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는 2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비상경제중앙대책본부회의 겸 한국판뉴딜 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1차 친환경선박 기본계획을 확정했다.
전 세계적인 환경규제 강화 속에서 조선·해운시장 역시 유류선박에서 친환경 선박 체계로 전환 중이다. 우리나라도 이 같은 패러다임 변화에 발맞춰 이번 기본계획을 마련하고 ‘2030 그린쉽-K 추진전략’으로 명명했다.
정부는 이번 전략에 따라 미래 친환경선박 선도기술 개발을 체계적으로 지원한다. 핵심기자재 기술 국산화·고도화와 함께 저탄소선박·무탄소선박 기술에 나선다.
이를 통해 2030년까지 기존 유류선박 대비 온실가스 배출량을 70% 이상 저감할 수 있는 기술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2022년부터 2031년까지 9500억원 규모의 친환경 선박 전주기 혁신 기술 개발 사업을 추진 예정이다.
소형 시작으로 자체 친환경선박 구축 나선다
아울러 친환경 소형 연안선박을 건조해 시범운항 후 기술성·경제성 검증을 거쳐 대형선박까지 확산할 계획이다. 2022년까지 LNG 벙커링 전용선을, 2025년까지 LNG-암모니아 혼합연료 추진선박 등 친환경 신기술 선박 10척 이상을 시범건조할 방침이다.
전체 대상선박 3542척 중 15%에 해당하는 528척을 친환경선박으로 전환한다.
|
민간선박에 대해서도 유·도선 및 여객성 등 내항선박 58척과 화물선 등 외항선박 82척의 친환경선박 전환을 지원한다.
정부는 친환경선박 전환을 통해 2030년까지 4조9000억원의 매출과 11조원의 생산유발, 4만여 명의 고용 창출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친환경선박 인프라도 확충한다. LNG벙커링 선박 운영, 육상 터미널 구축 등 LNG 연료 공급 수단을 다변화한다. 또 접안선박의 육상전원공급장치인 AMP를 소형 전기·하이브리드 선박의 고속 충전설비로 활용하고 보급을 확대할 예정이다.
정부는 친환경선박 시장주도 생태계를 조성을 위해 친환경선박·기자재 국가 인증제도 등을 운영해 사업자 선정 시 가산점 부여, 인증 받은 기술의 국제 표준화 등을 지원할 예정이다.
또 실제 친환경선박 운항정보를 바탕으로 온실가스 및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을 분석·검증해 선박의 원격진단과 예측정비 등이 가능한 지원센터를 구축해 안전운항 기반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이번 기본계획을 통해 2030년까지 1조3000억원의 환경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구체적으로 약 40만t의 온실가스, 약 3000t의 미세먼지 감축이 가능하다고 보고 있다.
박준영 해수부 차관은 “2030년까진 온실가스 감축 기반조성을 위한 준비기간으로서 감축량이 많지는 않지만 그 이후 친환경선박 기술개발 및 보급의 효과가 본격적으로 나타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국제사회의 책임 있는 국가의 의무로서 친환경 선박 전환은 피할 수 없다”며 “이번 기본계획을 계기로 2050 탄소중립 실현과 지속가능한 해운·조선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