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는 “서울, 부산, 대구, 광주, 대전 등 5개 광역도시를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부지분류 A, B, C, D, E 중 부산의 특정지역에서 E”로 나왔다면서 보고서 일부를 공개했다.
보고서의 요약문은 보고서의 제작 목적으로 “활성단층 및 지반 융기율 등 지반안정성 평가에 내재된 불확실성을 개선하여 내진설계에 입력되는 정량적인 수치생산 및 제공”이라고 밝히고 있다.
부지분류가 A에서 E로 갈수록 지진발생 시 진동이 증폭되어 지표면 부근 시설물에서의 큰 피해 가능성이 크다는 의미로 “부산의 퇴적토 발달에 따른 부지분류 E의 존재 가능성에 근거해 볼 때, 최근 서울 주변 지역의 지속적인 개발에 따른 광역 도시화와 그에 따른 도시화 지역에서의 지진 시 대규모 피해 가능성을 고려해 볼 수 있다”고 언급하고 있다.(보고서 832페이지)
원전밀집지역 뿐 아니라 서울 및 수도권을 관통하는 단층이 활동성단층인 것이 밝혀졌고, 부산의 특정지역이 지진 진동을 증폭시킬 수 있는 취약지역으로 나왔을 뿐 아니라, 서울도 대규모 피해가 가능성을 언급했음에도 배포제한 요청으로 숨겼다는 비판이 제기되는 부분이다.
이에 대해 고용진 의원은 “내진설계 활용이라는 국민의 안전과 직결된 사안을 민감하다는 이유로 덮어버리는 바람에 후속 연구나 조치가 취해진 것이 아무것도 없다”고 비판했다.
이어 “연구자들 스스로 문제가 있다는 97년에 제작된 내진설계 정량계수로 지금까지 얼마나 많은 원전과 주요 시설물이 심사통과를 받거나 지어지고 있는가를 생각하면 분노가 치민다”고 부연했다.
익명을 요구한 내진설계 전문가는 “우리나라의 방폐장이 왜 활성단층이 있는 경주에 들어섰는지 의문”이라면서 “우리의 방폐장 내진 설계 기준은 미국보다 낮게 설계됐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