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 포털 근무 경험이 있는 한 IT업계 종사자는 정치권의 반복되는 포털에 대한 공세에 대해 이 같이 비유했다. 그는 “여야를 가리지 않고 정치권은 자신들에게 불리하면 포털을 공격하는 행태를 반복해왔다”고 비판했다.
1990년대 후반 설립된 네이버와 다음(카카오)은 2000년대 들어 뉴스 콘텐츠 제공자로서 막강한 영향력을 발휘하기 시작했다. 기존 방송과 종이신문 위주였던 뉴스 시장은 포털을 중심으로 인터넷으로 이동한 것이다. 최근 조사에선 독자 80%가 포털에서 뉴스를 접하는 것으로 나타나기도 했다. 포털의 여론 독점 비판과 별개로 다수 시민들이 참여할 수 있는 ‘논의의 장’이 마련됐다는 점에선 획기적 변화였다.
하지만 우리 정치권 일부는 이 ‘논의의 장’을 오히려 눈엣가시로 여겨왔다. 자신들과 다른 견해가 드러나는 논의의 장을 제공한 포털에 비판의 화살을 돌려온 것이다. 결국 이 같은 비판에 포털은 지속적으로 뉴스 서비스 개편에 나섰고, 논의의 장은 면적은 점점 줄어들었다.
|
특정 정치세력의 온라인 캠페인 성격이 강했지만, 정치권은 이에 대해서도 포털에 비난의 화살을 날렸다. 미래통합당 원내지도부는 지난해 9월 직접 네이버 본사를 항의방문해 ‘실검 폐지’를 촉구하기에 이르렀다. 동행했던 한 의원은 ‘실검 조작 금지법’을 추진하겠다고 엄포를 놓기도 했다. 한국당 일부 의원들은 네이버를 ‘친문재인’으로 규정하거나, 극우 네티즌 일부에서 제기하는 ‘차이나게이트’ 의혹에 동참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정치권의 계속된 공세에 뉴스 서비스를 개편을 지속적으로 해온 포털은 결국 ‘정치적 오해’를 피하는 방식으로 실검도 개편 혹은 폐지했다. 구글이나 야후재팬 등 해외 다수 인터넷기업들이 실검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지만, 국내 업체들은 결국 정치권발 압력을 피하지 못했다. 네이버는 대대적 개편을 단행했고 카카오는 잠정 중단했다. 이 과정에서 수많은 이용자들의 편익은 후순위로 밀렸다.
이 같은 정치권발 압력에 따른 서비스 개편은 단순히 표현의 자유 위축에 국한되지 않는다. 네이버와 카카오는 지난해 각각 매출 6조원과 3조원을 넘는 IT대기업이다. 이미 인공지능(AI)·로봇·모빌리티 등 첨단기술 분야에서 국내 최고 수준을 자랑한다. 한국을 넘어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한 이들 기업에 대한 정치권의 ‘색깔 씌우기’가 자칫 이들 기업의 앞날에 방해가 될까 우려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