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일 포털사이트에선 ‘심재철 6억’이 인기검색어에 올랐다. 문재인 청와대에서 업무추진비를 부적절하게 썼다며 심 의원이 ‘살라미’식 공세를 이어가던 중, 과거 그가 20대 국회 전반기 국회부의장 시절 받은 특수활동비 문제가 수면 위로 떠오른 것이다.
공교롭게도 심 의원의 특활비 문제를 처음 언급한 건 한국당이었다. 6.13 지방선거 패배 후 한달여 뒤, 심 의원으로부터 사퇴 요구를 받던 김성태 원내대표가 “우리 당 몫의 부의장이 돼 특활비를 6억원이나 받았으면서 후배 의원들에게 밥 한 번 사준 일이 있느냐”고 따졌던 일화가 다시 회자됐다.
청와대를 향해 도덕성 공격을 하려던 그가 역공을 당한 셈으로, 수습하려던 와중엔 엉겁결의 ‘말실수’도 나왔다. 특활비 사용내역을 공개하란 압박에 부딪히자 심 의원은 “부의장 특활비는 6억원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액수”라고 한 뒤 “명목이 무엇이든 개인에게 지급한 것은 개인이 자기 맘대로 쓰는 것은 당연한 것”이라고 해 눈총을 샀다. 심 의원 측은 특활비 집행내역 공개 여부엔 “국회의장의 몫”이라고 했다.
심 의원 측은 우연한 기회에 국가재정정보시스템의 비인가 정보에 접속돼 내려받았다고 주장하지만, 해킹 등 고의성도 의심 받는 중이다. 이종걸 민주당 의원이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 국감에 심 의원과 그의 보좌진들을 증인으로 신청하겠다고 벼르는 것도 이 때문이다. 심 의원은 오는 2일 대정부질문에 나서 직접 시연하겠다고 천명했지만, 의구심을 불식시킬 수 있을지 미지수다.
의정활동의 ‘꽃’인 국감은 통상 야당의 무대인데, 심 의원 사태가 이어질 경우 기재위는 파행을 빚을 수밖에 없어 한국당 기재위원들도 활약 기회를 놓치게 된다. 하지만 사보임 의사가 없는 심 의원을 당이 나서 내보낼 수도 없어 곤혹스런 상황이다. 기재위 소속 한국당 한 관계자는 “어차피 국감을 해도 정부 실정만 들추니 아예 파행을 하게끔 민주당에서 수를 쓴 것”이라며 “심 의원은 엄호해야 하고, 국감도 해야 하니 난감하다”고 토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