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홍영표, 노동시장개혁 주창…“병폐 진단 정확” vs “듣기 좋은 말만”
첫 주자로 나선 홍영표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의 연설은 노동시장 개혁의 필요성을 설파했다는 점에서 주목 받았다.
홍 원내대표는 11일 “노동 시장의 안정성과 유연성을 동시에 높이는 사회적대타협을 반드시 해야 한다”면서 덴마크의 ‘유연 안정성’ 모델을 노사상생의 해법으로 내놨다. 노동운동가 출신으로 국회에서도 환경노동위원장을 지내는 등 국회의원 누구보다 노동현안에 관심과 이해도가 깊은 홍 원내대표가 내놓은 메시지란 점에서 더 눈길을 끌었다. 홍 원내대표는 “고임금을 받는 대기업·공공 부문 정규직 노조가 3년 내지 5년간 임금 인상을 자제하는 결단을 내려줘야 한다”면서 대기업-비정규직 임금 격차를 줄이기 위한 고임금 정규직 노조의 결단도 촉구했다.
홍 원내대표의 연설은 당내에선 호평 받았지만, 야당에선 평이 엇갈렸다. 민주당 한 의원은 “홍 원내대표 연설 후 ‘유연 안정성’에 대한 의원들의 관심이 더 많아졌다”고 했고, 다른 의원은 “홍 원내대표가 ‘보수적’이란 평을 들었던 당 의원들의 목소리에도 귀를 기울인 것 같다”고 평했다.
한국당에선 “노동계 출신 원내대표여서 민주노총의 ‘촛불 청구서’가 남발되고 있는 대한민국 노동현장의 병폐를 정확하게 진단해 다행스럽다”면서도 “민주노총에 끌려 다니지 말고 양보와 동의를 끌어내길 바란다”고 했다. 김현아 한국당 원내대변인은 그러면서도 “국민의 고통에 대한 반성과 사과는 없이 핑계와 변명 그리고 공허한 청사진의 도돌이표로 일관했다”고 총평했다.
나경원 “文, 김정은 수석대변인” 발언에 여야 지도부 윤리위 맞제소 사태
|
나 원내대표는 연설에서 문 대통령과 3당 교섭단체 대표·원내대표 간 7자 회담,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초당적 원탁회의, 권력 분산형 원포인트 개헌 등을 제안했지만, 방점은 문재인 정부 비난에 찍혔다. 연설의 대부분이 정부 비난으로, “헌정 농단 경제정책” “촛불청구서에 휘둘리는 심부름센터” “먹튀·욜로·막장 정권” “기업 자유 뺏는 강탈, 착취 정권” “빅브라더 이은 문브라더” 등 거친 표현이 난무했다. 그 중에서도 문재인 대통령을 ‘김정은 수석대변인’에 빗댄 외신을 인용한 발언에 민주당 의원들이 강하게 반발하면서 연설은 20여분 중단됐고, 본회의장엔 고성과 막말이 오갔다.
나 원내대표 연설은 강력한 여진도 낳았다. 민주당은 13일 나 원내대표가 문 대통령을 모독하고 의원으로서 품위를 위반했다는 이유로 당 소속 의원 전원이 서명해 국회 윤리위에 징계안을 냈다. 한국당도 교섭단체 대표연설을 조직적으로 방해했다는 이유를 들어 민주당의 이해찬 대표, 홍영표 원내대표를 맞제소했다.
|
당에선 지난해 정기국회 때 호평 받았던 연설과 함께 “믿고 듣는 연설”이라고 자찬했지만, 다른 당의 평은 온도차가 있었다. 민주당에선 “민생개혁 입법 아이디어를 제시했다. 김 원내대표의 제안에 공감한다”(강병원 원내대변인)이라고 긍정평가가 나온 데 반해, 한국당에선 “선거제 개편을 위해 패스트트랙 절차를 진행하겠다는 김관영 원내대표의 발언은 ‘민주주의 포기 카르텔’ 동참 선언”(이양수 원내대변인)이라고 날을 세웠다.
일각에선 교섭단체 대표연설의 부작용이 더 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김형준 명지대 교수는 “언로가 막혀있던 1981년에 만들어진 이 제도는 당시엔 면책특권으로 민감한 정치현안을 말할 수 있는 통로였지만, 88년 이후엔 국회 파행의 빌미만 제공하고 있다”며 “이번 연설에서도 각 40분 연설에 나 원내대표의 ‘김정은 수석대변인’ 발언 말곤 기억나는 게 없잖나”라고 꼬집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