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 대통령의 취임 초기부터 남북 간에는 긴장이 격화됐다. 북한은 지난해 5월 14일 문 대통령 취임 불과 나흘 만에 동해상으로 탄도미사일을 발사했다. 이어 북한은 같은 달 21일, 29일에도 탄도미사일 발사를 강행하며 한반도 긴장을 고조시켰다.
문 대통령이 지난해 7월 독일 베를린에서 한반도 비핵화 추구와 평화체제 구상을 골자로 하는 ‘베를린 구상’을 발표했을 때도 남북 간 평화분위기가 조성될 기미는 보이지 않았다. 문 대통령은 베를린 선언을 통해 △6·15 공동선언 및 10·4 정상선언 이행 △북한 체제 안전을 보장하는 비핵화 추구 △항구적인 한반도 평화체제 △한반도 신경제지도 구상 △비정치적 교류협력 사업 등을 5대 정책과제로 제시했다. 그러나 북한 노동당 기관지인 노동신문은 이에 대해 “잠꼬대 같은 궤변”이라고 평가절하했다.
북한은 특히 지난해 9월 3일 국제사회의 경고와 우려에도 제6차 핵실험을 강행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유엔총회에서 김 위원장을 향해 ‘로켓맨’이라고 조롱, 북한은 트럼프 대통령을 향해 ‘늙다리 미치광이’라고 맞대응하는 등 북미간 말폭탄을 주고받으며 한반도 긴장은 최고조로 치달았다.
긴장국면을 벗어나지 못했던 남북 관계는 지난 1월 1일 김 위원장이 신년사를 통해 평창 동계올림픽 참가를 시사하면서부터 빠르게 변화했다. 신년사 이틀 뒤인 1월 3일 개성공단 폐쇄 이후 26개월 만에 판문점 연락 채널이 복원됐다. 또 1월 9일에는 남북고위급회담을 통해 남북은 △북한의 평창 동계올림픽 참가 △군사적 긴장상태 완화 △남북 교류 협력 활성화 △남북 선언 존중 등을 내용으로 하는 공동보도문을 채택했다.
이후 3월 정의용 국가안보실장을 단장으로 하는 대북특사단은 김 위원장을 만나 △4월 말 남북 정상회담 개최 △정상간 핫라인 설치 △한반도 비핵화 의지 △북미대화 용의 △대화 기간 추가 핵·미사일 실험 중지 △남측 태권도시범단과 예술단 평양 초청 등을 합의했다.
이제 한반도 비핵화와 항구적인 평화정책, 남북관계의 진전을 핵심 의제로 하는 남북 정상회담이 성과를 거둬 북미 정상회담의 성공으로 이어질 수 있을지 세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임종석 남북정상회담 준비위원장은 “북한의 비핵화 의지를 남북 정상회담 합의문에 명문화할 수 있다면 북미 정상회담으로 이어지는 길잡이 역할로 아주 훌륭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기대감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