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데일리 장순원 기자] 금융당국은 최근 대규모 손실을 낸 해외금리 연계 파생결합상품(DLF·DLS) 사태와 관련해 엄정대응하기로 했다. 금융에 대한 신뢰를 흔들었다는 이유에서다. 오는 23일부터 합동검사를 진행한 뒤 불완전판매 정도에 따라 금융사에 책임을 묻고 피해자를 구제할 계획이다.
윤석헌 금융감독원장은 23일 서울 우리은행 본점에서 열린 포용적 금융 생태계 조성을 위한 업무 협약식 뒤 기자들과 만나 “(DLF 투자손실은) 은행이 수익 창출을 위해 소비자에게 위험을 전가한 것 아닌가 하는 의문이 있다”며 이런 방침을 밝혔다.
우리은행과 하나은행 등은 금리나 환율 등을 기초자산으로 하는 파생결합증권(DLS)과 파생결합펀드(DLF)를 약 8200억원 어치 판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기초자산인 독일과 영국 등의 국채금리가 갑작스레 하락하면서 원금 손실 구간에 진입한 상태다. 특히 1200억원대 투자금이 몰린 만기 10년 독일 국채 금리 연계형 상품은 투자 손실률이 95%에 이를 것으로 추정했다. 1억을 투자했을 때 500만원 만 겨우 건질 수 있다는 뜻이다.
윤 원장은 은행권의 불완전 판매가능성도 열어뒀다. 그는 “금감원의 분쟁조정진행과정에서 이번 사건을 알았다”면서 “(판매과정에서) 소비자에게 설명이 적절하게 이뤄지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 이어 “사모펀드라도 개인 소비자 보호차원에서 필요한 규정 등을 잘 지켰는지 살펴볼 것”이라며 “추후 사모펀드 운영이나 판매 과정 전반을 짚어볼 계획도 있다”고 덧붙였다.
또 윤 원장은 기대수익과 견줘 지나치게 위험한 상품으로 사기성이 있다는 지적에 대해서 “가능성이 없다고 말할 수 없다”고도 했다.
금감원은 DLF를 포함한 고위험상품의 판매과정에서 경영진의 개입 여부도 철저하게 살펴볼 방침이다. 윤 원장은 “세밀한 내용을 들여다보고 어디까지 책임이 있는지 살펴볼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이번 사태로 사모형상품 시장이나 파생상품 시장 자체가 위축돼서는 안 된다는 입장이다. 고수익을 추구하는 파생상품의 경우 그만큼 위험성 불가피하다는 이유에서다.
최 위원장은 “투자자도 위험이 전혀 없는 고수익상품이 있을 수 없다는 점을 분명히 알 필요가 있다”며 “(DLS와 DLF가) 이번에는 특별한 상황에서 손실이 발생했지만 그렇지 않을 때는 높은 수익을 주는 상품이다. 판매사는 투자자에게 큰 수익을 얻을 기회를 제공한 측면도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