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쌀 생산량은 작황 부진으로 전년보다 소폭 감소가 예상되고 소비 감소세, 재배면적 등을 감안할 때 수급 균형을 크게 벗어나지는 않을 전망이다. 김 장관은 “공공비축, 산지유통업체 벼 매입자금 지원 등으로 수확기 중 올해 생산량 약 60%를 안정적으로 매입할 것”이라며 “피해벼 매입과 수급 동향에 따라 산물벼 인수도 등 필요한 수급안정 조치를 추진하겠다”고 설명했다.
호우·태풍 피해와 관련해서는 긴급방제와 약제 할인 공급, 복구 지원 인력을 투입했다. 김 장관은 “농약대·대파대·시설 복구비 등 주요 재해복구비를 실거래가 100% 수준으로 인상해 지급 중”이라며 “재해보험금도 피해 조사를 신속히 진행해 순차 지급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ASF의 경우 지난해 10월 9일 이후 사육돼지에서 추가 발생이 없어 살처분·수매 농가의 재입식 절차에 착수한 상태지만 확산 위험이 상존해 방역 관리에 만전을 기할 계획이다.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와 구제역도 현안이다. 김 장관은 “(AI) 방역 취약농가 특별점검을 실시하고 위험 요소 관리를 강화했다”며 “구제역 발생 위험이 높은 지역에 대해 백신 보강접종과 전국 소·염소 일제 접종도 진행 중”이라고 전했다.
외국인 근로자 입국 차질에 대응해 대체 인력을 지원했으며 일부 학교급식 친환경 농산물 피해에 대해서도 대책을 마련할 예정이다.
올해에는 농식품 산업의 지속가능 성장동력 확충과 농촌 활력 제고, 농산물 수급관리 체계 개선 등을 추진 중이다.
김 장관은 “청년농 육성을 추진 중이고 스마트 농업 확산거점인 혁신밸리도 차질 없이 조성 중”이라며 “공익직불제 시행을 계기로 현장 농업인들의 인식 개선과 참여 확대를 위한 기반도 만들가고 있다”고 강조했다.
농촌의 생활인프라와 주거 환경 개선을 추진 중이고 귀농·귀촌 활성화를 위해 교육·체험 프로그램도 확대했다.
코로나19에 대비한 정책 과제도 발굴해나갈 방침이다.
김 장관은 “주로 수입에 의존하는 밀·콩 등 주요 곡물의 국내 자급기반을 강화할 것”이라며 “올해 안에 전문생산단지 조성에 착수하고 저장·유통시설 등 인프라도 확충하겠다”고 밝혔다.
농촌 역할을 키우기 위해 생활 인프라를 확충하는 등 농촌 공간을 종합 정비·개선하는 시범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김 장관은 “경제·사회 전반의 디지털화와 환경에 대한 관심 증대에 부응해 디지털 농업과 환경친화적 농업을 확산하겠다”며 “노지 농업에 최적화된 스마트팜 모델을 발굴하고 비료·농약 이용 감축과 신재생에너지 확대를 추진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