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일 통계청이 발표한 6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는 전년 동월 대비 2.4% 올랐다. 4월(2.3%)·5월(2.6%)에 이어 3개월 연속 2%대 상승이다. 2분기 소비자물가 상승폭은 2.5%로 2012년 1분기(3%) 이후 가장 높았다.
물가의 기조적인 흐름을 나타내는 근원물가(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지수)는 1.2% 올라 3개월 연속 1%대 상승세를 나타냈다. 계절적 요인을 나타내는 품목 등을 뺀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지수는 1.5% 올랐다. 구입 빈도가 높고 지출 비중이 높아 가격 변동을 민감하게 느끼는 품목으로 구성한 생활물가지수는 3.0%, 신선식품지수는 10.3% 각각 올랐다. 신선과실이 22.2%, 신선채소 5.6%, 신선어개(생선·해산물) 0.7% 각각 상승했다. 자가주거비포함지수는 2.2% 올랐다.
농축수산물 6개월 연속 10%대 상승
지출목적별로는 교통(8.3%), 식료품·비주류음료(6.5%), 음식·숙박(2.2%), 기타 상품·서비스(1.8%), 가정용품·가사서비스(1.4%), 주택·수도·전기·연료(1.2%), 오락·문화(0.8%), 보건(0.7%), 주류·담배(0.5%), 의류·신발(0.2%) 등이 오르고 통신(-2.3%), 교육(-0.7%)은 내렸다.
품목별로는 달걀(54.9%), 마늘(48.7%), 고춧가루(35.0%), 경유(22.4%), 휘발유(19.8%), 국제항공료(14.4%), 참외(14.1%), 보험서비스료(9.6%), 침대(7.6%), 공동주택관리비(6.9%), 국산쇠고기(7.1%), 돼지고기(6.2%), 빵(5.9%) 등이 상승했다.
|
전문가 “유동성 조절 일정 부분 필요”
다만 백신접종 확대로 소비심리가 빠르게 개선되고 있고 정부의 대규모 소비진작책까지 더해져 물가 상승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아울러 국가 원자재 가격 상승도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내다봤다. 정부는 이 같은 상방리스크를 고려해 품목별, 시기별 맞춤형 대응방안을 마련해 연간 물가 상승률을 2% 이내에서 관리하겠다는 구상이다.
이억원 기획재정부 1차관은 이날 물가관계차관회의에서 “농축수산물 정부 비축물량 적기 방출, 계란 추가 수입 등을 추진하고 안정적 추석 물가 유지를 위해 성수품 관리방안도 미리 준비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공공요금의 경우 물가여건과 국제유가 등을 감안해 관리하고 하절기 피서지 물가안정대책 추진을 통해 바가지요금을 근절하는 등 서비스물가 안정에도 적극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다만 이 같은 정부의 물가관리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과 교수는 “기저효과를 감안하더라도 인플레이션 위험이 커지고 있는 모습”이라며 “유동성 조절이 일정 부분 필요해 보인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