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군 복무 대신에 경찰의 업무 보조 역할을 의경제도는 1982년 제도가 도입됐고, 노무현 정부 시절 병역자원 감소 등을 이유로 전환복무제 폐지 논의가 시작되면서 의경도 폐지 수순을 밟았다. 2018년부터 해마다 20%씩 감축된 끝에 2021년 6월 마지막으로 선발된 의경이 올해 5월 전역하면서 의경은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경찰청은 국방부 등 관계부처와 협의해 모집인원을 확정하고 선발방법과 지원요건 등 모집절차를 다시 마련할 방침이다. 신속대응팀 3500명, 주요 대도시 거점에 배치될 4000명 등 7500∼8000명 정도 규모의 의경을 순차적으로 채용해 운용할 예정이다. 경찰의 계획대로라면 이 같은 의경 배치는 7~9개월이 소요될 전망이다. 의무경찰대법이 아직 남아 있기 때문에 모집 및 운용에 대한 법적 절차는 문제가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전문가들은 의경 부활 및 치안 효과에 대해 반신반의한 입장이다. 김상운 대구가톨릭대 경찰행정학과 교수는 “의경이 경찰 치안을 보조하기 때문에 집회 시위 때 경비를 서거나 야간 순찰을 도는 식으로 치안에 도움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지속성은 낮을 것 같다”며 “문제는 관리직급은 많은데 순경이나 경장 등 하위 계급은 적어 실제로 필드에서 뛰는 인력이 부족하는 것이다. 당장 시민의 치안을 위해 일 할 수 있는 사람을 늘려야 한다”고 말했다. 곽대경 동국대 경찰행정학과 교수도 “당장 범죄 피해가 있으니 (의경을 통해) 감시를 늘리고, 경찰 가시성을 높여서 국민 불안을 낮추는 것도 필요하다”면서도 “의경을 늘린다고 범죄가 갑자기 줄어들겠나. 두터운 사회복지와 안전망 등 중장기적 대책이 함께 논의돼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