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김기덕 원다연 기자] 건설업계는 이번 대책에 대해 시장의 심리적인 위축을 우려하면서도 규제가 예상 가능했던 수준으로 나와 분양 시장에 대한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평가했다.
앞서 16일 부동산 대책 발표를 앞두고 주택도시보증공사(HUG)는 일시적으로 전국의 신규 분양 단지에 대한 분양 보증 업무를 전면 중단했지만 이날 다시 분양 보증 업무를 재개했다. 더불어 이번 대책에 시장에서 우려했던 강남권역의 투기과열지구 지정 등의 규제가 빠진 만큼 향후 분양에 크게 타격은 없을 것이라는 게 업계 전망이다.
중견건설사 관계자는 “전매 제한 규제를 강화하는 것은 그만큼 그 지역의 분양성이 좋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이번 대책은 대체로 예상했던 수준에 그쳐 대책에 따라 분양 일정을 연기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이 관계자는 “전매가 입주 시점까지 묶이면 기존대로라면 5~6개월 만에 완판(100% 계약)될 단지들이 이 기간이 1~2년까지 길어지는 문제가 생긴다”며 “향후 추가 규제에 따라 건설사 보증서 발급이나 중도금 대출 규제가 강화되면 상황이 어려워질 수 있다”고 말했다.
조정대상지역과 연계해 LTV·DTI 규제를 강화했지만 이 역시 기존 예상 수준보다 약하다는 평가도 나왔다. 한 대형건설사 관계자는 이번 대책에 대해 “당초 LTV·DTI 규제를 일괄 환원하는 것으로 예상했는데 이것도 조정대상지역에 한정해 강화한 것 등을 봤을 때 정부가 부동산시장에 신중하고 조심스럽게 접근하고 있는 것 같다”며 “투기과열지구 지정에 따라 조합원 지위 양도를 금지하는 방안까지도 거론됐었는데 대체로 이번 대책의 강도가 약한 수준이라고 판단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 관계자는 “서울과 수도권 지역에서 분양하는 단지에 투기 수요는 줄어들겠지만 부산의 경우에는 전매 제한에 빗겨나 있어 청약 성적에 큰 영향이 없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강남권 재건축 단지에 대한 규제가 약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또 다른 대형건설사 관계자는 “최근 주택시장 과열은 상당 부분 강남권 재건축 단지에서 기인하는 측면이 많은데 재건축 조합원의 주택 공급 수만 제한하는 규제로는 시장에 별다른 충격을 주지 못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전매 제한이 강화되면 청약경쟁률이 떨어질 수는 있겠지만 서울은 새 아파트에 대한 선호현상이 워낙 강하고 실수요층도 두터워 시장에 미칠 영향은 미미할 것 같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