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글은 그동안 다양한 정책을 통해 거짓 선동 문구가 들어간 악성 광고들에 대한 조치를 해왔다. 기존에도 ‘광고주의 비즈니스, 제품,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은폐하거나 허위 정보를 제공해 사용자를 속이는 광고’도 금지했지만 이번에 좀 더 구체적인 내용을 추가한 것이다.
구글은 거짓 광고를 한 광고주에 대해선 발견 즉시 사전 경고 없이 계정을 정지하고 다시는 구글에서 광고를 할 수 없도록 조치하고 있다. 이번에 정책 변경을 통해 ‘유명인 사칭’을 거짓 광고에 포함시킴에 따라 해당 광고주에 대한 즉각 퇴출 근거를 분명히 했다.
광고주에 대한 신원 확인도 강화했다. 구글은 지난해 11월 ‘잘 알려지지 않은’ 광고주나 ‘신뢰할 만한 과거 내역이 없는’ 광고주에 대해서는 ‘광고주 파악 기간’을 적용해 광고의 도달 범위를 제한하는 정책을 새로 도입했다. 광고주 파악기간 동안 광고주와 광고주 추천 브랜드 간 관계가 불분명한 경우엔 광고 노출을 제한한다. 구글 관계자는 “아직 시행 초기지만 초기 지표상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고 밝혔다.
구글은 올해 한국의 국회의원 총선거, 미국 대선 등 전 세계적으로 굵직굵직한 선거가 진행되는 점을 감안해 선거 관련 가짜뉴스 차단에도 공을 들이고 있다. 광고주에 대해선 신원 검증을 철저하게 하고, 딥페이크 관련 정책을 테크 기업 중 최초로 도입했다.
구글과 달리 스캠 광고가 가장 많이 노출되고 있는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은 여전히 미온적 대처로 일관하고 있다. 운영사인 메타는 캠페인을 펼치겠다고 밝히며 모니터링 강화 외에는 별다른 대책을 내놓지 않고 있다. 유명인들이 모여 기자회견을 통해 대책을 마련했지만 신고를 받고 뒤늦게 조치에 나서는 사후약방문식 대응에 그치고 있는 것이다.
IT업계에선 메타의 의지를 의심하고 있다. 한 글로벌 플랫폼 관계자는 “구글은 물론 한국 플랫폼과 달리 페북·인스타에서만 사칭 광고가 유독 심하다”며 “사칭 광고를 막으려는 정책·기술적 사전조치를 취하고 있는지조차 의문”이라고 꼬집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