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제를 맡은 김영식 서원대 경찰행정학과 교수는 경찰공무원과 일반직 공무원의 비대칭이 수사 전문성과 업무 효율을 키우는 데 걸림돌로 작용한다고 진단했다. 김 교수는 “외국 경찰은 행정업무와 법 집행 업무를 명확히 구분하고 있다”며 “경찰의 전문화와 과학화를 위해 일반직 인력을 확충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경찰청 소속 공무원의 95.8%는 경찰 공무원이고 일반직 공무원은 4.2%”라며 “일반직 공무원이 맡아야 할 사무보조와 연구 등을 맡는 인력 비율이 4.2%에 불과하다는 것은 비정상적”이라고 평가했다.
OECD 주요 선진국은 현장 경찰의 치안 업무를 보조하는 일반직 공무원 비율이 한국보다 높다. 지난해 10월 미국 연방수사국 범죄통계에 따르면 미국은 경찰조직 내 현장 경찰과 일반직 공무원의 비율이 7 대 3이다. 영국은 경찰 공무원의 37%가 일반직 공무원이고 호주와 캐나다는 각각 28%와 29%씩 행정 업무를 위한 공무원을 두고 있다.
경찰 공무원은 2017년 6월 11만 6914명에서 지난해 11월 13만 2780명으로 13.5%(1만 5866명) 증가했다. 하지만 지구대·파출소 등 현장 치안인력의 비율은 같은 기간에 39.1%에서 37%로 감소했다.
민관기 전국경찰직협의회 위원장은 “인력 재배치로 전문성을 강화하겠다는 취지에 동의한다”면서도 “근무환경 개선이 선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수도권을 포함한 여러 지역은 좁은 파출소와 열악한 휴식공간 때문에 경찰들이 쉬지 못한다”며 “이런 기본적인 환경이 개선되지 않는 한 조직의 체질개선과 인력 재배치는 내부 갈등과 불만을 낳을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