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ST(총장 정무영)는 26일 오전11시 제4공학관(110동) N107호에서 ‘폭염연구센터(Heatwave Research Center)’ 개소식을 개최했다.
폭염연구센터는 기상청 기상·지진씨앗(See-At)기술개발 사업에서 지원하는 특이기상연구센터 중 하나로 폭염 발생의 과학적 원리를 밝히고, 폭염 예보 원천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설립됐다.
이 센터는 앞으로 9년간 45억 원을 지원 받으며, 폭염 예측 기술을 개발하고 예보기술 전문인력을 양성할 예정이다. 또 폭염 피해를 줄이는 정책을 마련하는 데 필요한 과학적인 자료 제공도 수행하게 된다.
|
지난 42년(1973~2014년) 동안 우리나라의 폭염은 주로 6~8월에 집중됐다. 하지만 최근에는 5월과 9월에도 폭염이 잦아지며 인명이나 재산 피해도 늘고 있다. 2011년 9월의 늦더위는 대규모 정전 사태로 이어졌고, 2016년 5월 평균기온은 1973년 이래 최고치를 보였다.
|
그러나 이 모델만으로는 폭염과 같은 특이기상에 대한 장기적인 예측이 어려워 3일 이후에는 실용적인 수준의 예보가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연구센터는 수년간 기상청이 사용해온 수치 모델을 기반으로 단기예측(3일 이내)과 중기예측(3일~2주) 정확도 향상에 주력한다.
동시에 기후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예보 기법도 개발할 계획이다. 인공지능을 일기예보에 도입해 도시 규모의 폭염까지도 예측 가능하도록 하고, 고해상도 전산유체역학 모델링을 활용해 현재 수치예보 기술의 한계를 넘어서려는 것이다.
이 센터장은 “기후변화가 심해지면서 일상적인 날씨 예측보다 폭염과 열대야 같은 위험한 기상 상황을 정확히 예측하는 방향으로 예보 패러다임이 바뀌어야 한다”며 “인공지능 기술을 수치예보와 위성자료에 도입한 ‘융합 예보기술’을 확보하면 기상재해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편 폭염연구센터는 UNIST를 비롯해 경북대와 GIST, 전남대, 부경대 연구진도 참여한다. 단기예측 연구는 민기홍 경북대 교수와 차동현 UNIST 교수가 주도하며, 중기예측 연구는 이명인 센터장이 담당한다. 폭염의 장기 변동성 진단 및 미래변화 연구는 윤진호 GIST 교수와 정지훈 전남대 교수가 진행하며, 도시융복합 연구는 김재진 부경대 교수와 임정호 UNIST 교수가 맡을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