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文대통령 ‘비핵화’ 직접 언급..北美 조정자 역할 주력
문 대통령은 지난 25일 김영철 부위원장을 만난 자리에서 직접 ‘비핵화’를 언급하면서 북·미 대화 주춧돌 쌓기에 전력을 다했다. 미국과 북한의 대화에 ‘북핵’ 문제는 빠질 수 없는 주제다. 문 대통령이 북한 대표단에 비핵화 로드맵을 설명하면서 대화 의제 조율에 나선 셈이다.
이 자리에서 북측 대표단은 별다른 반응 없이 경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비핵화 언급에 별다른 반응이 없었던 것만 하더라도 우리 입장에서는 이득이다. 그간 북한은 북핵 문제는 협상의 대상이 될 수 없다며 강경한 기조를 취해왔다. 문 대통령이 비핵화 로드맵으로 ‘선동결 후폐기’를 주창해왔던 만큼 적어도 ‘북핵 동결’이라는 한미의 의지는 전달한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는 26일에는 정의용 안보실장을 내세워 김영철 부위원장과 오찬을 가졌다. 이 자리에는 남관표 국가안보실 2차장, 천해성 통일부 차관, 이도훈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 등이 참석해 서로의 입장을 주고 받았다. 청와대는 “올림픽 이후에도 한반도의 항구적 평화정착과 지속가능한 남북관계 발전, 국제사회와의 협력이 균형 있게 진전될 수 있도록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北·美 상호 비판 메시지 유지
주한미국 대사관은 26일 “이번 방한 기간 미국 대표단과 북한 인사와의 아무런 접촉도 없었다(no interaction)”고 냉랭한 북·미 관계를 재확인했다. 지난 9일 마이크 펜스 미국 부통령과 북측 고위급 대표단의 회동이 만남 2시간 전에 취소되면서 폐막 기간에 북·미 접촉이 있을 수도 있다는 기대감이 일었지만 주한 미 대사관에서 이를 일축한 것이다. 북한 역시 미국의 대북 제재 모드에 불만을 터뜨렸다. 지난 25일 북한은 외무성 대변인 담화를 통해 미국의 추가 단독 대북제재 조치를 두고 “그 어떤 봉쇄도 우리에 대한 전쟁행위로 간주할 것”이라고 밝혔다. 대화 분위기가 높아지는 만큼 양측의 기싸움 역시 팽팽해지는 모양새다.
우정엽 세종연구소 연구위원은 “김영철의 방남 및 대미 접촉 여부와 ‘비핵화’ 문제는 완전하게 별개의 문제”라며 “미국은 북한이 비핵화에 대한 의지를 드러내기 전까지는 압박 기조를 더욱 공고히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