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일성 유훈은 헌법보다 상위..유훈 통한 비핵화 입장 표명?
북·미 대화를 놓고 북한과 미국의 입장차는 명확하다. 북한은 ‘비핵화’ 언급에 대해서는 신경질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고 미국은 ‘비핵화’가 전제되지 않은 대화에 대해서는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고 있다. 서로 문턱을 낮춰 대화의 입구까지 들어오게 만드는 것이 우리 정부가 맡은 핵심 역할이다.
문제는 김 위원장이 모순적 상황에 처했다는 점에 있다. 2017년까지 핵개발 일변도로 내부적 결속을 다져오던 김 위원장이 대화 국면에 들어서자마자 ‘비핵화’와 같은 전향적 입장을 내놓기는 어렵다. 그렇다고 핵개발 완성 선언을 한 시점에서 북핵·미사일 도발을 이어가는 것도 부담이다.
일각에서는 우리 정부가 바라는 핵동결이나 혹은 북핵·미사일 도발 중단(모라토리움) 등의 메시지를 기대하고 있지만 이마저도 가능성은 낮다. 신범철 국립외교원 교수는 “모라토리엄 선언조차도 받아내기 쉽지 않다”고 예상했다.
대북 특사의 경험이 있는 정동영 민주평화당 의원은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북한에서 김일성 주석의 유훈은 헌법보다 상위에 있는 개념”이라며 “만일 이 언급(유훈)을 다시 이끌어낸다면 북미대화로 가는 다리를 놓게 되는 것”이라고 조언했다. 정 의원과 함께 방북했던 인사가 다시금 평양을 찾는 서훈 국가정보원장이다.
|
김정은, 南당국자와 첫 대면..또다른 유화 선물 가능성은?
김 위원장은 2018년 들어 신년사를 통해 남북 교류 가능성을 열었으며 실제로 남측에 여동생인 ‘백두혈통’ 김여정 노동당 중앙위원회 제1부부장을 내려보내는 등 과감한 면모를 보였다. 의외로 명확한 ‘기브 앤 테이크’가 이뤄질 가능성도 엿보인다.
자신을 처음 만나러 온 대북 특사단에 ‘통큰 선물’도 가늠해볼 수 있는 이유다. 더욱이 남북은 물론, 미국마저도 이번 만남에 관심을 기울이는 상황에서 억류 미국인에 대한 전격적인 석방 가능성도 제기된다. 이보다 더 명확한 유화 메시지는 없는 셈이다.
청와대는 일단 이 같은 일각의 견해에 대해 “그것은 방북 주제가 아니다”라고 부인했지만 “그 문제를 논의 안 한다고 100% 장담할 수는 없다. 가서 무슨 상황이 벌어질지 모른다”고도 여지를 남겼다. 우리가 먼저 제안할 만한 주제가 아니지만 북측이 제안할 가능성도 있다는 의미로 읽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