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명래 환경부 장관은 22일 서울 중구 세브란스빌딩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이번 그린뉴딜에 구체적인 온실가스 감축 목표가 담기지 않은 것에 대해 이 같은 솔직한 심경을 밝혔다. 조 장관은 이어 “그린뉴딜은 국가 경제와 사회의 체질을 개선할 시작점”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이번 그린뉴딜 사업에 최근 유충으로 문제가 된 고도화 정수장 확대가 담긴 데다, 핵심 과제인 전기차 보급은 보조금이 해마다 줄어들 전망이 포함돼 풀어야 할 과제가 산적했다는 지적이다.
|
지난 14일 정부는 앞으로 5년간 총 73조 4000억원을 투입해 총 65만 9000여 개에 이르는 일자리를 창출할 그린뉴딜 사업을 발표했다. 이번 사업은 경제위기 극복과 함께 코로나19의 근본적인 원인으로 꼽히는 기후위기에 대응하기 위해서 마련됐다. 하지만 발표 직후 환경단체를 중심으로 비판이 쏟아졌다. 73조원라는 대규모 재정을 투입하면서도 기후위기 대응의 핵심인 온실가스 감축 목표도 제시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특히 미국과 유럽 등 선진국에서 추진하고 있는 205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제로(0)’ 수준으로 낮추는 이른바 ‘넷제로’는 ‘지향’이라는 소극적인 표현에 그쳤다.
이후 조 장관은 이번 그린뉴딜 사업에 넷제로 지향이라는 표현을 담은 것도 쉽지 않았다고 심경을 전했다. 지난해 정부 관계자와 민간 전문가로 구성된 포럼에서 2050년까지 온실가스를 최대 75%까지 줄이는 시나리오를 마련하는데도 진통을 겪었기 때문이다. 조 장관은 “시나리오를 만들 때도 넷 제로를 포함하자고 제안했지만 검토가 잘 되지 않았다”며 “시나리오상 재생에너지 60%까지 높이려면 엄청난 재원 필요하고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도 동북아 전체를 커버할 수 있는 규모가 필요해 통제 불가능한 부분도 있었다”고 전했다.
|
이번 그린뉴딜에는 최근 인천 지역을 중심으로 문제가 불거지고 있는 고도화 정수장 12곳 확대도 포함돼 방향을 틀어야 하는 게 아니냐는 지적도 나왔다. 고도화 정수장에 설치된 활성탄지 정수장이 기존 정수장보다 세척하는 주기가 길어 유충이 상대적으로 살기 쉬운 환경을 제공한다는 이유였다. 조석훈 환경부 물이용기획과장은 이날 “인천 부평은 10~20일 주기로 운영했는데 문제가 발생한 상황이지만 30일 주기로 세척하는 곳도 문제없는 곳이 많았다”며 “다만 인천 공촌은 지난해 9월에 준공돼서 처음 맞는 여름에 나타난 문제라 전문가들이 원인조사 진행한 뒤 제도 개선을 추진하겠다”고 전했다.
손 과장은 또 수소를 생산하는데 이산화탄소를 다량을 배출하는 현재의 낮은 수소 생산 기술에 대해 “현재 수소를 생산하는데 화석연료가 들어 상당한 양의 이산화탄소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며 “환경부 자체 원천 기술 개발 계획은 없지만 수소 경제로 나아가기 위한 공동 과제로 보인다”고 전했다.
아울러 조 장관은 이번 그린뉴딜이 지방자치단체의 여건에 맞는 지역 뉴딜과 결합해 진행하는 게 핵심이라고 전했다. 조 장관은 “풍력발전이나 태양광 사업 등 그린뉴딜 사업은 공모사업으로 지역의 참여를 통해서 이뤄지는 사업”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민간 어떻게 참여할 것인가, 지역 어떻게 참여할 것인가, 온실가스 감축할 수 있는 사업 등은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한 질문에 대해 이번 그린뉴딜이 출발점”이라며 “경제발전 계획이 5년마다 6차례 나눠서 추진됐듯 그린뉴딜도 이런 방식으로 추진되길 희망한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