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데일리 송승현 기자] 국내 자동차 업계가 모빌리티 산업으로의 전환을 본격화하고 있는 가운데 국회와 정부, 산업계가 모여 머리를 맞댔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가 후원하는 국회 모빌리티포럼이 13일 오후 여의도 이룸센터에서 열렸다. 이날 포럼은 △모빌리티 패러다임 전환과 산업계 영향 △자율주행차 기술동향 및 산업 활성화 방안 등을 주제로 열렸다.
정만기 KAMA 회장은 축사를 통해 “최근 자동차산업은 전기동력차와 자율주행차 위주로 발전하는 등 모빌리티 산업으로 진화하고 있다”며 “소비자 선택권과 혁신생태계를 존중하면서 새로운 제도 기반 마련에 소극적이어선 안된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모빌리티 산업의 성장을 위해 AI와 빅데이터 활용 기술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국회의 협조를 당부했다.
코로나19 확산 후 가속화 모빌리티‥“규제 완화로 혁신 일으켜야”
가장 가까운 변화상은 코로나19로 인한 대중교통 기피 현상이다. 실제 코로나19 확산 이후 감소한 대중교통 이용량이 감소한 반면, 서울시가 운영하는 공유 자전거 따릉이는 올해 1~4월까지 전년 동기 대비 57%가 증가했다. 소유보다 공유의 개념이 더 늘어난 것이다. 최 교수는 “대중교통과 달리 불특정 다수의 사람과 접촉할 일이 적어 전염 가능성이 낮은 공유 서비스의 수요가 증가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 교수는 모빌리티 형태의 변화를 2단계로 구분 한 뒤 현재 산업 단계는 내연기관, 전기차와 같은 정형화 된 모빌리티가 주를 이루는 단계에서 도심 항공모빌리티(UAM), 목적기반 모틸리티(PBV) 등 새로운 형태의 모빌리티로의 전환기에 있디고 덧붙였다. 이어 “국내 자동차 업계가 모빌리티 산업을 발전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기술에 대해서 규제 완화가 필요하다”며 “이를 위해 국회가 힘을 모아야 한다”고 말했다.
현대차 “모빌리티 총체적 관점서 접근‥규제 혁신 필요해”
주제별 발표 이후 모빌리티 패러다임 전환에 따른 산업 영향과 자율주행차 산업 활성화 방안 토론에서는 각계각층의 참석자들이 정부의 적극적 지원을 호소하고 나섰다.
이날 토론에 참석한 문희창 언맨드솔류션 대표 역시 “자율주행모빌리티 제품은 고객의 수요를 반영해 제작하기 때문에 다품종 소량생산방법이 적합할 것으로 보인다”며 “ 결국 지역 중심 업체의 성장이 중요한데도 정부 지원 및 육성 정책이 있는지 의문이 든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부처 대표로 참석한 박재영 산업통상자원부 제조산업정책관은 “정부 정책은 친환경차, 자율주행차, 도심항공 육성 등에 맞춰져 있다”며 “업계와 수시로 소통하면서 산업 경쟁력 제고하는 방법으로 전략을 수립하겠다”고 답변했다.
한편 현재 여·야 총 56명의 국회의원으로 구성된 국회 모빌리티포럼은 권성동·이원욱 의원이 공동대표를, 윤한홍·홍성국 의원이 연구책임의원을 맡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