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디지털 뉴딜의 백본이 되는 5G와 클라우드를 키우기 위해 이번 3차 추경에 관련 예산을 편성했다. 특히 5G는 상용 서비스 1년만에 가입자 600만 명을 돌파했으나 5G 신규 서비스나 기업용 서비스를 위한 비즈니스모델(BM)이 부족한 상황에서 정부·공공분야 시범 사업을 진행해 시장에 마중물을 붓기로 했다.
3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3차 추경 중 과기정통부 소관은 총 8925억원인데, 이중 5G 관련 예산이 망구축(100억원)·융합서비스(400억원)·콘텐츠(VR·AR, 200억원)만 700억원이다. 클라우드 중소기업 바우처 지원 등의 예산 343억원도 별도로 편성됐다.
이번 추경에서 가장 큰 비중은 AI 학습용 데이터 구축 2925억이지만, 지난해 세계 최초 상용화이후 다소 주춤한 5G에도 상당한 추경이 투입돼 관심이다.
정부망 유선에서 5G로..5G 융합서비스 선도
MEC는 통신망의 데이터를 중앙 서버까지 전송하지 않고 서비스 현장에서 처리하는 기술로 ‘5G 로컬 서비스 허브’로 기능한다. 과기정통부는 국민적 관심이 높은 서비스, 비대면 서비스, 산업적 파급 효과가 큰 서비스 모델을 중심으로 시범 사업을 추진하되, 5G장비·MEC 장비·관련 디바이스 등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인프라 구축과 병행 추진키로 했다.
|
학교망 통합은 와이파이로..클라우드 활성화도 지원
하지만 전국 38만 개 교실을 대상으로 고도화를 추진중인 학교망 고도화는 와이파이 쪽으로 검토 중이다. 그래서 이번 추경에서 빠졌다. 와이파이로 할 경우 7~8000억원이면 전국 고도화가 가능하고 또 단말기 가격도 저렴하기 때문이다.
장 차관은 “학교망 고도화는 정부 전체적으로 중요하게 본다. 오늘 계획에는 빠져있는데, 전국 38만 개 교실을 대상으로 고도화를 준비중이다. 구체적인 방식은 5G보다는 와이파이 쪽으로 적극 검토 중이다. 교육부와 협의 중”이라고 말했다.
이번 계획에는 비대면 서비스의 백본격인 클라우드 관련 추경도 포함됐다. 과기정통부는 343억원을 들여 제조·유통·물류 등 산업별로 필요한 핵심 클라우드 서비스를 개발·보급하고, 중소기업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클라우드 도입 컨설팅과 바우처(400개 기업)를 지원키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