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총재는 24일 올해 마지막 금통위에서 기준금리가 당초 3.0%에서 3.25%로 0.25%포인트 인상됐다고 밝혔다. 이번 금리 인상은 금통위원 7인의 만장일치로 결정됐다.
한은은 이번 기준금리 결정과 함께 발표한 수정경제전망에서 물가전망치를 올해 5.1%, 내년 3.6%로 각각 0.1%포인트 하향한 가운데,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올해 2.6%에서 내년 1.7%로 낮아질 것으로 예상했다. 이런 가운데서도 이 총재는 물가 변동성이 크다는 점을 언급하면서 ‘당분간’ 금리 인상 기조를 이어나갈 필요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이 총재는 내년 경제성장률 전망의 하향 조정폭이 0.4%포인트로 크게 낮췄음에도 불구하고 물가 전망치의 하향폭이 크지 않은 것은 그간 누적된 비용인상 압력이 전기·가스 요금과 가공식품, 근원 품목에 점차 반영되면서 경기 둔화에 따른 수요 압력 약화를 상당 부분 상쇄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그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0월에도 5.7%의 높은 수준을 지속했는데, 석유류 가격의 오름세가 둔화되었지만 전기·가스 요금이 추가 인상되고 가공식품 가격의 상승폭이 확대됐다”면서 “근원인플레이션율과 일반인 기대인플레이션율은 4.2~4.3%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이 같은 물가 전망에는 환율, 국제유가 움직임과 국내외 경기 둔화 정도, 전기·가스 요금 인상 폭 등과 관련한 불확실성도 큰 상황임을 강조했다. 이 총재는 “특히 11월의 경우에는 농산물과 석유는 가격의 기저효과 등으로 소비자 물가 상승률이 10월보다 상당폭 낮아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지만 전기·가스 요금 등이 추가 인상될 것으로 예상되는 점 등을 감안할 때 5% 수준의 높은 오름세가 내년 초까지 지속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고 전했다.
한편, 최종금리 수준과 그 도달 시점 등 내년 통화정책에 관련해서는 정책 여건의 불확실성이 크기 때문에 금통위원들 간에도 다양한 견해가 있는 만큼 대내외적 상황을 더 지켜봐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 총재는 “1월 이후의 기준금리 결정에 대해서는 12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등 미 연준의 정책결정과 그에 따른 외환시장 영향, 국제에너지가격 등 대외여건 변화, 국내 물가와 성장 흐름, 금융안정 상황 등을 면밀히 점검하면서 판단해 나가도록 하겠다”고 말했다.