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김기덕 기자] 약 800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광화문 한복판에서 공사를 진행 중인 새 광화문 광장의 완공 시기가 또다시 미뤄졌다. 오세훈 서울시장이 전임 시장 때부터 시작한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사업을 이어받아 내년 4월에 전면 개장하겠다는 목표를 세웠지만 결국 내년 하반기 이후에나 새 광장에 첫발을 들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내년 시행 예정인 중대재해처벌법 때문에 공사가 늦어졌다는 분석이다. 이처럼 공사가 장기화하자 사업비 증액은 물론 우회도로 신설 등으로 주변 교통 혼잡은 이어질 전망이다.
| 새로운 광화문광장 조감도.(사진=서울시) |
|
29일 서울시에 따르면 시는 새로운 광화문광장 남측에 조성하는 민주광장을 내년 7월까지 조성하고 북측에 설치하는 역사광장에 대해서는 내년 9월까지 마칠 계획이다. 시는 지난해 11월 광화문광장 착공에 들어가 올 10월 완공을 목표로 공사를 진행했지만 오 시장이 부임 후 역사성과 완성도를 높이겠다고 선언하며 내년 4월로 개장 시기를 한 차례 미룬 바 있다.
현재 광화문광장 공정률(12월 24일 기준)은 약 62%. 이번에 또다시 광장 완공시기기 늦춰진 이유는 중대재해처벌법이 결정적인 영향을 끼쳤다는 분석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중대재해처벌법 시행을 앞두고 근로자들의 안전 문제와 권리 보장을 위해 시공사가 전 구역 현장 근무자에게 휴일에 휴식을 보장하고 적정 공사기간 메뉴얼을 적용한 탓에 자연스럽게 개장이 늦어지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변경한 발전·보완 설계 계획에 따라 광화문 앞 월대 복원을 위해 우회도로를 만드는 등 내년 사직로 일대에서 도로 선형 작업도 진행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앞서 지난 6월 오 시장은 고 박원순 전 서울시장부터 추진했던 광화문 광장 조성 공사를 중지하지 않고 기존 안을 보완·발전시켜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당시 새 광장 사업성을 둘러싸고 찬반 의견이 팽팽한 상황이었지만 이미 공사가 진행한 것을 복원하려면 매몰 비용만 수백억원 이상 드는데다 장기간 광장 사용이 어려워질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오 시장은 공사를 이어가되 문화재 복원 등 역사성을 대폭 강화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기존 광화문 광장 공사 과정에서 발굴된 문화재인 사헌부 터(조선시대 관리감찰 관청)는 문지, 우물, 배수로 등 유구 일부와 함께 발굴된 모습 그대로 보존하기로 했다. 삼군부 터(군사업무 총괄 관청)와 형조 터 등도 보존한다. 특히 광화문 앞 사직로의 기능을 유지하면서 길이 50m, 폭 30m의 월대와 해치상을 복원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월대·해치상 복원은 내년 사직도 도로를 일부 변경하고 추가로 문화재청과 발굴 조사를 협업해야 하기 때문에 오는 2023년까지 공사를 완료할 예정이다.
이처럼 공사 설계 변경, 인건비 부담 등으로 공사비가 기존 책정한 사업비(791억원)를 넘어서게 될 전망이다. 또 광화문 월대 복원 등으로 주변 도로 선형이 바뀌면서 교통 혼잡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 광화문광장 월대 복원시 배치도 및 조감도(자료=서울시) |
|
이에 따라 시는 광화문 삼거리에서 세종대로 방향으로 우회전 차로를 1개 차선 더 추가하고 공사 영향권에 있는 교차로 신호를 교통량에 맞게 단계적으로 조정하기로 했다. 서울경찰청과도 협의해 교통영향평가 변경 계획, 교통안전시설 심의 등 강화된 교통대책을 수립할 계획이다. 아울러 시는 광화문~서울역~용산~한강으로 이어지는 ‘국가상징거리’ 조성을 위한 용역에도 착수했다. 도시디자인공장 등 3개사가 공동으로 기본계획 수립을 위해 내년 8월까지 용역 작업을 마무리할 예정이다. 총 길이 7㎞로 이어지는 이 거리는 보행과 역사·문화, 스마트공간이 어우러진 서울의 대표 공간이자 중장기적으로 용산 마스터플랜, 오세훈 표 ‘한강르네상스 시즌2’와 연계할 수 있는 초대형 프로젝트로 평가받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국가상징거리를 조성하면 광화문은 물론 서울역~남영~용산으로 이어지는 도심 지형도가 크게 재편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용산 국가공원과 용산 절도정비창 개발, 미 대사관 용산 이전도 이와 무방하지 않다”고 말했다.
| 광화문광장 남측 시민광장 조감도.(자료=서울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