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나라 로봇밀집도의 연평균 증가 규모 역시 주요국들에 비해 큰 편이다. 우리나라의 2000~2007년 중 로봇밀집도 연평균 증가 대수는 1.26대였으나 2010~2018년 중에는 연평균 5.28대로 확대됐다. 이는 같은 기간 일본(0.07 → 0.12), 미국(0.9 → 0.93), 독일(1.09 → 0.89), 대만(0.68 → 1.5) 등 주요국에 비해 큰 폭으로 증가한 것이다.
이렇듯 2008년 이후 국내 산업에서 빠르게 증가한 로봇은 해당 산업의 종사자를 대체하면서 실질임금 상승을 제약하는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보고서에 따르면 2010~2018년 중 로봇침투도 1단위 상승시 해당 산업의 종사자수 증가율은 약 0.1%p, 실질임금 상승률은 약 0.3%p 낮아진 것으로 분석된다.
김용복 한국은행 경제연구원 거시경제연구실 실장은 “금융위기 이후 로봇침투도가 1단위 상승할 경우 종사자수 증가율이 0.11~0.12%p 하락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면서 “연구 모형의 특성상 구체적인 수치는 도출할 수 없지만, 부가가치의 변동 없이 종사자 1000명당 로봇이 1대 추가로 증가할 경우 해당 산업의 종사자수 증가율이 0.1%p 정도 하락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세계적으로도 자동차(40.5%, 2018년 기준), 전기·전자(18.1%) 산업의 로봇 점유 비중이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반도체·OLED 부문의 로봇 점유 비중(10.4%)은 우리나라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았다.
|
이러한 업종은 상대적으로 노동보상비용이 높고 일부 업종은 업무단순성도 높아 로봇 활용 유인이 큰 것으로 평가된다. 실제로 자동차 산업의 로봇침투도는 2010~2018년 중 연평균 6.3단위 상승했으나, 식료품, 섬유 산업은 각각 0.05, 0.001단위 상승하는 것에 그쳤다.
보고서는 향후에도 로봇공학, AI, ICT 등 기술발전으로 로봇의 역할이 꾸준히 확대될 것으로 예상했다. 특히, 코로나19 이후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로봇 보급도 더욱 빠르게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김용복 실장은 “로봇의 산업 분야 노동력 대체가 코로나19를 기점으로 빨라질 것으로 보인다”면서 “일자리 확대를 위해서는 로봇 보급으로 인한 생산성 증대가 업무 창출로 이어질 수 있도록 새로운 고부가가치 산업을 적극 발굴하면서 부문간 노동이동(sectoral labor mobility)을 높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