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걸 “어떤 방안도 예외 아냐”
이동걸 회장은 8일 산업은행에서 열린 기자 간담회에서 “대우조선에는 혈세가 더 들어가서는 안 된다는 전제하에 일을 진행하고 있다”고 전제하면서도 “상황이 가변적이지만 (유동성 타개를 위해) 어떠한 선택도 드랍(제외)할 이유는 없다.”고 밝혔다. 그는 특히 “현대상선의 방법도 좋은 예시가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오는 4월 만기가 돌아오는 대우조선 회사채 4400억원 상환과 관련, 현대상선이 조건부 자율협약의 일환으로 진행한 사채권자 집회를 통한 만기상환 유예 등의 채무재조정을 대우조선 해양에 대한 구조조정 방식에서도 적용할 수 있다는 얘기다.
특히 이 같은 발언은 신규자금 지원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겠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져 파장이 일고 있다. 그는 “일정시점에서 (유동성 문제에 대한) 우리 노력(자구 계획, 소난골 드릴십 인도, 비핵심 자산 매각 등)의 결과를 갖고 관계당국과 국회와 논의해서 대안을 찾겠다”며 “어떠한 선택도 예외가 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이는 곧 대우조선 경영상황이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는 반증이다. 당장 불거진 게 ‘4월 위기설’이다. 대우조선은 오는 4월21일 4400억원 규모의 회사채 만기를 시작으로 올해만 9400억원 규모의 만기 회사채를 상환해야 한다. 여기에 앙골라 국영석유회사인 소난골이 유가 하락 등의 여파로 대우조선의 드릴십(이동선 원유시추선)인도를 계속 지연하면서 유동성 압박은 가중되고 있는 상태다. 지난해 1척에 불과했던 수주실적은 올해는 아예 없다.
현실성 크지 않아..“유동성 위기 지속”
하지만 이 회장의 발언으로 대우조선 해양에 대한 신규자금 지원설은 점점 힘을 받게 됐다.
이 회장은 기존 4조2000억원 지원과 관련, “3조5000억원 지원 과정에서 선박 66척이 완공돼 9조원이 국내에 들어왔다”고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그러면서 “올해 대우조선 320억달러(114척)의 남은 수주도 나쁜 상황(법정관리)에서 고철로 팔리면 큰 국가적인 리스크가 된다”고 말해 대우조선을 법정관리 상태로 내몰지는 않겠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김상조 한성대 교수는 “자율협약이든 워크아웃이든 법정관리든 새로운 대우조선의 구조조정 방안을 고민해야 할 시점이 다가오고 있다”며 “결국 (독자생존이 어렵다고 전망했던) 맥킨지 보고서대로 가는 게 아닌가 싶다”고 말했다. 글로벌 컨설팅사 맥킨지는 지난해 대우조선에 대한 컨설팅 초안에서 ‘독자생존이 낮은 대우조선을 매각하거나 분할해 빅3(대우·현대·삼성)를 빅2 체제로 전환해야 한다고 평가한 바 있지만 정부는 이 방안을 받아들이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