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만 의료계에서는 자가검사키트의 실효성을 둘러싸고 의견이 팽팽하다. 선진국과 같이 의료진 부담 완화와 일상화된 검사를 위해 전면 도입해야 한다는 주장과 변별력이 낮아 위음성(가짜 음성)을 받을 경우 방역현장에 혼란이 일 수 있다는 반대 의견도 만만치 않은 상황이라 향후 적잖은 논란이 예상된다.
|
17일 서울시와 서울시교육청에 따르면 초·중·고교 자녀를 둔 가정에서 코로나19 보조 검사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이르면 다음달 초 자가검사키트가 무료 배포될 예정이다. 현재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판매·유통 허가를 받은 래피젠, 에스디바이오센서, 휴마시스 등 3개사와 협의 중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아직 구체적인 예산이나 물량은 정해지지 않았지만 시비나 시교육청 예산으로 각 사업체에 입찰을 할 예정”이라며 “학생을 둔 가정이 일회성이 아닌 일주일에 1~2회 정도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을 계속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자가검사키트 도입은 오 시장이 취임 초부터 강조했던 ‘서울형 상생상역’의 핵심이다. 자영업자 등 소상공인의 타격을 최소화하기 위해 일률적인 영업시간 규제보다는 업종별로 마감 시간을 달리하는 내용을 담은 서울형 거리두기와 함께 추진돼 왔다. 다만 정부는 오 시장의 수차례 건의에도 방역현장에 혼란을 키울 수 있다는 판단에 채택하지 않았다.
|
시 관계자는 “시범사업 당시 확진자가 많이 나오지는 않았지만 앞서 전국 요양병원·시설 등 감염 취약시설에 대한 선제 PCR(유전자증폭) 검사와 비교해도 양성율(검사 대비 확진자 비율)은 비슷한 편”이라며 “지역 감염 선제차단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현재는 경기도, 인천, 충북 등 10여 곳 이상 지자체에서 자가검사키트를 도입하고 있다. 공공기관, 대학교, 기업 등 민간 사업장에서도 자체적으로 활용하는 사례가 점차 늘어나고 있다.
◇의료계 의견 팽팽…“정확도 떨어져” vs “시스템화 필수”
최근 전국적으로 확진자가 2000명이 넘는 등 불안한 상황이 나타나면서 자가검사키트 도입을 둘러싼 논쟁은 한층 가열되고 있다. 검사 대기시간이나 물리적인 이동 없이도 매일 집에서 간편하게 즉각 검사 결과를 알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정확도가 떨어져 별 효용이 없다는 지적도 적지 않은 편이다,
김우주 고려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자가검사키트로 양성 판정을 받는다고 해도 분모인 대상자를 비교하면 효용 가치가 너무 떨어진다”며 “보여주기식 시범사업을 하기보다는 방역을 더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최재욱 고려대의대 예방의학교실 교수는 “매일 등교하는 학생이나 일터에 나가는 직장인들은 수백만명인데 이들을 매번 PCR검사를 할 수 없다. 단 한 명의 확진자를 찾는 것이 이롭지 아무것도 하지 말라는 것은 더 나쁠 수 있다”며 “외국과 같이 등교나 출근 전 검사해 해당 결과를 앱으로 등록, 이를 보고하는 등의 시스템화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천은미 이대목동병원 호흡기 내과 교수는 “밀집도가 높은 장소에서 시간, 인력 부담 등 제한 없이 자가검사키트를 선별검사로 활용하면 조기에 확진자를 찾는데 큰 도움이 될 수 있다”며 “증상 초기에는 민감도도 높아 활용하는 편이 낫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