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은 24일 ‘2022년 3월 금융안정보고서’에서 가계대출의 금리민감도를 분석한 결과 대출금리가 1%포인트 오르면 가계대출 변동폭이 전기 대비 23조8000억원 줄어드는 반면, 1%포인트 하락할 경우 13조8000억원 증가하는데 그치면서 금리 상승기의 가계대출 민감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이는 지난 2012년 1분기부터 지난해 4분기까지 가계대출 가중평균 금리가 상승한 시기와 하락한 시기를 1~4기로 구분하고, 가계대출 증감폭을 전기 대비로 계산한 뒤 이를 다시 대출금리 1%포인트 변동으로 시산한 결과다.
|
소득 수준에 따른 차주 1인당 금리 민감도를 따져봤을 땐 고소득자가 대출금리 상승 시기 평균적으로 220만1000원 정도 신규 대출이 줄어드는데 비해 저소득층은 38만원 감소하는데 그쳤다. 이는 저소득자가 가계대출 중 41.8%를 생활비 등의 목적으로 빌려 부동산 구입(44.9%)와 비슷한 반면, 고소득자는 부동산 구입에 62.8%를 투자한 결과다. 이 때문에 취약계층의 빚은 보통 생계 목적 등으로 빌린 것으로 금리가 오르더라도 대출 억제 효과가 제한적이어서 취약 차주 비중이 높은 비은행 금융기관의 자산건전성 우려가 커질 수 있단 분석이다.
자산가격 변화, 대출금리 구조 등을 종합적으로 구분한 미시 데이터 ‘가계부채 DB’를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도 비슷했다. 금리 수준별 차주당 가계대출의 증가 규모를 분석한 결과, 대출금리가 3% 수준일 때 1분기 동안 평균 294만원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서 금리가 0.50%포인트, 1%포인트 각각 오르면 차주당 평균 대출액은 227만원, 138만원 수준으로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전체 가계대출 규모로 환산해보면 1분기당 가계대출 증가 규모는 34조1000억원에서 26조3000억원, 16조원 수준으로 둔화한 것이다.
시기별로는 코로나19 이후 금리민감도가 더 높아진 것으로 분석됐다. 저금리 환경이 이어지면서 부동산 및 주식 등 자산가격 상승률과 대출금리 사이의 격차가 커지자 차주들의 레버리지 투자가 증가한 영향이다. 고소득·고레버리지·저연령 차주 등 금리민감도가 높은 차주의 대출 비중이 높아졌다.
한은 측은 금리가 높을수록, 금융불균형이 심할수록 가계대출 둔화 효과가 크게 나타나는 만큼 지난해 8월 이후 0.25%포인트씩 세 차례 기준금리를 올린 것이 가계부채와 금융불균형 완화에 효과가 있으나 취약차주의 경우 그렇지 않다는 점을 감안해 취약부문의 신용위험 증대 가능성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