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는 10일 서울청사에서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혁신성장 빅3 추진회의를 열고 차량용 반도체 단기 수급 대응 및 산업역량 강화 전략을 확정했다. 홍 부총리는 “차량용 반도체가 자동차산업의 핵심부품이고 미래차 전환으로 수요도 급증하고 있어 단기적 수급불안 해소와 함께 중장기 공급망 개선과 시장선점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현재 차량의 전장시스템 전반을 제어하는 반도체인 MCU(전장시스템 제어칩)의 전 세계적인 공급 부족으로 글로벌 주요 완성차 업체들의 생산차질이 발생하고 있다.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은 1분기에만 최대 100만대의 생산차질이 빚으며 최대 610억 달러(약 69조 4000억원)의 피해를 입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는 예상보다 빠르게 회복하고 있는 자동차 수요에 더해 미국 한파에 따른 반도체 공장 가동 중단 등이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또 전 세계적인 반도체 수요 증가로 차량용 반도체 생산시설이 부족한 점도 영향을 미쳤다. 업계에선 최소 3분기까지 수급 차질이 지속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글로벌 시장 380억 달러 수준…국내기업 관심 떨어져
이는 개발이 어렵지만 수익성이 낮은 차량용 반도체 산업의 특성에 기인한 것이다. 공정 구축에 수조원이 필요하지만 지난해 기준 글로벌 시장규모는 380억 달러(약 43조원)에 불과하다. 수익성도 스마트폰·PC 등 다른 반도체보다 떨어진다. 더구나 자동차에 탑재되는 부품 특성상 다른 반도체에 비해 높은 품질을 요구하는 점도 반도체업체들이 차량용 반도체 생산을 회피하는 이유로 지목된다.
|
생산역량 확보 총력…“파운드리 증설시 획기적 우대지원”
기술개발과 함께 생산역량 확보도 나선다. 차세대 반도체 수요에 적기 대응하기 위해 국내 파운드리 투자 지원을 강화한다. 이를 위해 삼성전자 등 파운드리 업체와의 협의를 통해 올해 상반기 내에 구체적인 투자지원 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홍 부총리는 “기업이 차량용반도체 생산 관련 파운드리 증설 추진할 경우 획기적인 우대지원 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공급기업인 반도체업계와 수요기업인 자동차업계 간 협의채널도 구축한다. 이를 통해 국내 자체적으로 자동차 반도체 수급 불균형 해소가 일정 부분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홍 부총리는 “협력채널을 정례화하고 수요연계형 기술개발을 위한 온라인 매칭 플랫폼도 이달 중으로 신속 구축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단기적 수급불안 대응에도 나서기로 했다. 민관 협력채널을 통해 해외 반도체 기업 등과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 또 단기간 내에 대체공급 가능한 차량용 반도체 긴급발굴해 신속한 사업화를 유도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