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명균 통일부 장관은 장담을 하는 편이 아니다. 남북 관계라는, 특수성을 지닌 부서의 장이라는 점 때문인지 오히려 확정적인 발언은 아끼고 아낀다. 그런 그가 2일 통일부 출입 기자단과의 간담회에서 이번 남북 정상회담 합의 사안의 이행 가능성에 대해 비교적 뚜렷하게 목소리를 냈다. 통일부가 후속 조치의 주무 부서인 만큼 추후 남북 교류 가능성이 여느 때보다 밝다.
조 장관은 이날 서울 삼청동 남북회담본부에서 가진 간담회를 통해 “무엇보다 리더십과 관련된, 남북 정상회담이나 북미 정상회담, 다른 관련국들 리더십과 관련한 부분에서 과거와 차이가 있다”면서 “기본적으로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의지, 필요성 등에서 과거보다는 합의들이 제대로 이행될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는 평가를 하고 있다”며 이같이 강조했다.
조 장관은 지난 2000년 1차 남북 정상회담과 2007년 2차 남북 정상회담을 모두 지척에서 수행한 경험이 있다. 1차 정상회담 준비과정에서 조 장관은 실무기획단 간사를 맡아 당시 준비위원회 모든 회의에 참여했다. 2차 정상회담 때는 청와대 안보정책비서관으로서 회담장에 배석, 대화록 작성 업무를 맡았다. 3번의 남북 정상회담과 모두 연관된 인사는 조 장관과 함께 서훈 국가정보원장뿐이다.
더욱이 1,2차 정상회담이 이뤄진 당시 김대중 대통령과 노무현 대통령은 모두 정권 말이었다는 점에서 ‘레임덕’이 위험 요소였다. 반면 문 대통령은 집권 1년도 되지 않아 남북 정상회담을 통해 교류의 물꼬를 텄다. 향후 4년간은 안정적인 국정 운영이 가능하다는 면에서 남북과 함께 미국이 같은 목소리를 낼 공산이 크다.
조 장관은 판문점 선언의 후속 조치 이행에 대한 욕심도 내비쳤다. 조 장관은 리선권 북한 조국평화통일위원회 위원장과 함께 남북 고위급 회담의 카운터파트다. 지난 1월 2년여만의 남북 고위급 회담을 통해 북한의 평창 동계 올림픽 참석의 초석을 다졌다. 후속 조치 이행을 놓고도 여러 차례 리 위원장과 머리를 맞대야 한다.
조 장관은 “후속 조치에 만전을 기할 것”이라고 했다. 정부는 남북 정상회담 준비위원회를 판문점선언 이행추진위원회로 개편하고 범정부차원에서 후속 조치 준비해나간다는 방침을 세웠다. 이중 비무장지대 확성기 장비 철거처럼 바로 이행할 수 있는 부분은 발 빠르게 실행한다는 목표다. 조 장관은 “특히 바로 이행할 수 있는 합의사항은 차질없이 잘 준비해 나가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