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경배 경희사이버대 문화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는 10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정보화진흥원 주관으로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디지털 포용 컨퍼런스에서 “혁신이 없는 포용이나 그저 포용만 하겠다는 건 모두 무의미하다. 또 포용을 배제한 채 혁신만 주장하는 건 무책임하고 무자비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혁신을 둘러싼 우리 사회의 논쟁을 보면 혁신적 포용이라는 말이 무색하게 혁신과 포용이 분리·대립·갈등하고 있는 것처럼 다가가고 있다”며 “논쟁을 지켜보는 사람들 중에서도 알게 모르게 한 편의 입장에 서서 ‘혁신과 포용 중 무엇이 중요하냐’의 논쟁에 참여하며 양립적 인식체계가 고착화되고 있는 것 같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포용과 혁신이 이렇게 대립되고 분리돼 있는 것이냐”고 반문하며 “포용과 혁신을 ‘혁신적 포용’로 아우를 수 있는 화학결합이 가능한 방안에 대한 많은 고민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혁신 지연 식의 포용이 아니라 혁신을 통해 낙오되는 사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전략, 포용을 위한 혁신을 모색할 방법에 대해 우리 사회가 앞으로 구체적 고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문정 카이스트 정책대학원 교수는 ‘디지털 원주민’과 ‘디지털 이주민’의 개념을 끌어들여 디지털 혁신에서도 ‘유니버설 디자인(보편적 디자인)’ 개념이 적용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디지털 혁신도 대부분 자본의 논리도 돌아간다. 실제로 효율의 논리 속에서 종이통장이 사라지고, 기차표 등도 무인화로 전환됐다”며 “디지털 정보 격차는 시대가 흐르면 자연스레 줄어들게 되지만, 종이통장을 60세 이상에겐 무료로 만들어주는 것과 같은 배려가 다른 영역에서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최 교수는 “지금의 디지털 환경은 노인이나 장애인을 자연스레 배제하는 구조다. 디지털 환경이 젊은 사람의 문화에서 비장애인이 환경을 만든 것”이라며 “구축된 환경을 수리하려면 어마어마한 비용이 들지만 처음부터 시작하면 많은 비용이 들지 않는다. 인프라를 만들 때부터 유니버설 디자인으로 해야 장기적으로도 혁신적 포용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