기가 북미 정상회담을 잘 치르기 위한 선제적 조치임을 감안하면 늦더라도 북미 정상회담 이전에 조치가 이뤄질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