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서 박 대통령은 전날(14일) 대변인 명의의 논평을 통해 “20대 국회가 민생을 챙기고 국민을 위해 일하는 새로운 국회가 되기를 바란다. 국민의 이러한 요구가 나타난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며 단 두 줄짜리 입장 표명을 간접적으로 한 바 있으나, 여권 내부에서조차 청와대의 반응치고는 다소 미흡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돼왔다.
청와대가 총선 직후 ‘여소야대’ 정국에 걸맞은 새 국정기조를 고심해왔고, 나아가 당·청, 대야(對野) 관계에 대한 관계 재설정을 위한 새 돌파구 찾기에 돌입했던 만큼 박 대통령도 이런 변화의 필요성을 일부 받아들일 공산이 크다. 당장 ‘주도권’을 쥔 야권이 박근혜 정부의 경제정책을 넘어 외교·안보 정책에서도 대대적인 변화를 요구할 가능성이 크다는 점에서다. 따라서 20대 국회에서 국정운영의 가속도를 낼 수 있는 새 국정방향을 제시할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노동·공공·교육·금융 등 4대 구조개혁과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서비스법) 처리 등을 통한 경제활성화 등 핵심 국정아젠다에 대한 방향 선회는 없을 것이라는 게 청와대 관계자들의 전언이다.
청와대는 의회 권력 주도권 탈환을 위한 새누리당의 유승민·주호영 의원 등 탈당파 무소속 당선인에 대한 복당 허용 결정에 대해서도 반응을 내놓지 않고 있다. 복당 문제를 포함한 총선참패 관련 수습조치 역시 전적으로 당이 알아서 해결해야 할 몫으로 보고 있는 것이다. 청와대가 당내 문제에 개입하는 모양새로 비치거나, 자칫 ‘네 탓’ 공방 등에 휘말릴 경우 향후 정국수습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판단도 깔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