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환경·사회·지배구조(ESG) 전문가들이 최근의 기후변화 흐름에 대응하기 위해 기업들의 전사적 거버넌스 확립이 중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기후변화가 기업의 미래 가치를 결정하는 요소로 자리잡고 있는만큼 리스크 관리뿐만 아니라 비즈니스 기회 창출 차원에서도 더 많은 고민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다.
고순현 에코앤파트너스 상무는 14일 오전 서울 중구 통일로 KG타워에서 열린 ‘이데일리-지평 제2회 ESG 인사이트-ESG 핵심특강 환경편’에서 주제발표를 통해 “전 세계적으로 ESG 열풍에 가깝다”며 “기업들은 이같은 변화가 어떤 리스크 요인이 될지 인식하는 것에서 나아가 조직의 프로세스 수립과 행동변화로 어떻게 실현해 나갈지가 중요해졌다”고 말했다.
실제 전 세계는 기후변화에 빠르게 대응하고 있다. 유럽연합(EU)이 오는 2023년부터 도입하는 탄소국경세(탄소배출 다량 국가에 부과되는 세금)가 대표적이다. 이날 ‘환경규제 및 입법’ 관련 주제 발표에 나선 송경훈 법무법인 지평 변호사는 “탄소국경세가 본격 시행되면 2030년에는 우리 기업들이 1조8700억원의 추가 관세를 부담해야 한다”며 “철강, 석유화학, 이차전지, 자동차, 조선 등 수출산업 전반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지적했다.
송 변호사는 이 같은 환경규제를 위기가 아닌 기회로 인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환경규제를 둘러싼 상황을 기회로 만든 사례도 많다. 전기차가 대표적”이라면서 “화장품 업체나 세제 업체들이 리필 사업을 속속 추진하는 것도 위기를 기회로 만드는 일환”이라고 제시했다.
김종대 인하대 녹색금융특성화대학원 주임교수도 “투자에 따른 비용이나 시간 등을 고려할 때 결국 ESG에서도 환경→사회→ 지배구조 순으로 (기업이) 집중하게 될 것”이라며 “국내 기업들이 환경을 통해 가치 증대에 나서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